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림치유지도사의 산림치유에 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1096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2.57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the Forest Therapy in Forest Therapy Instructor -Q methodological approach-

      • 형태사항

        vi, 76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신원섭
        참고문헌 : p. 67-70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442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 therapy instructor's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iversity of awareness of forest therapy because the inherent awareness and values of forest therapy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Q-methodology was used as the study method, which evaluates in-depth and objectifies the subjectivity of humans by beginning from the subjects standpoint.
      The final selection of 34 Q samples was made by compiling Q statements related to forest therapy and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subjects. 30 forest therapy instructors are set as P samples and the recognition type is extra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Q is a compulsory distribution without redundancy, through which priorities are established and values are expressed. After five stages, four types were finally derived. The first type is 'mental st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second type is '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third type is 'program-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he fourth type is 'effect-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first type recognizes that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s' stable psychological state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orest therapy. Along with the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ctionary, including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orest therapy,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also focusing on psychological approaches. The second type recognizes that the rol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is important in forest therapy. As a way to lead effective forest therapy, the focus is on individual competenc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The third types said the quality of the program is important. The active process itself is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forest therapy and is the type that seeks to organize a systematic program. The fourth type focus on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The therapy effect from forest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est therapy. All four types presented had a common view that emphasized communion with nature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Based on this, proposals for effective forest therapy 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which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therapy. Based on this analysis, strategic program planning is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correspond to each type. Forest therap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application by type agreed upon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 therapy instructor's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iversity of aw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 therapy instructor's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iversity of awareness of forest therapy because the inherent awareness and values of forest therapy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Q-methodology was used as the study method, which evaluates in-depth and objectifies the subjectivity of humans by beginning from the subjects standpoint.
      The final selection of 34 Q samples was made by compiling Q statements related to forest therapy and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subjects. 30 forest therapy instructors are set as P samples and the recognition type is extra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Q is a compulsory distribution without redundancy, through which priorities are established and values are expressed. After five stages, four types were finally derived. The first type is 'mental st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second type is '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third type is 'program-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he fourth type is 'effect-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first type recognizes that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s' stable psychological state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orest therapy. Along with the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ctionary, including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orest therapy,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also focusing on psychological approaches. The second type recognizes that the rol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is important in forest therapy. As a way to lead effective forest therapy, the focus is on individual competenc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The third types said the quality of the program is important. The active process itself is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forest therapy and is the type that seeks to organize a systematic program. The fourth type focus on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The therapy effect from forest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est therapy. All four types presented had a common view that emphasized communion with nature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Based on this, proposals for effective forest therapy 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which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therapy. Based on this analysis, strategic program planning is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correspond to each type. Forest therap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application by type agreed upon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내재되어 있는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이나 가치관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치유에 대한 대한 인식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림치유에대한 인식 유형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효과의 극대화 방안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Q방법론은 주관적인 개념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산림치유와 관련된 Q진술문을 수집하고, 내용과 주제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 30명을 P표본으로 설정하였으며 Q분류을 통해 인식 유형을 추출하였다. Q분류는 중복이 없는 강제분포를 통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가치관을 나타낸다.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은 ‘심리 안정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2유형은 ‘능력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3유형은 ‘프로그램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4유형은 ‘효과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로 명명하였다.
      제 1유형은 산림치유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의 안정되어 있는 심리적 상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상자의 참여 동기 등 사전의 심리적 상태가 산림치유에 막대한 영향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또한 심리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유형은 산림치유에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이끌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치유지도사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3유형은 대상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활동하는 과정 자체를 산림치유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산림치유를 통해 나타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림에서의 활동으로 얻게 되는 치유효과가 산림치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시한 4가지 유형은 모두 자연과의 교감을 강조하는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상자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산림치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산림치유의 질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에 상응하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프로그램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가 합의하는 유형별 적용을 통해 산림치유를 더욱 보강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내재...

      이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내재되어 있는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이나 가치관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치유에 대한 대한 인식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림치유에대한 인식 유형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효과의 극대화 방안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Q방법론은 주관적인 개념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산림치유와 관련된 Q진술문을 수집하고, 내용과 주제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 30명을 P표본으로 설정하였으며 Q분류을 통해 인식 유형을 추출하였다. Q분류는 중복이 없는 강제분포를 통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가치관을 나타낸다.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은 ‘심리 안정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2유형은 ‘능력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3유형은 ‘프로그램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4유형은 ‘효과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로 명명하였다.
      제 1유형은 산림치유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의 안정되어 있는 심리적 상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상자의 참여 동기 등 사전의 심리적 상태가 산림치유에 막대한 영향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또한 심리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유형은 산림치유에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이끌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치유지도사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3유형은 대상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활동하는 과정 자체를 산림치유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산림치유를 통해 나타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림에서의 활동으로 얻게 되는 치유효과가 산림치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시한 4가지 유형은 모두 자연과의 교감을 강조하는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상자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산림치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산림치유의 질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에 상응하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프로그램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가 합의하는 유형별 적용을 통해 산림치유를 더욱 보강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산림치유 5
      • (1) 정의 및 개념 5
      • (2) 산림치유 인자 6
      • (3) 산림치유 프로그램 8
      • 2. 산림치유지도사 10
      • (1) 산림치유지도사 정의 10
      • (2) 산림치유지도사 역할 12
      • 3. 방법론적 배경 14
      • (1) Q방법론 정의 14
      • (2) Q방법론 적용 연구 16
      • Ⅲ. 연구방법 19
      • 1. 연구대상 19
      • 2. 연구내용 19
      • (1) Q모집단 (Q-population) 구성 21
      • (2) Q표본 (Q-sampling) 선정 23
      • (3) P표본 (P-sample) 선정 25
      • (4) Q분류 (Q-sort) 27
      • (5) 자료처리 29
      • Ⅳ. 연구결과 30
      • 1. 산림치유에 대한 주관성 유형 30
      • (1) 유형 분석 30
      • (2) Q진술문의 요인가(要因價) 33
      • 2. 유형별 특성 35
      • (1) 제 1유형 : 심리적 안정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35
      • (2) 제 2유형 : 능력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42
      • (3) 제 3유형 : 프로그램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47
      • (4) 제 4유형 : 효과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53
      • 3. 유형별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58
      • Ⅴ. 결론 및 논의 60
      • 1. 결론 및 논의 60
      • 2. 제언 66
      • 참고문헌 67
      • 국문요약 71
      • 부록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