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티벳불교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수행체계와 전개 양상 = The Formation on the Notion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navākāracittasthiti) and its Tibetan Reception: focused on Lam rim chen mo by Tsong kha p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octrinal system of śamatha(止, zhi gnas) in Lam rim chen mo(菩提道次第大論), written by Tsong kha pa, consists mainly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九種心住, sems gnas dgu), the ‘six forces’(六種力, stobs drug...

      The doctrinal system of śamatha(止, zhi gnas) in Lam rim chen mo(菩提道次第大論), written by Tsong kha pa, consists mainly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九種心住, sems gnas dgu), the ‘six forces’(六種力, stobs drug) and the ’four attentions'(四種作意, yid byed bzhi) etc. Through an methodological approach of making comparison between Lam rim chen mo and sources referred in the said book, this paper examined the mutual links of these three component parts of śamatha. Based on tibetan version of Kamalaśīla’s First Stages of Meditatiion(修習次第Ⅰ, sgom pa’i rim paⅠ), Tsong kha pa set forth the essential points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and refers to The Perfection of Wisdom Sūtras(般若波羅蜜多經, prajñāpāra- mitāsūtra), as its reference. With observing some pro- blems fallen to notice in existed arguments such as ones of YOSHIMICHI Hujita(藤田 祥道) and Peter Skilling etc., this paper indicated some supplementary points as below: first, the fact that Acclamation of the Holy Teaching(顯揚聖敎論) is apt to be not transmitted to Tibet during Tsong kha pa’s lifetime. Second, in explanations of the doctrinal system of śamatha, Tsong kha pa did not simply follow the doctrine of Kamalaśīla’s First Stages of Meditatiion but was based on teachings of two learned buddhist monks, Lag sor pa and Yon tan grags, of bKa’ gdams pa in the 11th century. Especially of these, the references quoted by Yon tan grags was being showd equally by Tsong kha pa. Third, Tsong kha pa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vipaśyanā(觀, lhag mthong) by dint of manifesting the Supramundane(出世間道) and concurrently of devaluating the Mundane(世間道). In brief, He did not choose to accept the doctrinal system of Śrāvakabhūmi(聲聞地) as it is, the text in which the Mundane and the Supramundane are being tried to be integrated. Fourth, the most superior thing is, according to Tsong kha pa, to take the body of the Tathāgata as a object of meditation. Tsong kha pa denied that it is possible to hearing a doctrinal sermon or to entering into the world of Tathāgata, based on just the supernatural power such as divine power of vision and divine power of hearing etc. This view of Tsong kha pa is to follow a tradition of the Sūtra on the Concentrations Which Perceives the Buddha of the Present Face to Face(般舟三昧經, da ltar gyi sangs rgyas mngon sum du bzhugs pa’i ting nge ’dzin c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early Mahayana buddhism. His doctrinal position, to conclude,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aching and the lesson”, 14th chapter of The Ornament for the Mahāyāna Sūtras(大乘莊嚴經論, mdo sde’i rgyan), in which the Four meditations and the Supernormal cognition are being emphasized, and also from Kamalaśīla’s First Stages of Meditatiion, in which the Four meditations and the Four formless concentrations are affirmatively being valu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쫑카빠는 『보리도차제대론』에서 샤마타의 수행체계로 구종심주 및 여섯 가지 힘(六種力), 그리고 네 가지 정신집중(四種作意)을 중요한 골격으로 삼고 있으며, 논자는 그것들의 정의와 상...

      쫑카빠는 『보리도차제대론』에서 샤마타의 수행체계로 구종심주 및 여섯 가지 힘(六種力), 그리고 네 가지 정신집중(四種作意)을 중요한 골격으로 삼고 있으며, 논자는 그것들의 정의와 상호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쫑카빠가 언급하고 있는 구종심주의 명칭은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Ⅰ』 티벳역에 의거하고 있으며, 또한 구종심주의 경전적 전거로는 『반야바라밀다경』을 일컫고 있다. 그리고 쫑카빠 당시에 『현양성교론』이 티벳에 전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쫑카빠가 샤마타의 수행체계를 설명할 때 단순히 『수습차제Ⅰ』의 내용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11세기 까담빠 학승인 게셰 락솔빠와 옌뗀닥의 가르침에 입각하고 있으며, 특히 옌뗀닥의 인용 전거들을 쫑카빠가 동일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쫑카빠는 세간도(世間道)와 출세간도(出世間道)의 통합을 추구하고 있는 『성문지』의 수행체계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세간도를 평가절하하고 출세간도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을 통해서 관찰 수행의 중요성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빠샤나의 전제가 되는 샤마타 수행체계에서 가장 수승한 인식대상은 여래의 신체라고 쫑카빠는 언급하고 있다. 사정려(四靜慮)와 신통을 강조하고 있는 『대승장엄경론』 제14장 「교수교계품」과 사정려와 사무색정(四無色定)에 대한 긍정적 내용을 언급하고 있는 『수습차제Ⅰ』의 내용과 달리, 대승 초기 『반주삼매경』의 전통에 의거해서 천안통과 천이통 등 신통을 통해 교법을 듣는다거나 여래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쫑카빠는 언급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의 검토 및 과제
      • Ⅲ.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체계
      • Ⅳ.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인용 문헌 및 역사적 전개
      • Ⅴ. 『보리도차제대론』에 언급된 샤마타 수행체계와 인용 문헌들의 내용 비교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의 검토 및 과제
      • Ⅲ.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체계
      • Ⅳ.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인용 문헌 및 역사적 전개
      • Ⅴ. 『보리도차제대론』에 언급된 샤마타 수행체계와 인용 문헌들의 내용 비교
      • Ⅵ. 결론
      • 참고문헌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슈미트하우젠, "「성문지」에서의 선정수행과 해탈경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창간) : 125-159, 2006

      2 毛利 俊英, "「聲聞地」の止觀" (10) : 37-54, 1989

      3 惠敏, "「聲聞地」における所緣の硏究" 山喜房佛書林 1994

      4 岩本 明美, "「大乘莊嚴經論」 第14章 世親釋 Skt.テキスト" 21 : 1-29, 1995

      5 마츠모토 시로, "티베트 불교철학" 불교시대사 2008

      6 하카마야 노리아키, "유식사상" 경서원 92-100, 2005

      7 聲聞地硏究會, "瑜伽論 聲聞地 第一瑜伽處 - サンスクリット語 テキストと和譯 -" 山喜房佛書林 1998

      8 梶山雄一, "牧牛圖の西藏版について"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19-23, 1958

      9 塚本 啓詳, "梵語佛典の硏究" 平樂寺書店 1990

      10 小谷 信千代, "大乘莊嚴經論の硏究" 文榮堂 1984

      1 슈미트하우젠, "「성문지」에서의 선정수행과 해탈경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창간) : 125-159, 2006

      2 毛利 俊英, "「聲聞地」の止觀" (10) : 37-54, 1989

      3 惠敏, "「聲聞地」における所緣の硏究" 山喜房佛書林 1994

      4 岩本 明美, "「大乘莊嚴經論」 第14章 世親釋 Skt.テキスト" 21 : 1-29, 1995

      5 마츠모토 시로, "티베트 불교철학" 불교시대사 2008

      6 하카마야 노리아키, "유식사상" 경서원 92-100, 2005

      7 聲聞地硏究會, "瑜伽論 聲聞地 第一瑜伽處 - サンスクリット語 テキストと和譯 -" 山喜房佛書林 1998

      8 梶山雄一, "牧牛圖の西藏版について"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19-23, 1958

      9 塚本 啓詳, "梵語佛典の硏究" 平樂寺書店 1990

      10 小谷 信千代, "大乘莊嚴經論の硏究" 文榮堂 1984

      11 야마구치 즈이호, "吐蕃王國佛敎史年代考" 인도철학회 7 : 267-315, 1998

      12 ツルティム, "佛敎瑜伽行思想の硏究" 文榮堂 117-124, 1991

      13 水野 弘元, "佛敎の心識論" 山喜房佛書林 1978

      14 藤田 祥道, "九種心住について" 37 (37): 63-65, 1988

      15 袴谷 憲昭, "チベットにおけるマイトレ-ヤの五法の軌跡" 大藏出版社 164-200, 2001

      16 海野 孝憲, "インド後期唯識思想の硏究" 山喜房佛書林 2002

      17 芳村 修基, "インド大乘佛敎思想硏究: カマラシ-ラの思想" 百華苑 1974

      18 ツルティム, "ア-ラヤ識とマナ識の硏究" 文榮堂 1985

      19 최종남, "『顯揚聖敎論』에 대한 再考察" 인도철학회 3 : 205-224, 1993

      20 차상엽, "「쫑카빠(Tsong kha pa)의 瑜伽行 修行體系 硏究」-「菩提道次第大論의」「샤마타」章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2007

      21 김준호, "‘사띠(Sati) 논쟁’의 공과(功過)"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4 : 187-206, 2008

      22 石川 美惠, "sGra sbyor bam po gnyis pa 二卷本譯語釋 - 和譯と注解 -" 財團法人 東洋文庫 1993

      23 Martin, "Unearthing Bon Treasures : Life and Contested Legacy of a Tibetan Scripture Revealer, with a General Bibliography of Bon" Brill 2001

      24 Kapstein, "Tibetan Literature:Studies in Genre" Snow Lion 1996

      25 Franz, Karl Ehrhard, "The Many Canons of Tibetan Buddhism" Brill 2000

      26 Cutler, Joshua W.C. etc, "The Great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Path to Enlightenment" Snow Lion Publications 2000

      27 Deleanu, Florin, "The Chapter on the Mundane Path (Laukikamārga) in the Śrāvakabhūmi, A Trilingual Edition(Sanskrit, Tibetan, Chinese), Annotated Translation,andIntroductory Stud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 ist Studies 2006

      28 Roerich, "The Blue Annals" Motilal Banarsidass 1976

      29 Kuijp, Leonard W.J. Van der, "Muslims in Buddhist Philosophical Text" D. Reidel 34 (34): 169-202, 2006

      30 Hopkins, Jeffrey, "Meditation on Emptiness" Wisdom Publications 261-266, 1996

      31 Skilling, Peter, "Mahāsūtras: Great Discourse of the Buddha" The Pali Text Society 1997

      32 Namgyal, Takpo Tashi, "Mahāmudrā:The Quin tessence of Mind and Meditation" Motilal Banarsidass 1986

      33 안성두, "<禪經>에 나타난 유가행 유식파의 단초-4善根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6 : 9-28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5 1.56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