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내외 고등학교 공업기술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An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in the country and foreign cou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7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tween foreign curriculum and our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to review trend and stream of curriculum revision, and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subject-matter. This study w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tween foreign curriculum and our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to review trend and stream of curriculum revision, and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subject-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 reference, journal, book, and Web materials. in this study, comparative target country was restricted to Japan, U. S. A., U. K., and N. Z., Australia that administer to similar subject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imilar subject-matter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0matter was Japan' 'found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and etc, U. K.' 'design and technology', and N. Z.' 'technology',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design and technology'.
      2. The result of analysis to purpose and strength of subject-matter,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was oriented to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areer search in industrial area. but, the other was emphasize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by process-based method with thinking and action.
      3. In the curriculum content, our country was treat to content area of a broad industrial world. on the other hand, Japa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environment, process technology and product technology,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content standards by knowledge, process and context, U. K., N. Z., and Australia were focused 'design process'.
      Based on above results, the recommenda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curriculum.
      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expert and stakeholder about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 성격과 내용이 유사한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방향, 그리고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 성격과 내용이 유사한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방향, 그리고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들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본, 미국, 영국,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으로는 일본의 ‘공업기술기초’와 ‘과제연구’, 미국의 ‘기술’, 영국의 ‘설계와 기술’, 그리고 뉴질랜드의 ‘기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설계와 기술’ 등이 있었다. 둘째, 교과의 목표와 강조점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공업기술은 공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진로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일본,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의 경우에는 과정적 접근 방법에 의한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었다.셋째,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반적인 공업 세계의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일본은 인간과 기술 및 환경의 관계, 가공기술과 생산기술, 과제연구를 다루고 있었으며, 미국은 지식과 과정, 그리고 맥락에 의한 내용표준을 제시하고 있었고, 영국, 뉴질랜드, 그리고 호주의 경우에는 설계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공업기술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분석이 필요하다.둘째, 공업기술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4

      2 "학교 현장에서 본 선택중심 교육과정" 22 (22): 93-122, 2004

      3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제" 교육인적자원부 2001

      4 "체육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설 논리와 내용구성 방향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24, 2006

      5 "중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의 다양화 방안" 1 (1): 17-30, 1999

      6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대학입시 방안(정책설명Ⅰ)." 교육인적자원부 2003

      7 "제5차 연례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기술교육학회 2005

      8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9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1997

      10 "실과(기술가정) 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 "현대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4

      2 "학교 현장에서 본 선택중심 교육과정" 22 (22): 93-122, 2004

      3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제" 교육인적자원부 2001

      4 "체육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설 논리와 내용구성 방향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24, 2006

      5 "중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의 다양화 방안" 1 (1): 17-30, 1999

      6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대학입시 방안(정책설명Ⅰ)." 교육인적자원부 2003

      7 "제5차 연례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기술교육학회 2005

      8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9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1997

      10 "실과(기술가정) 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1 "실과(기술가정) 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2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13 "선택 교육과정 설계에서 선택 ‘주체’와 선택 ‘대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14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Ⅳ) -교육과정 개정 방식을 중심으로" 2002

      15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6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요" 교육인적자원부 2000

      17 "Technology for all Americans A rational and structure for the study of technology" Author 1996

      18 "Technology Academic Content Standards" 2003

      19 "Technically Speaking: Why All Americans Need to Know More About Technology" National Academy Press 2002

      2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Author 2000

      21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Standards for Teachers" 2000

      22 "Measuring Progress: A Guide to Assessing Students for Technological Literacy" Author 2004

      23 "Design and Technology Years 7-10" Syllabus 2003

      24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Technology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8

      25 "Advancing Excellence in Technological LiteracyAdvancing Excellence in Technological Literacy: Student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gram Students" Author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