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전후의 평양시 살림집 건설정책의 변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달성 여부에 대한 판단과 개발지역의 도시계획적 측면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평양시의 도심 경계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8087
2021
-
360
KCI등재
학술저널
135-15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전후의 평양시 살림집 건설정책의 변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달성 여부에 대한 판단과 개발지역의 도시계획적 측면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평양시의 도심 경계변...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전후의 평양시 살림집 건설정책의 변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달성 여부에 대한 판단과 개발지역의 도시계획적 측면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평양시의 도심 경계변화와 도시개발 방향을 예측하고 남북경협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북한은 2021년 들어 자력갱생, 재자원화 등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강조하며 인민들에게 그 실천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 결과, 김정은 시대의 살림집 건설정책은 김정일 시대의 살림집 건설정책에 비해 구체적인 계획과 방법을 통해 그 실현가능성을 높였다. 이 정책이 성공할 경우 북한경제의 탄력성을 높여 외부충격을 낮출 수도 있다. 또한 동평양에서 사동지역을 첫 번째 개발지구로 지정함으로써 도심의 경계를 확장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향후 북미협상이 진전되고, 남북관계의 복원이 이루어질 경우, 평양시의 도시개발은 남북경협의 주요한 아이템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협력방안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nges in Pyongyang s house construction policy before and after Kim Jong Un s reign and reviewing the urban planning aspects of the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nges in Pyongyang s house construction policy before and after Kim Jong Un s reign and reviewing the urban planning aspects of the development area. In 2021, North Korea emphasized various policies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such as self-rehabilitation and re-resourcing, and underscored the practice to the people. As a result, Kim Jong Un s house construction policy has ever increased its feasibility through detailed plans and methods in comparison to that in the Kim Jong Il regime. If the policy succeeds, it will likely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reduce external shocks. In addition, the designation of Sadong as the first development zone in East Pyongyang was enough to hint that North Korea has decided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city center. If the future U.S.-North Korea negotiations progress and inter-Korean relations are normally restored, urban developments in Pyongyang will likely be spellbinding sweet spot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ways to cooperate.
목차 (Table of Contents)
점유취득시효 완성을 통한 부동산 소유권 취득 법리 소고 : 정의와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수도권(도심) 공급확대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 2.4.대책과 공공직접주도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동산거래 : 스마트계약의 도입과 법적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