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찬가(北竄歌)>의 주제 의식과 ‘효’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me consciousness and Hyo(Filial Piety) In <Bukchang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2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이광명의 <북찬가>를 “연군(戀君)이 아닌 사친(思親)을, 무죄를 호소하기보다는 자신의 고통을, 정계 복귀 대신 귀향을 염원하면서 관념이 제거된 평이한 말로 지...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이광명의 <북찬가>를 “연군(戀君)이 아닌 사친(思親)을, 무죄를 호소하기보다는 자신의 고통을, 정계 복귀 대신 귀향을 염원하면서 관념이 제거된 평이한 말로 지은 조선후기 유배가사”라는 점에 의문을 갖고 그의 국문시가에서 보이는 주제 의식과 ‘효’의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작품이 생산된 배경에는 경종과 영조 대 일어난 당쟁을 들 수 있는데, 신임사화와 을해사옥이 그것이다. 작가의 백부 이진유가 신임사화를 계기로 유배 후 죽임을 당하자 작가의 가문인 소론은 몰락하게 되며, 25년 뒤인 을해사옥으로 작가 이광명은 백부의 일로 인하여 연좌율에 따라 갑산으로 유배를 가게 되어 그곳에서 <북찬가>와 시조 3수를 짓게 된 것이다.
      작품은 크게 유배 가기 전, 유배지로 가는 도중, 유배지 도착 후의 심경 등을 자전적으로 술회하고 있다. 유배 가기 전 강화도에서의 삶은 편모 슬하에서 효를 행하였으나, 서울을 향한 마음과 효를 넘는 오륜 즉, 충을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었다. 유배형을 언도 받는 것에 대해서도 군주의 은전(恩典)이라 하고, 연좌율에 따른 화(禍) 역시 군주와 조정의 관심이자 화자와 화자 가문의 부활의 계기로 삼으려는 의도로 보이고 있다. 유배지로 가는 도중에 고통 받는 화자의 처지를 그리면서도 관심을 사회와 국가로 확장하고 있다. 백성들에게 삼일우(단비)가 되고 싶은 시혜자의 의식, 군주를 향하는 연군 의식, 국가의 미래를 걱정하는 우국 의식 등 자신의 역할에 새로운 각성을 하게 된다. 유배지에 도착한 이후에 화자 자신은 전거(典據)와 역사적 인물들을 떠올리며 자신을 굴원과 백거이와 같은 반열에 놓고 새로운 도약을 꿈꾼다. 지금의 시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오직 경국(서울)으로의 진출이 유일한 방법이자 목표인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자는 ‘효친(孝親)’을 매개로 군주를 설득한다. 이미 군주 역시 ‘효’의 가치와 의미를 선지(先知)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화자는 임금의 ‘효치(孝治)’에 기대어 자신의 소망인 정치적 귀환을 바랐던 것이다.
      화자가 ‘효’를 통해 임금과의 교감을 이끌어 내려한 이유는 화자 가문과의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영조(英祖)를 염두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영조가 비록 자신의 가문을 제거하려 했지만 영조의 탕평론과 『효경』․『충경』의 간행 사업 등에서 화자는 부활의 가능성을 읽었으며, 결국 화자는 ‘효’를 영조에게는 왕권강화의 방안으로 자신에게는 정계 진출로의 방법으로 파악했던 것이다. 다시 말해 충의 전제로서 효의 의미 즉, 효치천하(孝治之下)’에 따라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려했던 영조와 이미 효의 성공적 실천가로서 효의 궁극적 완성을 위해서 충에 이르러야 한다는 화자의 생각에 ‘효’가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북찬가>의 의식지향은 작가 이광명이 백부 이진유의 연좌율에 따른 유배형을 정계 복귀를 위한 기회로 삼았던 것이다. 이를 위해 영조의 효치 정책을 충실히 이해하여 효친과 연군과의 관계를 확장하고, 여로와 유배지에서 위정자와 역사적 인물들과의 심리적 교감을 여러 전거와 수사를 통해 드러내면서, 궁극적으로 마음의 고향인 경화로의 귀경을 노래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observe the meaning of Theme consciousness and Hyo in his poetry and song written in Korean language with a doubt that the poetry is an exile Gasa of post Josun dynasty written in plain words rejected idea with a thought of parents...

      This thesis aims to observe the meaning of Theme consciousness and Hyo in his poetry and song written in Korean language with a doubt that the poetry is an exile Gasa of post Josun dynasty written in plain words rejected idea with a thought of parents not yearning for King, pain of self rather than pleading innocence, yearn for return home instead of political comeback.
      The background of the writing can be quoted the partisan strifes occurred in the Kyeongjong,& Youngjo dynasty which were Shin-Im-Sa-Wha and Eul- Hae-Sa Ouk.
      The author’s uncle Lee Jin Yu were killed in connection with Shin-Im- Sa-Wha as a result the author’s family Soron became perished, and after 25 years author Lee Kwang Myeong was sent exile to Kapsan in connection with the deed of his uncle thus he wrote <Bukchanga> and 3 Sijos.
      The writing autobiographically describes his thought in broad classification before departure to exile, mid way to exile, and after arrival of exile.
      Before departing exile, he was performing Hyo to his widowed mother, but he also had a feeling left with him unfulfilled royalty of Oryun – Five moral rules- beyond the mind toward Seoul and Hyo. It was written the exile judgment as King’s special grace, and the misfortune related to implication with kin was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resurrection of self and family as being an interest in him from the royal gov’t. His interest was extended toward society & nation while describing his suffering status on the way to his exile. He was to have renewed awakening of wishes to become Samilwu(timely rain) as the conscious haves to give top-down benefits, yearning for the king, ardent patriotic sentiment concerned about future course of the kingdom. After arriving exile, he was reminding historical references & figures to put himself corresponding to Qu Yuan's 과 Bai Ju-yi, and dreaming of a new leaf forward. To eliminate worries of today, advancing to Gyeongkuk(Seoul) was the only method and objective. For such purpose, the author persuades King through medium of Hyochin. Already King as well was believed to have understood about the value & meaning of Hyo.
      Likewise the author wished his dream of political return relied on King’s Hyochi-politics based on ferial piety. The reason the author led down a sympathy from King through Hyo was the perception that his family has deep relationship with King Youngjo.
      Though Youngjo tried to remove his family but he read a potential to return from the Yongjo’s publication of Theory of T`angp`yongron(Impartiality), Hyogyeong, Chunggyeong.
      In fact, author tried to recognized the Hyo as the method strengthening the power of King, and for himself as a means to return to political arena. In other word, Yongjo tried to build strong power of King according to Hyojichunha, the meaning of Hyo being prerequisite of Chung, whereas it was taken seated the Hyo to the thought of author that Hyo must reach Chung as to fulfill the perfection of Hyo to the successful practitioner of Hyo. Therefore, the conscious sphere of the author of <Bukchanga> was to sing the return of home to Gyeonghwa his mindful hometown, as the exile judgment due to implication with author’s uncle Lee Ji Yu to be made as an opportunity to return to the politics, for which tried to understand the Yongjo’s Hyochi politics, based on it,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rial piety and yearning for the king, while disclosing psychological sympathy with politicians and historical figures on the way to exile as well as at exile through various references & rhetor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明世, "李匡明의 流配時調考" 韓國語文學會 47 : 1986

      2 정기호, "李匡明의 謫所詩歌에 대하여" 인하대학교 3 : 69-87, 1977

      3 尹炳奭, "李匡明의 生涯와 ‘이쥬픙쇽통’에 대하여" 韓國語文 敎育硏究會 5 (5): 1977

      4 崔相殷, "流配歌辭의 作品構造와 現實認識" 한국정신문화연구원부설 한국학대학원 1984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제8권" 아세아문화사 2006

      6 우경섭, "조선후기 『효경』·『충경』 이해와 효치론 김육(金堉)과 영조(英祖)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35-57, 2012

      7 李鍾振, "조선조 유배가사 연구"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8 조동일, "제3판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353-354, 1994

      9 崔相殷,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 In 고전시가 엮어 읽기 하" 태학사 2003

      10 정흥모,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과 <북찬가>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5 (45): 107-128, 2008

      1 鄭明世, "李匡明의 流配時調考" 韓國語文學會 47 : 1986

      2 정기호, "李匡明의 謫所詩歌에 대하여" 인하대학교 3 : 69-87, 1977

      3 尹炳奭, "李匡明의 生涯와 ‘이쥬픙쇽통’에 대하여" 韓國語文 敎育硏究會 5 (5): 1977

      4 崔相殷, "流配歌辭의 作品構造와 現實認識" 한국정신문화연구원부설 한국학대학원 1984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제8권" 아세아문화사 2006

      6 우경섭, "조선후기 『효경』·『충경』 이해와 효치론 김육(金堉)과 영조(英祖)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35-57, 2012

      7 李鍾振, "조선조 유배가사 연구"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8 조동일, "제3판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353-354, 1994

      9 崔相殷,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 In 고전시가 엮어 읽기 하" 태학사 2003

      10 정흥모,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과 <북찬가>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5 (45): 107-128, 2008

      11 정인숙, "가사 장르를 통해 본 남성의 자전적 술회와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6) : 67-106, 2009

      12 정기호, "韓國詩歌文學論藁"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7

      13 이상보, "18세기 가사의 연구" 민속원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