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사회서비스: 민간의존적 공급의 한계와 과제 = A Critical Review of Social Service Polic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4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in Korea. Inthis study, social services include social welfare services provided for the disadvantagedand more universally provided care services. The former serviceshave been provided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in Korea. Inthis study, social services include social welfare services provided for the disadvantagedand more universally provided care services. The former serviceshave been provid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which have financiallybeen supported by governments, as main social welfare agencies. However,after the mid-2000s, social service markets have been created in the area ofchild care,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s a result, a dual structure haveemerged in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A main problem in social servicepolicy can be defined as a heavy dependence on small private service agenciesand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public management system. It negativelyaffects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and the realization of users’rights.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turn its policy efforts fromthe financial support for demand expansion to the supply management andquality contr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의 사회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회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취약 계층에 대한 ...

      이 논문은 한국의 사회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회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복지사업으로부터 형성된 초기적 사회서비스와 사회서비스 시장을 통해 공급되는 보육과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을 한국의사회서비스로 규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회서비스는 저소득층 중심, 기관보조금, 지방사업이라는 특성을 가진 사회복지사업과 보편적 개별 급여,이용자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시장 기제도입을 특성으로 하는 돌봄 서비스라는이원화된 구조를 가지고 공급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서비스 정책의 문제는 첫째, 민간의존적 공급으로 인해 사회서비스 질 관리를 하기 어렵고, 둘째, 통합적인 공적 공급 체계 부재로 인해 사회서비스 이용자의 권리가 보장되고 있지 못한것으로 진단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공적 재정 투입이 사회서비스 질을 높이고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권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사회서비스 정책이 수요 확대 중심에서능동적인 공급 관리로 과감하게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문희, "현행보육정책 개요" 2011

      2 정경희, "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 강혜규,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의 현황과 서비스 확충의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5 : 6-22, 2007

      4 양난주, "한국 사회서비스 공급특성 분석: 보조금과 바우처방식의 검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91-219, 2011

      5 이혜경, "한국 비영리영역의 구조와 실체: 민간 사회복지부문의 역사와 구조적 특징" 10 (10): 41-75, 1998

      6 보건복지부, "주요업무편람" 보건복지부 2014

      7 김진, "전자바우처를 통한 사회서비스 창업활성화: 장애인활동보조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 7 (7): 51-67, 2012

      8 서동명,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2) : 75-93, 2010

      9 석재은,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 정책의 쟁점과 발전방향" 36-48, 1999

      10 석재은, "사회서비스 제도화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007

      1 서문희, "현행보육정책 개요" 2011

      2 정경희, "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 강혜규,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의 현황과 서비스 확충의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5 : 6-22, 2007

      4 양난주, "한국 사회서비스 공급특성 분석: 보조금과 바우처방식의 검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91-219, 2011

      5 이혜경, "한국 비영리영역의 구조와 실체: 민간 사회복지부문의 역사와 구조적 특징" 10 (10): 41-75, 1998

      6 보건복지부, "주요업무편람" 보건복지부 2014

      7 김진, "전자바우처를 통한 사회서비스 창업활성화: 장애인활동보조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 7 (7): 51-67, 2012

      8 서동명,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2) : 75-93, 2010

      9 석재은,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 정책의 쟁점과 발전방향" 36-48, 1999

      10 석재은, "사회서비스 제도화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007

      11 박세경,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 심층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2 민현주, "사회서비스 분야 여성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3 강혜규, "사회서비스 부문 바우처 사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4 김용득,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쟁점과 전망-지방정부 책임, 이용자 선택, 공급자 경쟁" 1 : 83-115, 2010

      15 구인회, "사회복지 지방분권 개선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99-124, 2009

      16 신용규, "사회복지 재정분권의 쟁점과 정책과제에 대한 토론문" 41-44, 2008

      17 김인,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바우처 제도의 시장 경쟁성과 수급자 선택권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부학회 22 (22): 397-425, 2010

      18 백선희,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9 백선희, "보육 서비스 바우처 도입의 의미와 과제" 176 : 123-, 2008

      20 김은정, "보육 서비스 공급 적정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1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사각지대 규명과 해소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23 (23): 121-144, 2014

      22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지출 분석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3 양난주,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선택과 경쟁은 실현되는가?-"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77-101, 2009

      24 김재훈,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을 위한 분권교부세 평가와 개편과제" 185-210, 2008

      25 신창환, "경쟁은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의 공급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312-340, 2013

      26 남찬섭,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의 사회서비스의 의미와 개념적 긴장"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79-100, 2012

      27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사회복지분야 지방이양사업 운영실태" 2008

      28 Daly M.,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51 (51): 281-298, 2000

      29 Bahle, Thomas, "The changing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services in England and Wales, France and Germany: Is the welfare state on the retreat?" 13 (13): 5-20, 2003

      30 Sainsbury, E., "The Personal Social Services" Pitman Publishing Limited 1977

      31 Le Grand, J., "The Other Invisible Ha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2 Gibelman, M., "The Handbook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SAGE Publications 113-132, 2000

      33 Kahn, A. J., "Social service and social policy" Random House 1979

      34 Munday, B., "Social care in Europe" Prentice Hall: Harvester Wheatsheaf 1996

      35 Kahn, A. J., "Social Service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Emergence of the Sixth System"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9

      36 Anttonen, A., "European social care services: Is it possible to identify models?" 6 (6): 87-100, 1996

      37 Munday, B., "European Social Services: A Map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38 Bettio, F., "Comparing care regimes in Europe" 10 (10): 85-113, 2004

      39 Daly M., "Care work: The Quest for Security" ILO 2001

      40 Alber, Jens, "A framework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social services" 5 (5): 131-149, 1995

      41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 41-50,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