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An Exploratory Study on Knowledge as a Content of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7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plore the education contents of disciplinary literacy centering on knowledge in order to reify the discourse o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Method: The ‘total of knowledge necessary for the pract...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plore the education contents of disciplinary literacy centering on knowledge in order to reify the discourse o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Method: The ‘total of knowledge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disciplinary literacy’ was viewed as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and the nature and types of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were explored as educational content. Results: The knowledge i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pistemological knowledge, text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literacy practice (practice subject, language, action procedure, and principle), and content elements for each type were detailed.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content prepared in this study and to further materialize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discours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탐색해 보는 시론적 연구이다. 방법: ‘학문 문식성 실천에 필요한 앎의 ...

      목적: 이 연구는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탐색해 보는 시론적 연구이다. 방법: ‘학문 문식성 실천에 필요한 앎의 총체’를 학문 문식성 지식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문식성 지식의 성격과 유형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식성 실천의 구성 요소(행위자, 언어, 행위 절차, 원리)를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의 지식을 인식론적 지식, 텍스트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내용 요소를 상세화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마련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발전시키고,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7-728, 2019

      2 전영주,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3 장상호, "학문과 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4 김영란,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의 의미와 중등교육에의 시사점"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367-401, 2021

      5 이용준,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7) : 43-88, 2021

      6 염은열, "표현교육에서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3 (3): 99-118, 1999

      7 이경진, "지식 통합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135-152, 2018

      8 유상희, "지식 탐구의 도구로서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고찰- CCSS 범교과 문식성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32) : 83-116, 2017

      9 박종훈, "지식 중심의 국어교육 내용 범주 설정 시론" 한국어교육학회 (117) : 465-488, 2005

      10 허경철, "지식 生成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19 (19): 231-250, 2001

      1 이경화,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7-728, 2019

      2 전영주,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3 장상호, "학문과 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4 김영란,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의 의미와 중등교육에의 시사점"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367-401, 2021

      5 이용준,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7) : 43-88, 2021

      6 염은열, "표현교육에서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3 (3): 99-118, 1999

      7 이경진, "지식 통합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135-152, 2018

      8 유상희, "지식 탐구의 도구로서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고찰- CCSS 범교과 문식성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32) : 83-116, 2017

      9 박종훈, "지식 중심의 국어교육 내용 범주 설정 시론" 한국어교육학회 (117) : 465-488, 2005

      10 허경철, "지식 生成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19 (19): 231-250, 2001

      11 김명순, "읽기 교육에서 지식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학회 (111) : 1-32, 2003

      12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13 김종윤, "역사 및 물리 교사의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를 통한 학문 문식성 개념의 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43-72, 2018

      14 Erickson, H. L.,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수업" 학지사 2019

      15 김정우, "문학사교육에서의 지식의 문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 (6): 299-320, 1999

      16 민병곤, "말하기 듣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25) : 5-38, 2006

      17 김영란, "독・토・론 모형을 활용한 과학 수업의가능성 탐색-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의 현장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2 (12): 195-235, 2018

      18 김명순, "내용 영역 문식력의 특징과 지도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75) : 91-120, 2007

      19 주세형, "국어교육의 새로운 내용론 - 학습의 본질 구현을 위한 초학문 융합 패러다임 설계 -" 한국어교육학회 (174) : 73-125, 2021

      20 심성보,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지식의 소환을 위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담론" 살림터 2020

      21 천경록, "교과독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문학, 역사, 과학, 수학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47) : 97-124, 2018

      22 신선경, "과학의 언어-이론 구성과 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36-60, 2009

      23 김영란, "과학과 언어(국어)의 통합적 교수·학습을 위한 ‘讀·討·論’ 모형화 연구: 학문 문식성 개념을 기초로 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49-178, 2016

      24 Wellinton, J., "과학 교실에서 언어와 문식력" 교육과학사 2001

      25 강선주,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역사교육연구회 (125) : 129-182, 2013

      26 O’Brien, D. G., "Why content literacy is difficult to infuse into the secondary school : Complexities of curriculum, pedagogy, and school culture" 30 : 442-463, 1995

      27 Shanahan, T., "What is Disciplinary literacy and why does it matter?" 32 (32): 7-18, 2012

      28 Wertsch, J. V., "Voices of the mind: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ediated 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9 Young, M., "The future of education in a knowledge society : The radical case for a subject-based curriculum" 22 (22): 21-32, 2010

      30 Shanahan, T.,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to adolescents : Rethinking content-area literacy" 78 (78): 40-60, 2008

      31 Bain, R., "Rounding up unusual suspects: Facing the authority hidden in history textbooks and teachers" 108 (108): 2080-2114, 2006

      32 Lambert, D., "Reviewing the case for geography, and the ‘knowledge turn’ in the English national curriculum" 22 (22): 243-264, 2011

      33 Lee, C. D., "Reading in the disciplines: The challenges of adolescent literacy"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2010

      34 OECD, "OECD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KNOWLEDGE FOR 2030"

      35 Muller, J., "Knowledge, power and powerful knowledge re-visited" 30 (30): 196-214, 2019

      36 Young, M., "Knowledge, Values and Educational Policy" Routledge 10-18, 2009

      37 Young, M., "Knowledge and the Future School: Curriculum and Social Justice" Bloomsbury Academic 65-88, 2014

      38 Wineburg, S. S., "Historical problem solving : A study of the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evaluation of documentary and pictorial evidence" 83 (83): 73-87, 1991

      39 Young, M., "From Social Constructivism to Social Realism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Routledge 2008

      40 Moje, E. B., "Foregrounding the disciplines in secondary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 A call for change" 52 (52): 96-107, 2008

      41 Moje, E. B., "Doing and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with adolescent learners : A social and cultural enterprise" 85 (85): 254-278, 2015

      42 Shanahan, T., "Does Disciplinary Literacy Have A Place in Elementary School?" 67 (67): 636-639, 2014

      43 Goldman, S. R., "Disciplinary literacies and learning to read for understanding : A conceptual framework for disciplinary literacy" 51 (51): 219-246, 2016

      44 Fang, Z., "Disciplinary literacies across content areas : Supporting secondary reading through functional language analysis" 53 (53): 587-597, 2010

      45 Gillis, V., "Disciplinary Literacy-Adapt not Adopt" 57 (57): 614-623, 2014

      46 Shanahan, C., "Analysis of expert readers in three disciplines : History, mathematics, and chemistry" 43 (43): 393-429, 2011

      47 박수자, "21세기 문식성 계발을 위한 내용문식성과 읽기 과제 모형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64) : 27-5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