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30年代 北滿地域 韓族農務聯合會의 組織과 活動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y of Hanjok-Nongmu-yeonhaphoe (韓族農務聯合會) at North Manchuria in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583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일원) , 2021.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4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황민호
        참고문헌: p. 41-46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359638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arting in the 1920s, the number of Koreans living in North Manchuri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910s. The advantage of paddy farming was attributed to geographical factors in the nearby area. But their lives were in a very precarious p...

      Starting in the 1920s, the number of Koreans living in North Manchuri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910s. The advantage of paddy farming was attributed to geographical factors in the nearby area. But their lives were in a very precarious position due to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of Koreans and the oppress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refore, it seems that active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ere needed to protect them.
      After death of Kimjwajin who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North Manchuria,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suffered internal and external confusion. In January 1931, Byeoldongdae, an aremed unit of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issued a statement saying it would leave the association and tried to form a new organization.
      The Byeoldongdae and provical Agricultural associations had formed a new organization which was named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e new organization was formed to exclude senior officals and anarchists. The new organization expanded the rights of its members and eliminated the obligations of the obligatory charge and conscription.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reduce the antipathy that residents at North Manchuria had. In addition, there are differnces i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visible rules between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and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Although the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was formed as an oaccasion to antagonize the former executives of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it failed to reach a full agreement on the direction and initiative of its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Eventually,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was divided into the ‘Former Gui-il Party(舊 歸一黨)’ and the ‘Agrarian party (農民黨)’. In confli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rmer Gui-il Party(舊 歸一黨)’ took the lead and reorganized its organization and organized 'Han terror organization (韓 terror 團)'.
      'Han terror organization (韓 terror 團)' carried out its own activities after gaining the initiative of the group. It formed a self-defense force to prepare for the Japanese attack and carried out activities to raise military funds. However, officials were arrested during their campaign to raise funds and the killings linked to their activities led to the suppression of Chinese authorities. In the end, they were no longer able to continue its anti-Japanese movement due to the members' embroidery and arrest.
      After losing control within the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e ‘Agrarian party (農民黨)’ allied itself with anarchist groups, but continued its anti-Japanese struggle by joining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in line with the changing situation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y fought alongside the Chinese forces near Haerim to achieve results. However, the joint operation with the Chinese military became difficult, and the arrest and murder of key officials resulted in the failur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clearly shows the situation of various nationalists in Manchuria before and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refore,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is study provides clues to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nationalist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the North Manchuria and contributes to the research o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in the North Manchur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30년대 초 북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한족농무연합회의 조직 배경과 과정 그리고 변화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1920년대를 시작으로 북만주 지역의 한인은 1910년대에 비해 그...

      이 글은 1930년대 초 북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한족농무연합회의 조직 배경과 과정 그리고 변화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1920년대를 시작으로 북만주 지역의 한인은 1910년대에 비해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중동철도 인근 지역의 지리적 요인으로 수전 농업에 유리했던 점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한인의 열악한 경제 상황과 중국 관헌의 탄압으로 인해 그들의 생활은 매우 불안정한 위치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적절한 대응책과 단체가 필요했다.
      신민부 분열 이후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을 이끌던 김좌진이 사망한 뒤, 한족총연합회는 내외부적으로 혼란을 겪었다. 결국 1931년 1월 한족총연합회의 무장부대였던 별동대는 연합회를 탈퇴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새로운 단체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한족총연합회의 별동대와 지방농무회 대표들은 1931년 2월부터 기존의 간부와 무정부주의 계열을 배제한 새로운 단체 즉 ‘한족농무연합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무정부주의 계열이 포함된 구 간부들을 제외한 새로운 간부들로 단체를 구성하였다. 동시에 강령 속 조직의 구성원리 등에서 한족총연합회와 차이를 보였다.
      한족농무연합회는 한족총연합회의 구 간부들에 대한 반감이 계기가 되어 결성되기는 하였지만, 단체 내에서 활동의 방향성과 주도권에 대해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결국 한족농무연합회는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구 귀일당’과 ‘농민당’으로 분열되었다. 양 세력의 갈등 상황에서 주도권을 쥔 ‘구 귀일당’은 조직을 개편하고 ‘한 테러단’을 조직하였다.
      ‘한 테러단’은 농무연합회의 주도권을 쟁취한 이후 독자적인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군자금 모집 활동 중 간부들이 체포되고 한 테러단의 활동으로 인해 중국관헌들의 탄압을 받게 되었다. 일본과 중국 관헌의 탄압을 받은 한 테러단은 이후 구성원의 자수, 체포 등으로 더이상 항일운동을 계속하지 못하게 되었다.
      농민당 계열은 농무연합회 내에서 주도권을 잃은 이후 무정부주의 계열과 연합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해림 인근에서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수행하여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중국군과의 연합작전이 힘들어지고 주요 간부의 피체, 피살이 발생하여 결국 활동을 이어 나가지 못하게 되었다.
      한족농무연합회는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한족농무연합회를 통해 만주사변을 전후로 만주의 여러 민족주의 세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족농무연합회의 성립과 활동 등을 통해 북만주 지역의 민족주의 계열 독립운동 단체의 상황과 관계를 짐작할 단서를 제공하고 북만주 지역의 항일 무장투쟁에 관한 연구사에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滿洲事變 이전 북만주지역 한인의 상황 4
      • 제 3 장 韓族農務聯合會의 결성과 그 성격 13
      • 3.1 韓族總聯合會의 해체와 韓族農務聯合會의 결성 13
      • 3.2 韓族農務聯合會의 규약 및 성격 19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滿洲事變 이전 북만주지역 한인의 상황 4
      • 제 3 장 韓族農務聯合會의 결성과 그 성격 13
      • 3.1 韓族總聯合會의 해체와 韓族農務聯合會의 결성 13
      • 3.2 韓族農務聯合會의 규약 및 성격 19
      • 제 4 장 韓族農務聯合會의 분화와 독립운동 전개 28
      • 4.1 韓테러단과 農民黨으로의 분화와 대립 28
      • 4.2 韓테러단의 군자금 모집활동과 그 한계 31
      • 4.3 農民黨 계열의 滿洲事變 이후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34
      • 제 5 장 결론 38
      • 참고문헌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