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공간의 意味와 空間的 特性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and Spatial Feature of in-between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039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더 이상 벽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둘러싸는 공간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공간 체험에 의한 새로운 인지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이나 자연 현상으로 만들어진 형태는 인간의 조형사고에 대하여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인간이 창조해낸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또 자연형태와는 별도로 인간 고유의 활동, 즉 조형사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있다. 도시공공환경의 수립은 자연의 공간 생성과 변화에서 문화적 실천이 중요한 항목이 된다. 그러므로 공간의 문화적 의미변천 과정 등에 대한 연구와 자료축적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환경과 인간이 만들어낸 형체와의 관련은 어떤 시점 특성에 의한 자연적 주변 환경에 적용되는 개념에서 '사이'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 반응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도시환경이 다양한 기능으로 밀집, 분화되고 혼재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계속되는 무계획적인 고층 건물 군의 형성은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가 도시 생활에 필수적인 사회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가치를 지니게 한다. 사이공간은 이러한 환경 적인 여건 하에서 인간을 향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원성으로 생명력 있는 유기체적 환경을 구성하여 공간의 경계를 넘어 공·사와 관계없이 도시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이렇듯 잘 계획된 사이공간은 개인의 자율성을 제공하는 프라이버시 획득을 위한 개인적 공간과 개인, 집단에 대한 대인관계의 연결망으로서 공동체를 위한 공적기능의 기능으로 인간의 행태를 조절하는 인공환경으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도시공공환경의 활성화 매개체로서의 사이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게 정서적 만족과 적극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피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의 기본요소로서의 본질을 해석함으로써, 공간 적용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자료,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사이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장소의 정체성을 설명함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2. 공간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보완 분리의 상호 연관된 공간으로서, 기능별 영역사이의 요소로 분석하였고, 또한 전통 건축에서 사이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간구성의 표현요소를 제시하였다.
      3.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수용하는 국내, 국외 환경내 공간을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4. 대상지 에서의 행태 분석과 디자인 적용사례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를 마련하고 위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사이공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장으로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이공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이공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인간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더 이상 벽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둘러싸는 공간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공간 체험에 의한 새로운 인지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

      인간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더 이상 벽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둘러싸는 공간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공간 체험에 의한 새로운 인지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이나 자연 현상으로 만들어진 형태는 인간의 조형사고에 대하여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인간이 창조해낸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또 자연형태와는 별도로 인간 고유의 활동, 즉 조형사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있다. 도시공공환경의 수립은 자연의 공간 생성과 변화에서 문화적 실천이 중요한 항목이 된다. 그러므로 공간의 문화적 의미변천 과정 등에 대한 연구와 자료축적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환경과 인간이 만들어낸 형체와의 관련은 어떤 시점 특성에 의한 자연적 주변 환경에 적용되는 개념에서 '사이'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 반응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도시환경이 다양한 기능으로 밀집, 분화되고 혼재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계속되는 무계획적인 고층 건물 군의 형성은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가 도시 생활에 필수적인 사회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가치를 지니게 한다. 사이공간은 이러한 환경 적인 여건 하에서 인간을 향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원성으로 생명력 있는 유기체적 환경을 구성하여 공간의 경계를 넘어 공·사와 관계없이 도시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이렇듯 잘 계획된 사이공간은 개인의 자율성을 제공하는 프라이버시 획득을 위한 개인적 공간과 개인, 집단에 대한 대인관계의 연결망으로서 공동체를 위한 공적기능의 기능으로 인간의 행태를 조절하는 인공환경으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도시공공환경의 활성화 매개체로서의 사이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게 정서적 만족과 적극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피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의 기본요소로서의 본질을 해석함으로써, 공간 적용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자료,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사이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장소의 정체성을 설명함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2. 공간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보완 분리의 상호 연관된 공간으로서, 기능별 영역사이의 요소로 분석하였고, 또한 전통 건축에서 사이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간구성의 표현요소를 제시하였다.
      3.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수용하는 국내, 국외 환경내 공간을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4. 대상지 에서의 행태 분석과 디자인 적용사례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를 마련하고 위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사이공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장으로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이공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이공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ce is not surrounded by the wall, it has legal recognition between human who use the space and buildings. Feature is made from natural or natural phenomena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human modeling-thinking. Feature is made from human who has activity of human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urban-public-environment is an important item in creation of region and variation. Then it needs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Meaning development processing' of space.
      Also, between urban-environment and feature is made by human react recognition role of 'In-between space' as natural environment.
      Also, these days urban-environment is mixed and separated So, today's un-intentional establishment of high-rise building has worth as indispensable society space.
      In-between space is made up environment condition which are positive and activation and pass a boundary of space that systematically circulates function of urban. So, well-planned in-between space has value which is controled by public function for community as connection rule of personal relation about a group.
      This investigation emphasis in-between space's importance as activation intermediation of urban public environment and this investigation has an object to furnish its basic data. So, it process this investigation as next processes.
      1. For the subject of research, it would be found general idea and character that decide urban environment images.
      2. As in-between space is functional space and one of important element which decide space images in-between space is consider it suggest meaning of in-between space in tradition architecture and expression element of space composition.
      3. In order to result, it analysis space's type in internal external element and it would be based to solve a design topic.
      4. Through analyzing of the subject area and design application example, it plans basic and based up on it.
      In-between space designed as activation boundary reciprocal action. As a result. this investigation emphasis necessity of study method in relation ship of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In this way, in-between space raise quality of living, therefore it has meaning and value of study about space design.
      번역하기

      Space is not surrounded by the wall, it has legal recognition between human who use the space and buildings. Feature is made from natural or natural phenomena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human modeling-thinking. Feature is made from human who has...

      Space is not surrounded by the wall, it has legal recognition between human who use the space and buildings. Feature is made from natural or natural phenomena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human modeling-thinking. Feature is made from human who has activity of human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urban-public-environment is an important item in creation of region and variation. Then it needs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Meaning development processing' of space.
      Also, between urban-environment and feature is made by human react recognition role of 'In-between space' as natural environment.
      Also, these days urban-environment is mixed and separated So, today's un-intentional establishment of high-rise building has worth as indispensable society space.
      In-between space is made up environment condition which are positive and activation and pass a boundary of space that systematically circulates function of urban. So, well-planned in-between space has value which is controled by public function for community as connection rule of personal relation about a group.
      This investigation emphasis in-between space's importance as activation intermediation of urban public environment and this investigation has an object to furnish its basic data. So, it process this investigation as next processes.
      1. For the subject of research, it would be found general idea and character that decide urban environment images.
      2. As in-between space is functional space and one of important element which decide space images in-between space is consider it suggest meaning of in-between space in tradition architecture and expression element of space composition.
      3. In order to result, it analysis space's type in internal external element and it would be based to solve a design topic.
      4. Through analyzing of the subject area and design application example, it plans basic and based up on it.
      In-between space designed as activation boundary reciprocal action. As a result. this investigation emphasis necessity of study method in relation ship of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In this way, in-between space raise quality of living, therefore it has meaning and value of study about space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목차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국문초록
      • 목차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2장. 사이공간의 개념과 역할의 이론적 고찰 = 5
      • 2-1. 사이공간의 개념 및 특성 = 5
      • 2-1-1. 공간의 개념 = 5
      • 2-1-2. 사이공간의 개념 = 7
      • 1) 분절된 외부공간으로서의 사이공간 = 9
      • 2) 매개적 성격으로서 사이공간 = 10
      • 3) 커뮤니티와 프라이버시의 개념으로서 사이공간 = 11
      • 4) 공간의 결절점으로서 사이공간 = 13
      • 2-1-3. 사이공간의 시지각적 특성 = 14
      • 1) 형상에 의한 지각 = 16
      • 2) 테두리에 의한 지각 = 17
      • 3) 형상과 배경 = 18
      • 2-1-4. 전통건축에 나타난 사이공간 = 22
      • 1) 韓國 建築社를 통해 본 사이공간 = 22
      • 2) 공간의 구성과 배치 = 23
      • 2-2. 도시환경과 사이공간의 관계성 = 28
      • 2-2-1. 도시환경에서 장소의 정체성 = 28
      • 2-2-2. 도시활성화의 장으로서의 사이공간 = 30
      • 제3장. 사이공간의 특성과 표현분석 = 31
      • 3-1. 사이공간의 형성 = 31
      • 3-1-1. 심리적 측면에서의 사이공간 = 31
      • 3-1-2. 물리적 측면에서의 사이공간 = 32
      • 1) 인접하는 공간의 제3공간으로서의 사이공간 = 32
      • 2)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서의 사이공간 = 34
      • 3) 상호관입에 의한 공통공간으로서의 사이공간 = 35
      • 3-2. 사이공간의 표현 특성 = 37
      • 3-2-1. 분절성 = 37
      • 3-2-2. 연속성 = 40
      • 3-2-3. 위계성 = 41
      • 3-2-4. 접근성 = 44
      • 3-3. 사이공간의 형태적 요소 = 47
      • 3-3-1. 사이공간을 위한 수직적 요소 = 48
      • 3-3-2. 사이공간을 위한 수평적 요소 = 51
      • 3-3-3. 사이공간을 위한 공간적 연결요소 = 54
      • 3-4. 건축작품에 나타난 사이공간에 대한 사례 = 56
      • 3-4-1. 사례선정 배경 = 56
      • 3-4-2. 작품개요와 공간분석 = 58
      • 3-4-3. 소결 = 72
      • 제4장. 사이공간 적용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 계획 = 74
      • 4-1. 계획의 개요 및 기본 방향 = 74
      • 4-2. 계획의 조건 = 74
      • 4-3. 계획의 전개 = 76
      • 제5장. 결론 = 80
      • 참고문헌 = 82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