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부 수원지역 임신부들의 임신적 비만도에 따른 임신후반기 식행동 분석 = Analyses of Dietary Behavior in the Second Half of Gestation based on Pre-pregnancy BMI Among Pregnant Women in Suwo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129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임신전 비만도와 임신후반기의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비만 임산부의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임신전 비만도는 임신...

      이 연구는 임신전 비만도와 임신후반기의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비만 임산부의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임신전 비만도는 임신전의 체중과 키를 이용한 BMI값으로 결정하였고 입덧이 지난 23-26주 사이에 직접면접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일식이섭취를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여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 임신부들은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보면 인(mg) ㆍ 비타민A(RE) ㆍ 비타민 C(mg)는 권장량의 100% 이상 섭취하였으나 열량을 비롯하여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은 권장량보다 훨씬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영양소의 섭취 열량비율은 분석한 결과 수척군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권장하는 3대 영양소 열량비율을 보였으나 비만군은 지질에서 얻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으로 당질 섭취가 적었다. 비만군이 수척군과 정상군보다 육류 섭취시 지방을 제거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사속도는 비만할수록 빠른 경향과 결식율도 높았다. 또한 비만군에서 신생아 출생체중도 유의하게 높았으나 비만할수록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량은 유의하게 적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콜레스테롤과 섬유소, 비타민 A 섭취량도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적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pregnancy BMI related with dietary behavior. It's propose is to find solution of dietary methods to improve the obesity of pregnanct women. All the subjects were 78 cases in the pregnant had not any diseases and were 2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pregnancy BMI related with dietary behavior. It's propose is to find solution of dietary methods to improve the obesity of pregnanct women. All the subjects were 78 cases in the pregnant had not any diseases and were 20∼40 years. The survey method was investiga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24 hour recall method used with the Food Model. 24 hour recall method was investigated of only one day of 23-26 weeks the first visited after decreased in hyperemesis because the intake of meals is to normal in post-pregnancy. 24 hour recall data were analyzed to using the Can-Pro software. Height of pregnant women were measured in 23-26 weeks and weight of them were measured at visited in the hospital. BMI (Body Mass Index) was calculated to weight of pre-pregnancy.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were included overeating, Eating speed, snack, intake of animal fats,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s, preference of cooking methods, preference of sugar foods, preference of sodium foods, preference of spice foods and preference of fatty foods. Women history was included the number of total pregnancy.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and psychic stress were investigated using national health surve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It was analyzed to BMI of pre-pregnancy related with intake of nutrients. There were under weight group correctly intake of calorie ratios of the three macro nutrients in Recommen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but over weight group were the highest intake of calorie ratios of fat than other groups. Also they tend to remove animal fat than others were. Eating speed was the fastest in over weight groups, besides neonatal weigh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over weight groups. But weight gains were the lowest in over weight groups. In all the subjects, intake ratios of phosporus (mg), vitamin A (RE), vitamin C (mg) was above a hundred percent of the recommend allowances, but calorie,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B1, vitamin B2, and niacin was very below of the recommend daily allow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 내용 및 방법
      • 1.조사대상자 및 방법
      • 2.자료의 분석방법
      • 연구결과 및 고찰
      • 서론
      • 연구 내용 및 방법
      • 1.조사대상자 및 방법
      • 2.자료의 분석방법
      • 연구결과 및 고찰
      • 1.임신부의 일반사항
      • 2.임신부들의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
      • 3.임신부의 임신 전 비만도와 식행동
      •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