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SNS 활용 특성에 관한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를 중심으로 =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NS Utilization of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B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3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의 한 유형인 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구축하여 운영하는 밴드에 직접 참여 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등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이슈인 타당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의 관리와 분석을 위해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을 활용하였다. 전사, 코딩, 주제 발견으로 이어지는 질적 자료의 유기적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반성적 성찰과 이론 탐색을 반복적인 비교, 분석, 재해석을 통해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밴드를 사용하는 네가지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공유와 소통을 통한 관계의 확장 및 의사결정의 공간, 둘째, 학습과 성찰을 촉진하는 비형식적 온라인 연수 공간, 셋째, 마음 나누기로 신뢰를 구축하는 정서적 교감 공간, 넷째, 수평적 동질성과 초청에 의해 수용되는 폐쇄적 공간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이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 역동성, 그리고 실제성이 풍부하고 사실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본 밴드 사용의 구체적 아이디어로 효율적인 학교운영의 수단, 관계 증진의 유용한 도구, 온라인 학습 공간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위학교를 구성하는 교사들에게 밴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의 한 유형인 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최근에 부각...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의 한 유형인 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구축하여 운영하는 밴드에 직접 참여 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등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이슈인 타당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의 관리와 분석을 위해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을 활용하였다. 전사, 코딩, 주제 발견으로 이어지는 질적 자료의 유기적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반성적 성찰과 이론 탐색을 반복적인 비교, 분석, 재해석을 통해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밴드를 사용하는 네가지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공유와 소통을 통한 관계의 확장 및 의사결정의 공간, 둘째, 학습과 성찰을 촉진하는 비형식적 온라인 연수 공간, 셋째, 마음 나누기로 신뢰를 구축하는 정서적 교감 공간, 넷째, 수평적 동질성과 초청에 의해 수용되는 폐쇄적 공간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이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 역동성, 그리고 실제성이 풍부하고 사실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본 밴드 사용의 구체적 아이디어로 효율적인 학교운영의 수단, 관계 증진의 유용한 도구, 온라인 학습 공간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위학교를 구성하는 교사들에게 밴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and’ as a type of SNS that teachers of one elementary school use. The researcher used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as a main research method. For this, a researcher collected various qualitative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Band, offline interview, and field note written by the researcher to consider triangulation in a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gathered using 3 step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Management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was used ‘Parangsae2.0’ which is one of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researcher determined four characteristics on Band usage of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petitive reflection and theoretical search by researc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usage consists of 4 results, relationship expansion and space for decision making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informal online study space facilitating learning and reflection, emotional communal space constructing belief through mind sharing, and closed space accommodated by homogeneity and invi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3 methods of Band usage that teachers can use Band efficiently in the educational aspect. Teachers can use Band as a means of efficient school operation, useful tool of relationship expansion, and online learning spac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and’ as a type of SNS that teachers of one elementary school use. The researcher used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as a main research method. For this, a researcher collected various qu...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and’ as a type of SNS that teachers of one elementary school use. The researcher used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as a main research method. For this, a researcher collected various qualitative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Band, offline interview, and field note written by the researcher to consider triangulation in a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gathered using 3 step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Management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was used ‘Parangsae2.0’ which is one of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researcher determined four characteristics on Band usage of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petitive reflection and theoretical search by researc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usage consists of 4 results, relationship expansion and space for decision making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informal online study space facilitating learning and reflection, emotional communal space constructing belief through mind sharing, and closed space accommodated by homogeneity and invi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3 methods of Band usage that teachers can use Band efficiently in the educational aspect. Teachers can use Band as a means of efficient school operation, useful tool of relationship expansion, and online learning sp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준,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54, 2013

      3 오영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서 스마트폰: 아동들의 교육적 경험" 한국교육개발원 42 (42): 167-195, 2015

      4 오영범, "질적자료분석: 파랑새2.0 소트프웨어" 아카데미프레스 2016

      5 오영범,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83-120, 2013

      6 장은정,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29 (29): 1-25, 2013

      7 서경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33-161, 2011

      8 오영범, "온라인 교사공동체 전문성 발달의 특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13-137, 2014

      9 김도헌, "소셜 미디어 활용의 두가지 얼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확장성과 마비성에 대한 고찰" 원격교육연구소 8 (8): 85-110, 2012

      10 이상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참여 동기 분석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 설계 원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729-754, 2011

      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준,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54, 2013

      3 오영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서 스마트폰: 아동들의 교육적 경험" 한국교육개발원 42 (42): 167-195, 2015

      4 오영범, "질적자료분석: 파랑새2.0 소트프웨어" 아카데미프레스 2016

      5 오영범,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83-120, 2013

      6 장은정,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29 (29): 1-25, 2013

      7 서경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33-161, 2011

      8 오영범, "온라인 교사공동체 전문성 발달의 특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13-137, 2014

      9 김도헌, "소셜 미디어 활용의 두가지 얼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확장성과 마비성에 대한 고찰" 원격교육연구소 8 (8): 85-110, 2012

      10 이상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참여 동기 분석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 설계 원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729-754, 2011

      11 김상홍, "교사연수에서 SNS를 이용한 협력성찰활동의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261-270, 2015

      12 강인애,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283-303, 2012

      13 Krasnova, H., "Why participate in an online social network: an empirical analysis"

      14 Alexander, R., "Weblogs as a means of marketing communication"

      15 Orgad, S., "Web studies: rewiring media studies for the digital age 2nd edn" Arnold 146-157, 2004

      16 Hine, C., "Virtual ethnography" Sage 2000

      17 Scho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18 Ellison, N., "The benefits of Facebook"Friends" :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12): 1143-1168, 2007

      19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 210-230, 2007

      20 Steinfield, C.,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 A longitudinal analysis" 29 : 434-445, 2008

      21 김지윤,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7-108, 2015

      22 손성호, "SNS기반 교사공동체를 통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 탐색 : 스마트교육 J선도교원 페이스북 그룹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81-201, 2014

      23 Rodriguez-Hoyos, C., "Research on SNS and education: The state of the art and its challenges" 31 (31): 100-111, 2015

      24 Pearson, A. F., "Real problems, virtual solutions: Engaging students online" 38 (38): 207-214, 2010

      25 Kuss, D. J.,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8 : 3528-3552, 2011

      26 Duncan-Howell, J, "Online professional communities :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embership on teacher practice" 16 (16): 601-613, 2009

      27 Kozinets, R. V., "Netnography : Doing ethnographic research online" Sage 2010

      28 Bergman, S. M., "Millennials,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hat narcissists do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why" 50 : 706-711, 2011

      29 Quinn, S., "Is the igeneration a ‘we’generation? Social networking use among 9-to 13-year-olds and belonging" 31 : 136-142, 2013

      30 Sade-Beck, L., "Internet ethnography : Online and offline" 3 (3): 1-14, 2004

      31 Kim, Y.,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27 : 365-372, 2010

      32 Davis, J., "Architecture of the personal interactive homepage : Constructing the self through MySpace" 12 (12): 1103-1119, 2010

      3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3.7 3.7 3.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9 2.68 3.751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