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 성 보나벤뚜라의 『대전기』를 중심으로 =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in the legenda major of St. Bonaven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51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전기』 는 전기 형식을 취한 영성신학 작품이며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과정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성 프란치스꼬가 그의 영적 성장에서 보여준 질서는 완덕의 세 가지 길에 관한 정화, 조명, 일치라는 단계적인 과정이다. 이 질서는 『대전기』 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데, 첫째, 시간적인 진행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 둘째, 덕의 단계적인 발전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이 있다. 전자는1-2장이 정화 단계에, 3-4장이 조명 단계에, 14-15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후자는 5-7장이 정화 단계에, 8-10장이 조명 단계에, 11-13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이 덕의 발전 순서는 수직적 질서와 수평적 질서로 나누어 진다. 수직적 질서는 인간이 덕행의 삶에 의해 영적으로 상승하여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질서이다. 수평적 질서는 인간이 영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회복해야 할 모든 창조물 상호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며 영원한 모형에 의해 창조된 질서를 회복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서이다. 이 두 질서는 상호 조화를 이룰 때 각 질서가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성 프란치스꼬는 자신 안에서 이 두 가지 질서를 조화롭게 성취하였다.
      성 프란치스꼬가 이들 질서를 따라 영적 성장을 이룸에 있어서 그리스도는 늘 그 중심자리를 차지하였다. 그리스도는 십자가 상의 죽음을 통해서 모든 인간에게 구원의 신비를 이룩하심으로써 교만과 죄로 인해 잃어버린 질서와 조화를 회복할 수 있는 힘을 되찾아 주셨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힘을 차고 넘치도록 받아누렸으며, 그의 영적 성장 과정은 일생동안 그리스도의 십자가 신비에 기초한 삶에 철저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원위치를 회복해 가는 과정이었다.
      첫째, 정화란 죄악에서 회개로 넘어가는 것이다.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여정은 사랑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영적 성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랑이다. 이 사랑은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삶의 본질을 표현한다. 이 사랑은 성프란치스꼬의 영혼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화, 조명, 일치를 가능케하는 원동력이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 하느님께 대한 사랑, 이웃에 대한 사랑,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나에 대한 사랑 등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병고를 거치는 과정에서 감각의 회복을 얻었고, 성령을 받게 되었다. 이후 성 프란치스꼬는 성령에 사로잡힌 사람이 되어 하느님의 이끄심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보답으로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에 대한 사랑의 열망으로 불타올랐으며, 그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서 이웃사랑의 실천을 선택했다. 그가 보여준 이웃 사랑의 상징적인 예가 나병환자와의 만남이다. 성 프란치스꼬는 나병환자를 만난 후 결정적으로 회개의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이웃사랑은 비단 사람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피조물을 한 형제처럼 사랑하는 우주적인 형제애로 확산되었다.
      성 프란치스꼬가 사랑을 실천함에 있어서 안내자 역할을 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이었다. 십자가의 환시를 통해 성 프란치스꼬의 마음 속에 십자가의 그리스도의 사랑이 새겨졌으며 그는 회개 이후 죽을 때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가슴에 품고 이를 살아갔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뜻을 알고 하느님의 뜻에 일치하는 자기 위치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 결과 육의 아버지 대신 하느님을 영적 아버지로 택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 충실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러한 내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행위가 지금까지 입고 있던 옷을 모두 벗어 던지는 것이었다. 옷을 벗음은 세상에 죽고 자기를 버리는 완전한 회개를 뜻한다. 이것은 죄에 물든 나를 버리고 '참 나'를 찾아가는 길이다.
      『대전기』 에서 언급하는 정화 단계에 해당하는 덕들은 엄격함, 겸손과 순종, 청빈이다. 이 덕들은 성 프란치스꼬로 하여금 감각의 순수성을 회복하도록 하였고 참된 자신에 대해 자각하도록 했다. 성 프란치스꼬가 점차 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의 영혼 안에 창조 때 심어진 하느님의 모상이 본래 모습으로 회복되었다.
      둘째, 조명이란 회개에서 지혜로 건너가는 것이다. 성프란치스꼬는 '말씀'에 글자 그대로 충실하고자 노력한 결과 복음 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그리스도교적 완덕에 있어서 진보하기 시작했다. 이 완덕은 복음적 완덕을 말한다. 성 프란치스꼬가 추구한 복음적 완덕은 그리스도를 충실하게 따르는 것이다. 이 완덕을 향한 여정에서 그리스도는 성 프란치스꼬의 유일한 스승이 되어 그의 삶 전체를 통하여 그를 가르치고 인도하였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완덕의 절정이 곧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고자 하는 그의 열망과 노력은 그로 하여금 그리스도와의 일치 안에서 성장하도록 하여 영적으로 뿐만 아니라 육체적 외형적으로도 수난받으신 구세주의 모습을 닮도록 하였다.
      조명 단계에서 다루어지는 덕들로
      번역하기

      『대전기』 는 전기 형식을 취한 영성신학 작품이며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과정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성 프란치스꼬가 그의 영적 성장에서 보여준 질서는 완덕의 세 ...

      『대전기』 는 전기 형식을 취한 영성신학 작품이며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과정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성 프란치스꼬가 그의 영적 성장에서 보여준 질서는 완덕의 세 가지 길에 관한 정화, 조명, 일치라는 단계적인 과정이다. 이 질서는 『대전기』 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데, 첫째, 시간적인 진행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 둘째, 덕의 단계적인 발전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이 있다. 전자는1-2장이 정화 단계에, 3-4장이 조명 단계에, 14-15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후자는 5-7장이 정화 단계에, 8-10장이 조명 단계에, 11-13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이 덕의 발전 순서는 수직적 질서와 수평적 질서로 나누어 진다. 수직적 질서는 인간이 덕행의 삶에 의해 영적으로 상승하여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질서이다. 수평적 질서는 인간이 영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회복해야 할 모든 창조물 상호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며 영원한 모형에 의해 창조된 질서를 회복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서이다. 이 두 질서는 상호 조화를 이룰 때 각 질서가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성 프란치스꼬는 자신 안에서 이 두 가지 질서를 조화롭게 성취하였다.
      성 프란치스꼬가 이들 질서를 따라 영적 성장을 이룸에 있어서 그리스도는 늘 그 중심자리를 차지하였다. 그리스도는 십자가 상의 죽음을 통해서 모든 인간에게 구원의 신비를 이룩하심으로써 교만과 죄로 인해 잃어버린 질서와 조화를 회복할 수 있는 힘을 되찾아 주셨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힘을 차고 넘치도록 받아누렸으며, 그의 영적 성장 과정은 일생동안 그리스도의 십자가 신비에 기초한 삶에 철저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원위치를 회복해 가는 과정이었다.
      첫째, 정화란 죄악에서 회개로 넘어가는 것이다.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여정은 사랑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영적 성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랑이다. 이 사랑은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삶의 본질을 표현한다. 이 사랑은 성프란치스꼬의 영혼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화, 조명, 일치를 가능케하는 원동력이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 하느님께 대한 사랑, 이웃에 대한 사랑,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나에 대한 사랑 등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병고를 거치는 과정에서 감각의 회복을 얻었고, 성령을 받게 되었다. 이후 성 프란치스꼬는 성령에 사로잡힌 사람이 되어 하느님의 이끄심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보답으로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에 대한 사랑의 열망으로 불타올랐으며, 그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서 이웃사랑의 실천을 선택했다. 그가 보여준 이웃 사랑의 상징적인 예가 나병환자와의 만남이다. 성 프란치스꼬는 나병환자를 만난 후 결정적으로 회개의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이웃사랑은 비단 사람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피조물을 한 형제처럼 사랑하는 우주적인 형제애로 확산되었다.
      성 프란치스꼬가 사랑을 실천함에 있어서 안내자 역할을 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이었다. 십자가의 환시를 통해 성 프란치스꼬의 마음 속에 십자가의 그리스도의 사랑이 새겨졌으며 그는 회개 이후 죽을 때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가슴에 품고 이를 살아갔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뜻을 알고 하느님의 뜻에 일치하는 자기 위치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 결과 육의 아버지 대신 하느님을 영적 아버지로 택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 충실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러한 내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행위가 지금까지 입고 있던 옷을 모두 벗어 던지는 것이었다. 옷을 벗음은 세상에 죽고 자기를 버리는 완전한 회개를 뜻한다. 이것은 죄에 물든 나를 버리고 '참 나'를 찾아가는 길이다.
      『대전기』 에서 언급하는 정화 단계에 해당하는 덕들은 엄격함, 겸손과 순종, 청빈이다. 이 덕들은 성 프란치스꼬로 하여금 감각의 순수성을 회복하도록 하였고 참된 자신에 대해 자각하도록 했다. 성 프란치스꼬가 점차 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의 영혼 안에 창조 때 심어진 하느님의 모상이 본래 모습으로 회복되었다.
      둘째, 조명이란 회개에서 지혜로 건너가는 것이다. 성프란치스꼬는 '말씀'에 글자 그대로 충실하고자 노력한 결과 복음 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그리스도교적 완덕에 있어서 진보하기 시작했다. 이 완덕은 복음적 완덕을 말한다. 성 프란치스꼬가 추구한 복음적 완덕은 그리스도를 충실하게 따르는 것이다. 이 완덕을 향한 여정에서 그리스도는 성 프란치스꼬의 유일한 스승이 되어 그의 삶 전체를 통하여 그를 가르치고 인도하였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완덕의 절정이 곧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고자 하는 그의 열망과 노력은 그로 하여금 그리스도와의 일치 안에서 성장하도록 하여 영적으로 뿐만 아니라 육체적 외형적으로도 수난받으신 구세주의 모습을 닮도록 하였다.
      조명 단계에서 다루어지는 덕들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genda Major is a new style of writing in which biography becomes theology. Legenda Major is a theological expression of the Franciscan experiense.
      In the Legenda Major the process of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consists of a threefold pattern, purgation, illumination and unification. Thus chapters one and two, three and four, fourteen and fifteen which are historical in character, correspond to the three phase; purgation to chapters one and two, illumination to chapters three and four, unification to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And this same pattern emerges in the analysis of the virtues of St. Francis, chapters five to thirteen, which may be divided in a threefold manner according to the same approach; purgation to chapters five to seven, illumination to chapters eight to ten, unification to chapters eleven to thirteen.
      The order of the growth of virtues consists of the vertical approach and the horizontal. The first one consist in the orientation and movement of all created beings in this world to their final end, God. The second concerns the interrelation of all creatures to one another and consists in the disposition, arrangement and association of all things in this world.
      Christ is of the Cross the cente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e stigmatization of St. Francis is the fundmental pattern of the Franciscan spirit and is a salient principle in understanding the saint's growth in virtues.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growth starts at love. Lov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is love consists of love of God, love to God, love to neighbour, love to the crucified Jesus, love to oneself.
      St. Francis' soul turned from the transitory values of earth to the eternal verities of heaven. The process is threefold; to journey from vice to penance; to pass from penance to wisdom; and to travel from wisdom to eternal life. The death of St. Francis is the culmination of the journey begun by him at the time of his conversion. St. Francis is the model of the perfect pass-over into God.
      The first stage of this threefold development consists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St. Francis. This comprises chapters one and two of the Legenda Major. It is that period in which the young Francis began to turn from the values of the world and to grow in a deeper sense of humility as well a a material and an immaterial poverty. This growth is characterized by a total stripping or emptying of the young man. It entails a purgation, a mortification, or a dying to one's self, and as such corresponds to those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five, six and seven, which treat of the saint's growth in the virtues of austerity, humility, obedience and poverty.
      This self-emptying enables St. Francis to grasp more fully the life of Christ which was his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inspires him to express this more fully in a total conformity with the Gospel way of life. This is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Since chapters eight, nine and ten form Bonaventure's description of those virtues which are indicative of the new life of Christ to which St. Francis strove to conform, i.e., a life of piety, charity and prayer, they reflect this second phase of the saint's development in the spiritual life.
      The thorough conformity with Christ led to its expression in the stigmata and deepened the St. Francis' consciousness of the Pashal Mysteries. Accordingly, even as St. Francis was dying he strove to imitate the Crucified Christ, both in his desire to be united with His sufferings and in his eagerness to win as many souls as possible for him. Thus the death of St. Francis became a passover to the Father after the manner of the Redeemer of all man. Chapters eleven, twelve and thirteen, which treat of his St. Frsncis' understanding of Scripture, the efficacy of his preaching and the stigmata, lead to this final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of the Legenda Major.
      번역하기

      Legenda Major is a new style of writing in which biography becomes theology. Legenda Major is a theological expression of the Franciscan experiense. In the Legenda Major the process of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consists of a threefold pattern, ...

      Legenda Major is a new style of writing in which biography becomes theology. Legenda Major is a theological expression of the Franciscan experiense.
      In the Legenda Major the process of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consists of a threefold pattern, purgation, illumination and unification. Thus chapters one and two, three and four, fourteen and fifteen which are historical in character, correspond to the three phase; purgation to chapters one and two, illumination to chapters three and four, unification to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And this same pattern emerges in the analysis of the virtues of St. Francis, chapters five to thirteen, which may be divided in a threefold manner according to the same approach; purgation to chapters five to seven, illumination to chapters eight to ten, unification to chapters eleven to thirteen.
      The order of the growth of virtues consists of the vertical approach and the horizontal. The first one consist in the orientation and movement of all created beings in this world to their final end, God. The second concerns the interrelation of all creatures to one another and consists in the disposition, arrangement and association of all things in this world.
      Christ is of the Cross the cente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e stigmatization of St. Francis is the fundmental pattern of the Franciscan spirit and is a salient principle in understanding the saint's growth in virtues.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growth starts at love. Lov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is love consists of love of God, love to God, love to neighbour, love to the crucified Jesus, love to oneself.
      St. Francis' soul turned from the transitory values of earth to the eternal verities of heaven. The process is threefold; to journey from vice to penance; to pass from penance to wisdom; and to travel from wisdom to eternal life. The death of St. Francis is the culmination of the journey begun by him at the time of his conversion. St. Francis is the model of the perfect pass-over into God.
      The first stage of this threefold development consists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St. Francis. This comprises chapters one and two of the Legenda Major. It is that period in which the young Francis began to turn from the values of the world and to grow in a deeper sense of humility as well a a material and an immaterial poverty. This growth is characterized by a total stripping or emptying of the young man. It entails a purgation, a mortification, or a dying to one's self, and as such corresponds to those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five, six and seven, which treat of the saint's growth in the virtues of austerity, humility, obedience and poverty.
      This self-emptying enables St. Francis to grasp more fully the life of Christ which was his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inspires him to express this more fully in a total conformity with the Gospel way of life. This is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Since chapters eight, nine and ten form Bonaventure's description of those virtues which are indicative of the new life of Christ to which St. Francis strove to conform, i.e., a life of piety, charity and prayer, they reflect this second phase of the saint's development in the spiritual life.
      The thorough conformity with Christ led to its expression in the stigmata and deepened the St. Francis' consciousness of the Pashal Mysteries. Accordingly, even as St. Francis was dying he strove to imitate the Crucified Christ, both in his desire to be united with His sufferings and in his eagerness to win as many souls as possible for him. Thus the death of St. Francis became a passover to the Father after the manner of the Redeemer of all man. Chapters eleven, twelve and thirteen, which treat of his St. Frsncis' understanding of Scripture, the efficacy of his preaching and the stigmata, lead to this final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of the Legenda Maj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논문 초록 = v
      • 서론 = 1
      • 1장 『대전기』의 영성신학적 가치 = 6
      • 1.1 서론 = 6
      • 목차 = i
      • 논문 초록 = v
      • 서론 = 1
      • 1장 『대전기』의 영성신학적 가치 = 6
      • 1.1 서론 = 6
      • 1.2 성 프란치스꼬와 성 보나벤뚜라 = 6
      • 1.3 『대전기』에 관한 학자들의 평가 = 10
      • 1.3.1 『대전기」의 집필동기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 10
      • 1.3.2 『대전기』의 가치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 14
      • 1.3.3 영성 신학 작품으로서의 『대전기』 = 16
      • 1.4 소결론 = 17
      • 2장 『대전기』에 나타난 성 프란치스꼬의 덕의 질서 = 18
      • 2.1 서론 = 18
      • 2.2 『대전기』의 영성신학적 구조 = 19
      • 2.3 『대전기』서문에 나타난 성 프란치스꼬에 대한 상징 = 21
      • 2.4 덕들의 기초인 삼위일체 = 25
      • 2.5 덕의 성장에 관한 두 가지 질서 = 27
      • 2.5.1 수직적 영역 = 28
      • 2.5.2 수평적 영역 = 30
      • 2.5.3 두 질서의 조화 = 33
      • 2.6 성 프란치스꼬의 덕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위치 = 35
      • 2.7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과 마리아 신심 = 36
      • 2.8 소결론 = 39
      • 3장 『대전기』에 나타난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 41
      • 3.1 서론 = 41
      • 3.2 영적 성숙의 단계 = 42
      • 3.2.1 완덕의 세 가지 길에 의한 구분 = 42
      • 3.2.2 용어의 개념 = 42
      • 3.2.3 완덕의 세 가지 길에 대한 구분이 지니는 의미 = 43
      • 3.2.4 성 보나벤뚜라가 말하는 완덕의 세 가지 길 = 43
      • 3.3 정화 단계 = 46
      • 3.3.1 삶의 과정 = 46
      • 3.3.1.1 영적 성장에서 차지하는 사랑의 수위성 = 46
      • 3.3.1.2 하느님의 사랑 = 48
      • 1) 세속에서의 생활 = 48
      • 2) 회개의 시작 = 49
      • ① 병고를 통한 감각의 회복 = 50
      • ② "그를 낮추셨다" = 50
      • ③ 성령을 받음 = 51
      • 3) 하느님의 이끄심 = 52
      • 4) 하느님을 향한 삶 = 53
      • 3.3.1.3 하느님에 대한 사랑 = 54
      • 1) 하느님에 대한 열망 = 55
      • 2) 하느님의 뜻을 찾음 = 56
      • 3) 하느님에 대한 사랑의 실천 = 56
      • 3.3.1.4 이웃에 대한 사랑 = 57
      • 1)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 = 57
      • 2) 나병환자를 만남 = 57
      • 3) 이웃 사랑을 통한 정화 = 59
      • 4) 교회에 대한 사랑 = 59
      • 5) 우주적 형제애 = 59
      • 3.3.1.5 십자가에 대한 사랑 = 60
      • 3.3.1.6 ‘참 나’에 대한 사랑과 새로운 삶 = 61
      • 3.3.2 영적 성장 = 64
      • 3.3.2.1 수직적 영역 = 64
      • 1) 엄격함 = 64
      • 2) 겸손과 순종 = 64
      • 3) 가난 = 65
      • 4) 요약 = 66
      • 3.3.2.2 수평적 영역 = 67
      • 1) 엄격함 = 67
      • 2) 겸손과 순종 = 67
      • 3) 가난 = 68
      • 4) 요약 = 68
      • 3.4 조명 단계 = 69
      • 3.4.1 삶의 과정 = 69
      • 3.4.1.1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신 말씀" = 69
      • 3.4.1.2 복음적 완덕 = 71
      • 3.4.1.3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음 = 72
      • 3.4.1.4 수도자의 삶 = 73
      • 3.4.1.5 평화의 사도 = 73
      • 3.4.1.6 교회의 사람 = 74
      • 3.4.2 영적 성장 = 74
      • 3.4.2.1 수직적 영역 = 75
      • 1) 피조물에 대한 사랑 = 75
      • 2) 타오르는 사랑과 순교에 대한 열망 = 76
      • 3) 기도 그리고 하느님에 대한 사랑 = 76
      • 4) 요약 = 77
      • 3.4.2.2 수평적 영역 = 78
      • 1) 피조물과 하나되어 = 79
      • 2) 타오르는 사랑 = 79
      • 3) 기도 = 79
      • 4) 요약 = 80
      • 3.5 일치(완덕) 단계 = 80
      • 3.5.1 삶의 과정 = 80
      • 3.5.1.1 성 프란치스꼬의 삶이 보여주는 종말론적 의미 = 81
      • 3.5.1.2 건너감 = 83
      • 3.5.2 영적 성장 = 84
      • 3.5.2.1 수직적 영역 = 84
      • 1) 성경에 대한 놀라운 이해력과 예언하는 능력 = 84
      • 2) 설교의 효력 = 84
      • 3) 오상을 통해 드러난 완덕 = 85
      • 3.5.2.2 수평적 영역 = 86
      • 3.6 소결론 = 87
      • 결론 = 89
      • 참고문헌 = 95
      • ABSTRACT =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