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아바타(Avatar) 측면에서 본 『노자(老子)』의 양신(陽神) = Yangshen 陽神, of Laozi 老子 from the Perspective of Metaverse Avat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terpret the in the context of a metaverse avatar. Through this, I’d like to look at Laozi’s criticism of the disembodiment that the rise of virtual environments like the metaverse will bring.
      Avatar is a self-spirit mediator who is a cyberspace variant of the ego and a supporter. The avatar that exists as an image body, on the other hand, is the transformation of Plato’s idea, or form, into the virtual world’s inFORMation. The Cartesian dualism will be strengthened as the technical execution of these avatars improves and their level of synchronization with humans grows. It also creates mental and physical divis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Avatar technically embodies Yangshen(陽神 or 元神, Primordial Spirit). Internal Alchemy Taoism aspires for the shen(身 and 神 at the same time) developed by Internal Alchemy training, which is a transcendent self. Internal Alchemy training existed before External Alchemy training, according to this study, and Laozi was the leader of the group that trains and educates Internal Alchemy training. I’ll interpret based on this viewpoint.
      The body is where the meaning of on the metaverse avatar is found. Avatars are Plato’s forms and images. The body of reality is forgotten the instant you access it. On the other hand, Yangshen focuses on the body in the present moment. It does not ignore the body, but rather puts a focus on the body and becomes one with it through the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The body is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A god without a body is nothing more than a phantom. Because it pursues, the body is more valuable.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terpret the in the context of a metaverse avatar. Through this, I’d like to look at Laozi’s criticism of the disembodiment that the rise of virtual environments like the metaverse will bring. Avatar is a self-spir...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terpret the in the context of a metaverse avatar. Through this, I’d like to look at Laozi’s criticism of the disembodiment that the rise of virtual environments like the metaverse will bring.
      Avatar is a self-spirit mediator who is a cyberspace variant of the ego and a supporter. The avatar that exists as an image body, on the other hand, is the transformation of Plato’s idea, or form, into the virtual world’s inFORMation. The Cartesian dualism will be strengthened as the technical execution of these avatars improves and their level of synchronization with humans grows. It also creates mental and physical divis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Avatar technically embodies Yangshen(陽神 or 元神, Primordial Spirit). Internal Alchemy Taoism aspires for the shen(身 and 神 at the same time) developed by Internal Alchemy training, which is a transcendent self. Internal Alchemy training existed before External Alchemy training, according to this study, and Laozi was the leader of the group that trains and educates Internal Alchemy training. I’ll interpret based on this viewpoint.
      The body is where the meaning of on the metaverse avatar is found. Avatars are Plato’s forms and images. The body of reality is forgotten the instant you access it. On the other hand, Yangshen focuses on the body in the present moment. It does not ignore the body, but rather puts a focus on the body and becomes one with it through the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The body is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A god without a body is nothing more than a phantom. Because it pursues, the body is more valu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노자』 텍스트를 메타버스(Metaverse) 아바타(Avatar)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공간의 발달이 가져올 탈신체화(disembodiment)에 대해 노자 사상의 비판을 고찰하고자 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의 변형이며 담지자인 아바타는 자아 정신의 매개자다. 그러나 이미지화된 몸으로 존재하는 아바타는 플라톤의 이데아(idea), 즉 ‘형상(form)’이 가상세계의 ‘정보(inFORMation)’로 전환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아바타의 기술적 구현이 발달하고 인간과의 동기화(synchronization) 수준이 높아질수록 데카르트적 이원론이 강화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정신과 몸의 분열을 야기한다.
      본고는 아바타가 『노자』의 양신(陽神)을 기술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본다. 양신은 내단 수련을 통해 만들어지는 ‘몸[身이면서 神]’을 말하는 것으로 도교 내단 사상이 목표로 삼는 초월적 자아이다. 본고는 내단수련이 외단수련보다 먼저 존재했고, 또한 노자라는 인물이 내단과 양신을 수련하고 교육하는 집단의 교조였을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노자󰡕를 해석할 것이다.
      『노자』의 양신이 메타버스 아바타에 주는 의미는 몸에 있다. 아바타는 플라톤적 형상이고 이미지일 뿐이다. 그것에 접속하는 순간 현실의 몸은 잊혀진다. 이와 달리 󰡔노자󰡕의 양신은 지금 여기의 몸에 집중한다. 몸을 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몸에 집중하고 그것과 하나가 되는 심신일체의 합일을 통해 양신을 생성한다. 양신이 나오는 것도 몸이 있기 때문이다. 몸[身]이 없는 신(神)은 혼백과 같은 귀신일 뿐이다. 양신을 추구하기 때문에 더욱 몸을 귀하게 여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노자』 텍스트를 메타버스(Metaverse) 아바타(Avatar)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공간의 발달이 가져올 탈신체화(disembodiment)에 대해 노자 ...

      본 논문은 『노자』 텍스트를 메타버스(Metaverse) 아바타(Avatar)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공간의 발달이 가져올 탈신체화(disembodiment)에 대해 노자 사상의 비판을 고찰하고자 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의 변형이며 담지자인 아바타는 자아 정신의 매개자다. 그러나 이미지화된 몸으로 존재하는 아바타는 플라톤의 이데아(idea), 즉 ‘형상(form)’이 가상세계의 ‘정보(inFORMation)’로 전환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아바타의 기술적 구현이 발달하고 인간과의 동기화(synchronization) 수준이 높아질수록 데카르트적 이원론이 강화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정신과 몸의 분열을 야기한다.
      본고는 아바타가 『노자』의 양신(陽神)을 기술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본다. 양신은 내단 수련을 통해 만들어지는 ‘몸[身이면서 神]’을 말하는 것으로 도교 내단 사상이 목표로 삼는 초월적 자아이다. 본고는 내단수련이 외단수련보다 먼저 존재했고, 또한 노자라는 인물이 내단과 양신을 수련하고 교육하는 집단의 교조였을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노자󰡕를 해석할 것이다.
      『노자』의 양신이 메타버스 아바타에 주는 의미는 몸에 있다. 아바타는 플라톤적 형상이고 이미지일 뿐이다. 그것에 접속하는 순간 현실의 몸은 잊혀진다. 이와 달리 󰡔노자󰡕의 양신은 지금 여기의 몸에 집중한다. 몸을 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몸에 집중하고 그것과 하나가 되는 심신일체의 합일을 통해 양신을 생성한다. 양신이 나오는 것도 몸이 있기 때문이다. 몸[身]이 없는 신(神)은 혼백과 같은 귀신일 뿐이다. 양신을 추구하기 때문에 더욱 몸을 귀하게 여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봉, "하늘공부1" 가마오 2018

      2 김창래, "철학의 욕망 Ⅲ. 끝의 끝?" 중앙철학연구소 34 : 95-144, 2013

      3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정순종, "주자 수양론의 윤리주의 -신비주의의 세속화-" 한국종교학회 80 (80): 207-234, 2020

      5 종리권, "종려전도집" 세창출판사 2013

      6 蒙培元, "유가철학, 감정으로 이성을 말하다" 예문서원 2020

      7 왕필, "왕필의 노자주" 한길사 2005

      8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강 2009

      9 "아바타라" 위키피디아

      10 안상혁, "아바타 담론" 인문학연구원 (47) : 275-290, 2011

      1 박재봉, "하늘공부1" 가마오 2018

      2 김창래, "철학의 욕망 Ⅲ. 끝의 끝?" 중앙철학연구소 34 : 95-144, 2013

      3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정순종, "주자 수양론의 윤리주의 -신비주의의 세속화-" 한국종교학회 80 (80): 207-234, 2020

      5 종리권, "종려전도집" 세창출판사 2013

      6 蒙培元, "유가철학, 감정으로 이성을 말하다" 예문서원 2020

      7 왕필, "왕필의 노자주" 한길사 2005

      8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강 2009

      9 "아바타라" 위키피디아

      10 안상혁, "아바타 담론" 인문학연구원 (47) : 275-290, 2011

      11 장 보들리야르, "소비의 사회" 文藝出版社 1991

      12 윤현정 ; 이진 ; 윤혜영,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 가능세계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62) : 57-80, 2021

      13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14 앙리 마스페로, "도교" 까치 1999

      15 이석명,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 소명출판 2005

      16 홍성태, "계몽기획의 완성으로서 가상현실/사이먼 페니" 문화과학사 10 : 1996

      17 마이클 하임,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책세상 1997

      18 "黃帝內經"

      19 "鍾呂傳道集"

      20 김학목, "道德經 42장에 대한 考察" 한국도교문화학회 17 : 171-196, 2002

      21 "莊子"

      22 "荀子"

      23 "老子"

      24 "禮記"

      25 "玉詮"

      26 "玄經原旨發揮"

      27 "東醫寶鑑"

      28 "朱子語類"

      29 "書經"

      30 "史記"

      31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上卷" 人民出版社 1989

      32 이성구, "『老子』와 養生術" 철학사상연구소 (31) : 63-112, 2009

      33 Xinge Yu, "Skin-integrated wireless haptic interface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575 : 2019

      34 Miyashita, Homei, "Norimaki Synthesizer: Taste Display Using Ion Electrophoresis in Five Gels" 2020

      35 Abent, Eric, "Intel made experimental chips that can smell"

      36 Thomas Hanna, "Bodies in Revolt: A Primer in Somatic Thinking" Freeperson Press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