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자본 및 서비스 질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37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이후 많은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양적 확대에 편중된 인프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재고 및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 등의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전문적이고 효율
      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서비스 질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고,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지 여부를 실증 조사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정책과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재가장기요양기관, 입소생활시설 등)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450부를 배부하고, 회수된 430부 중 무응답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41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유의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두 변수간의 경로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대한 간접효과가 정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함으로 더욱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노동이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부분매개효과를 입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들이 현장에서 당면하고 있는 감정노동의 문제로 인해부정적으로 미칠 수 있는 서비스 질의 수준에 대해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 등의 사회적 자본이 동반되었을 때 그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함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정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신뢰와 공공성의 원칙이 회복되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요양서비스의 공급 방식을 민간에 전적으로 위탁할 것이 아니라 공공영역에서 관장하는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를 확충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의 재가복지와 민간중심으로 편향된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급체계를 개선함과 더불어 일선의 노인요양서비스 핵심인력인 요양보호사제도에서 관리능력과 전문적 기능을 갖춘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고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단체에 의해 노인복지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요양보호사들이 담당하는 신체적 지원과 함께 심리적 지원까지 포괄하는 생애주기에 맞춘 적합한 활동 지원이 가능한 요양보호사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형성되고, 사회적 자본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육의 시행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요양서비스 제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이후 많은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양적 확대에 편중된 인프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재고 및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 등의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고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이후 많은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양적 확대에 편중된 인프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 재고 및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 등의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전문적이고 효율
      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서비스 질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고,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지 여부를 실증 조사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정책과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재가장기요양기관, 입소생활시설 등)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450부를 배부하고, 회수된 430부 중 무응답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41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유의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두 변수간의 경로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대한 간접효과가 정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함으로 더욱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노동이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부분매개효과를 입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들이 현장에서 당면하고 있는 감정노동의 문제로 인해부정적으로 미칠 수 있는 서비스 질의 수준에 대해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 등의 사회적 자본이 동반되었을 때 그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함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정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신뢰와 공공성의 원칙이 회복되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요양서비스의 공급 방식을 민간에 전적으로 위탁할 것이 아니라 공공영역에서 관장하는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를 확충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의 재가복지와 민간중심으로 편향된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급체계를 개선함과 더불어 일선의 노인요양서비스 핵심인력인 요양보호사제도에서 관리능력과 전문적 기능을 갖춘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고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단체에 의해 노인복지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요양보호사들이 담당하는 신체적 지원과 함께 심리적 지원까지 포괄하는 생애주기에 맞춘 적합한 활동 지원이 가능한 요양보호사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형성되고, 사회적 자본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육의 시행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요양서비스 제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국문초록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요양보호사 제도··················································· 6
      •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6
      • 2) 요양보호사 제도 ····················································································13
      • 2. 감정노동 ·······································································································17
      • 1) 감정노동의 개념 ····················································································17
      • 2) 감정노동의 구성요인············································································21
      • 3. 사회적 자본·································································································23
      • 1) 사회적 자본의 정의··············································································23
      •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인 ······································································28
      • 4. 서비스 질·····································································································29
      • 1) 서비스 질의 정의··················································································29
      • 2)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 ··········································································31
      • 3)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질 ························································ 35
      • Ⅲ. 연구방법 ·······································································································41
      • 1. 연구대상 ·······································································································41
      • 2.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2
      • 3.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44
      • 1) 독립변수 : 감정노동 ·············································································44
      • 2) 매개변수 : 사회적 자본 ·······································································46
      • 3) 종속변수 : 서비스 질···········································································48
      • 4) 통제변수··································································································51
      • 4. 분석방법 ·······································································································53
      • Ⅳ. 연구결과 ·······································································································5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4
      • 2. 주요변인에 대한 특성···············································································58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사회적 자본, 서비스 질의 차이
      • ····························································································································61
      • 4.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75
      • 5.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76
      • 6. 측정모형의 분석·························································································79
      • 7.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검증·································································83
      • 8. 사회적 자본의 하위영역별 매개효과 검증···········································85
      • 9. 연구가설의 검증·························································································91
      • Ⅴ. 결론 ················································································································94
      • 1. 연구결과 논의 ···························································································94
      • 2. 정책 실천적 제언·······················································································97
      • 참고문헌 ··········································································································100
      • 부록··················································································································113
      • ABSTRACT ································································································1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비스 경영, 조재립, 청문각, 서울: 청문각, , 2009

      2. 『사회적 인간의 본성』, 이성록, 서울: 미디어 숲, , 2007

      3. SERVQUAL 모형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이강,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 와 행정연구』. 15(1): 449-470, , 2004

      4.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박희봉, 김명환,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 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2000

      5. 『사회적 자본의 측정에 관한 고찰』, 홍영란, 한국교육개발원, 서울:한국교육개발원, , 2005

      6.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결과와 시사점,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Issue & Focus』. 260: 1-8, , 2014

      7.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김진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9

      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파주: 21세기사, , 2011

      9.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배병룡,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15(4): 49-74, , 2005

      10.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질적 평가, 원시연, 이석민, 한국행정학회, 『한국행 정학회』. 46(4): 207-232, , 2012

      1. 서비스 경영, 조재립, 청문각, 서울: 청문각, , 2009

      2. 『사회적 인간의 본성』, 이성록, 서울: 미디어 숲, , 2007

      3. SERVQUAL 모형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이강,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 와 행정연구』. 15(1): 449-470, , 2004

      4.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박희봉, 김명환,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 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2000

      5. 『사회적 자본의 측정에 관한 고찰』, 홍영란, 한국교육개발원, 서울:한국교육개발원, , 2005

      6.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결과와 시사점,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Issue & Focus』. 260: 1-8, , 2014

      7.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김진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9

      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파주: 21세기사, , 2011

      9.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배병룡,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15(4): 49-74, , 2005

      10.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질적 평가, 원시연, 이석민, 한국행정학회, 『한국행 정학회』. 46(4): 207-232, , 2012

      11. “지역아동센터 사례관리 수행 영향 요인”, 이은영,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12.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전문 성 강화방안』, 김도훈, 이호용, 김경아, 조정완, 유애정,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서울: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2013

      13. 『서울시 요양보호사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신경희, 서울: 서울연 구원, , 2013

      14.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한 국교육개발원, , 2006

      15. “한국사회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김종진, 『노동사회』. 170: 126-141, , 2014

      16.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품질관리 체계화 방안”, 김세진, 이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 건사회연구』. 32(4): 66-93, , 2012

      17.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대안적 평생교육 탐색, 구혜정,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18.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선우덕,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 2013

      19. “사회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관계에 대한 소고”, 이상일, 『인제논 총』. 22(1): 97-111, , 2006

      2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엄기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 지포럼』. 142: 38-46, , 2008

      21.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김효실(Hyo Sil Kim), 차석빈 ( Suk Bin Cha ),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학회』. 17(1): 93-112, , 2014

      22.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원종욱, 서 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9

      23. 초등학교 남교사에게 요구되는 성역할 기대 이미지, 구본열,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논문집』. 975-987, , 2009

      24. 공급자 관점에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 석재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68: 34-44, , 2010

      25.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 숭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26.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강용규, 『임상사회사업연구』. 9(1): 1-21, , 2012

      27.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20(2): 129, , 1998

      28. 「노인요양시설의 효율성평가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전희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 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29. “성찰적 합의체제와 국가 시장 시민사회 관계의 재구성”, 김상준, 『NGO 연구』. 3, , 2004

      30. “팀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장정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31. “요양보호사교육이 직업윤리와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주석,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32.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 uman Feeling. 감정노동, 이가람 옮김, Hochschild, A. R., 이매진, , 2009

      33.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II) : 기업의 사회적 자본 과 경쟁, 이영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7

      34.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변대식 ( Dae Sik Byun ), 염영희 ( Young Hee Yom ),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간호행정학회지』. 15(3): 444-454, , 2009

      35.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동의 의미와특성.”, 홍세영,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51: 165-190, , 2011

      36.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 김상형,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37. “한국 노인요양서비스 체계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법제화 방안”, 황미경, 이봉화,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 집』, , 2016

      38. 조직내 사회자본과 지적자본의 형성 및 조직성과 관리에 대한 효과, 강제상, 박희봉, 김상묵,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12(1): 3-35, , 2003

      39. “이용자가 인지한 노인장기요양시설 서비스질에 관한 다층 분석”, 박상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 2016

      40. “서비스 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판매원과 전화 상담원을 중심으로”, 박찬임, 한국노동연구원, 서울: 한국노 동연구원, , 2012

      41.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요양보 호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김강수, 김종철, 김영삼, 남연희, 『시민사회와 NGO』. 12(2), , 2014

      42.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인, 신학진,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9(2): 579-591, , 2009

      43. “특급호텔직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에 미치는 영향”, 권태일, 황수영,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22(3):. 87-100, , 2008

      44.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질 평가 인식에 관한 연구”, 민향숙,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45. “공감, 보기 그리고 감정노동-프랑켄스타인의 아담 스미스 다시읽기”, 신경숙, 『영어영문학』. 58(2): 189-215, , 2012

      46.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문희, 천강란, 박옥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1): 19-32, , 2010

      47.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돌봄노동의 의미구성과 변화』, 박홍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48. “우리나라 노인요양보호사 인력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 모델의 모색”, 전병유, 『한국 사회정책』. 17(3): 67-91, , 2010

      49. 조직 내 사회적 자본 개념의 재해석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송현정, 『HRD연구』. 12(1): 237-264, , 2010

      50. “콜센터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 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수연, 양해술,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4): 197-210, , 2008

      51.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 한 연구”, 김윤진,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52.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혜자, 권순호, 『노인복지연구』. 51: 125-144, , 2011

      53.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질 에 미치는 영향”, 신현석,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5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 및 개선방안”, 변도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55. “소비자 중심의 간호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SERVQUAL모형을 중심으로”, 주미경, 『한국마케팅과학회』. 2: 229-253, , 2002

      56.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의 관계 연구 : 직무자 원의 조절효과 분석”, 서지선,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57. “요양보호사의 전문직업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 전지역을 중심으로”, 조용주,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58.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품질 향상방안 연구: 재가방문 요양서비스 중심으로”, 정승열,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59. “노인전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이유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60. “CoP(Community of Practice) 참여동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정헌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61.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김인순,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간호행정학회』. 15(4): 515-526, , 2009

      62.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최희경,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22(4): 1-31, , 2010

      63.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현영섭, 한국인력개발학회, 『HRD연구』12(2): 45-65, , 2010

      64. “SERVQUAL을 이용한 장기요양서비스의질 평가 : 천안시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영자, 강창현,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 137-162, , 2013

      65. “대안서비스노동의 특징에 관한 연구: 감정노동과 서비스 노동의 물질성을 중심으로”, 김경희, 『한국산업사회학』. 72, , 2009

      66. “노인 주 야간보호서비스의 품질이 고객만족과 추천의향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진용,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67.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성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68.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방문 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정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38(1): 227-246, , 2011

      69.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평가요인이 고객만족과 신 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영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70. 호텔 내 혼잡성에 따른 감정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안대희, 박종철,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4(5): 381-399, , 2009

      71.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및 구 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조우홍, 이동수,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40: 173-193, , 2008

      72. 『CRM이 기업의 행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객의 지각된 관계적 편익과 관계몰입의 매개적 역할』, 이학식, 임지훈, 서울: 한국연구 재단, , 2013

      73.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및 체계적 지원방안: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김태준, 이덕현, 변종임, 현영섭,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0

      74. “사회자본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Burt 의 구조적공백(Structural Holes) 이론을 중심으로”, 배귀희, 김영환, 『행정논총』. 44(23): 1-32, , 2006

      75.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공자 요인과 이용자 요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윤형, 『사회복지개발연구』. 16(3): 289-321, , 2010

      76. “사회서비스 분야의 노동실태 조사: 돌봄 노동자 의 감정노동 특성과 감정소진, 일 만족 중심으로”, 강은애, 박현미, 서울 :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 2010

      77. “빈곤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 지역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 중심으로”, 조혜숙, 우송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10

      78.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공급구조의 왜곡된 시장화: 시행 1년을 맞이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제갈 현숙, 『진보평론』. 41: 211-233, , 2009

      79.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주시각, 한양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 2013

      80.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 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 ”, 석재은, Seok, Jaeeun,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6(1): 221-249, , 2014

      81.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감성지능의 하위차원 간 관계구조를 중심으로”, 엄기욱,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 복지연구』. 60: 121-141, , 2013

      82.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에서 조사 대상자에게 미치는 전체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박민선, 대구한의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