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on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9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development aspect each period fixing type from archeological analysis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So comparing location with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that intensive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has...

      Study on development aspect each period fixing type from archeological analysis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So comparing location with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that intensive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has been classified 5(A-E) type to the dwelling sites. It seems to be limitative term from 14 to 15 century that Type A has appearance in late of 14C, extinction in late of 15C. Type B had been continued long from late of 14C to first of 16C. Circle dwelling site seems to be earlier than rectangular one. Type C had been carried on from late of 14C to first of 17C.
      Though the both circle and rectangular were shown up in late of 14C simultaneously, Oval one seems to be later than circle and rectangular one. Type D had been changed in rectangular,circle, oval one from middle of 15C to first of 16C. Type E was come out in late of 16C.
      It seems to be appearance in late of 14C, extinction in first of 17C on the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It was come explosive increase during from late of 15C to first of 16C, shown to disappear gradually from late of 16C.
      It has been to compare Easten and Westen dwelling site in Gyeongnam province be based on 『世宗實錄地理志;The Record in the King Sejong, The Geography』. Analysis to the site location showed that percentage of facing right south to the Easten is high, facing right south and facing west get a majority to the Westen. It had been to be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composed Wall-kiln( a-type) in the Easten and Dugout-kiln( b-type), Wall-kiln( -type)in the Westen about heating cooking were installed in inner structure. It has shown that rate of rectangular one to the dwelling site in both of them is high in flat sha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를 고고학적으로 분석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시기별 전개양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수혈주거지의 입지와 내부구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특징에 대하여 살...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를 고고학적으로 분석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시기별 전개양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수혈주거지의 입지와 내부구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A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5세기 후반에 소멸되며, 14~15세기에만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으로 생각된다. B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16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원형주거지가 방형주거지보다 이른 시기에 출현한다. C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7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원형과 방형주거지는 14세기 후반에 동시에 출현하지만, 타원형주거지는 원형과 방형주거지보다 늦은 16세기 전반에 출현한다. D유형은 15세기 중반에 출현하여 16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방형, 원형, 타원형주거지 순으로 변화한다. E유형은 16세기 후반에 출현한다.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7세기 전반에 소멸하며,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에 주거지의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16세기 후반이 되면 점차 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현재의 경남지역을『世宗實錄地理志』를 기준으로 경남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성을비교·검토하였다. 입지에 있어서 경남 동부지역은 정남향, 서부지역은 정남향과 서향이 비슷한 비율로 다수를 차지한다. 내부구조에 있어서 난방ㆍ취사시설은 경남 동부지역이 벽로(Ⅱa식), 서부지역은 수혈식 노(Ⅰb 식)와 벽로(Ⅱ식)가 전형적인 구조일 것으로 생각된다. 평면형태는 두 지역 모두 방형계(방형, 말각방형, 장방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9

      2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1989

      3 鄭燦皓, "지형도에 나타난 취락입지 분석-경기 북동부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4 오승규, "중부지방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성격 검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호열,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1991

      6 황창한, "조선시대 평기와 편년 검토-경주, 울산을 중심으로" 7 : 2005

      7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에 설치된 온돌의 조사법 일사례" 호서고고학회 (18) : 101-145, 2008

      8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과 그 안에 살던 사람들" (69) : 2004

      9 임영호, "조선시대 수형주거지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3) : 121-172, 2007

      10 朴漢宰, "조선시대 경기지방의 수혈주거지" 祥明大學校 大學院 2007

      1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9

      2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1989

      3 鄭燦皓, "지형도에 나타난 취락입지 분석-경기 북동부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4 오승규, "중부지방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성격 검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호열,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1991

      6 황창한, "조선시대 평기와 편년 검토-경주, 울산을 중심으로" 7 : 2005

      7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에 설치된 온돌의 조사법 일사례" 호서고고학회 (18) : 101-145, 2008

      8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과 그 안에 살던 사람들" (69) : 2004

      9 임영호, "조선시대 수형주거지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3) : 121-172, 2007

      10 朴漢宰, "조선시대 경기지방의 수혈주거지" 祥明大學校 大學院 2007

      11 변주승, "조선 후기 유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12 신정희, "조선 전기의 유민 문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2 : 1981

      13 蔚山發展硏究院, "울주 반연리유적"

      14 蔚山文化財硏究院, "울산 혁신도시 2구역 1차 유적 2차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자료"

      15 蔚山文化財硏究院, "울산 혁신도시 2구역 1차 유적 1차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자료"

      16 한겨레문화재연구원, "울산 우정혁신도시 2구역 1차 C2-E구간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1차) 자료집"

      17 蔚山發展硏究院, "울산 신천동 586-6 유적"

      18 蔚山發展硏究院, "울산 산하동유적"

      19 울산대학교박물관, "울산 달천유적"

      20 尹龍二,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96

      21 경기문화재단, "수정국역화성성역의 궤" 2001

      22 京畿文化財硏究院, "수원 율전동유적"

      23 김남응, "문헌과 유적으로 본 구들이야기 온돌이야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24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마산 진북 덕곡리유적"

      25 慶南文化財硏究院, "기장 연구리 고분군"

      26 울산대학교박물관, "기장 방곡리유적"

      27 鄭良謨, "韓國의 陶磁器" 문예출판사 1997

      28 姜敬淑, "韓國陶磁器 가마터 硏究" (주)시공사·시공아트 2005

      29 姜敬淑, "韓國陶磁史의 硏究" 2000

      30 姜敬淑, "韓國陶磁史" 一志社 1995

      31 尹龍二, "韓國陶瓷史硏究" 문예출판사 2001

      32 慶南考古學硏究所, "陽山 所土里 松菊里文化集落"

      33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金海 栗下里遺蹟 Ⅰ"

      34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金海 本山里遺蹟"

      35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靑松寺址기와가마遺蹟"

      36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山芳基里遺蹟"

      37 韓國文化財保護財團, "蔚山市 夫谷洞 252-2番地一帶 한국카프로락탐(주) 工場敷地發掘調査 報告書" 2000

      38 황대일, "蔚山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小考" 영남고고학회 (52) : 99-130, 2010

      39 黃大一, "蔚山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一考察" 慶尙大學校 大學院 2011

      40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한지골遺蹟 Ⅰ"

      41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茶雲洞436-5遺蹟"

      42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茶雲洞 새각단遺蹟"

      43 蔚山發展硏究院, "蔚山 茶雲洞 바區域遺蹟"

      44 蔚山發展硏究院, "蔚山 茶雲洞 마區域遺蹟"

      45 蔚山發展硏究院, "蔚山 茶雲洞 대골遺蹟"

      46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盤淵里 가막못遺蹟"

      47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盤松里 遺蹟"

      48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泉谷洞 가재골 Ⅲ 遺蹟"

      49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山 檢丹里 마을 遺蹟"

      50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梅谷洞遺蹟 Ⅱ"

      51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梅谷洞遺蹟 Ⅰ"

      52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望陽里·德新里 吾山遺蹟"

      53 蔚山發展硏究院, "蔚山 新泉洞 冷川遺蹟"

      54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新峴洞 黃土田遺蹟"

      55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新亭洞遺蹟"

      56 中央文化財硏究院, "蔚山 斗旺-無去間道路擴張區間內 遺蹟 發掘調査報告書" 2004

      57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常安洞遺蹟"

      58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川上里 坪川遺蹟"

      59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山下洞 山陰遺蹟"

      60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孝門洞 竹田谷遺蹟 Ⅲ-2地區"

      61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孝門洞 竹田谷遺蹟"

      62 蔚山大學校博物館, "蔚山 大安里遺蹟"

      63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外光里 貴旨遺蹟"

      64 蔚山發展硏究院, "蔚山 南倉·合水遺蹟"

      65 嶺南文化財硏究院, "蔚山 倉坪洞遺蹟"

      66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交洞里 水南遺蹟"

      67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中山洞藥水遺蹟 Ⅱ"

      68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三亭里遺蹟"

      69 吳洪晳, "聚落地理學-農漁村의 地域性格과 再編成" 敎學硏究社 1994

      70 姜敬淑, "粉靑沙器硏究" 一志社 1986

      71 취락연구회, "竪穴建物址調査方法論" 춘추각 2004

      72 "玄宗實錄"

      73 한국문물연구원, "機張佐東里遺蹟"

      74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機張 盤龍里遺蹟 Ⅱ"

      75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機張 盤龍里遺蹟 Ⅰ"

      76 釜山廣域市立博物館, "機張 淸江里 古墳群"

      77 吳焌赫,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檢討-大田地域 調査資料를 中心으로"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8

      78 孫晉泰, "朝鮮古代民家形式考, In 孫晉泰先生全集 2" 太學社 1981

      79 국립진주박물관, "晉州 枾木 遺蹟"

      80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晉州 安磵里遺蹟"

      81 東西文物硏究院, "昌原 沙巴丁洞遺蹟·斗大洞遺蹟"

      82 "成宗實錄"

      83 "慶尙道續撰地理志"

      84 "慶尙道地理志"

      85 金羅英, "嶺南地域 三韓時代 住居址의 變遷과 地域性" 釜山大學校 大學院 2007

      86 慶尙大學校博物館, "山淸 玉山里遺蹟"

      87 우리문화재연구원, "密陽 龍池里遺蹟"

      88 慶南考古學硏究所, "密陽 貴明里 三國時代 무덤군"

      89 우리문화재연구원, "密陽 校洞 개미골유적"

      90 吳焌赫, "大田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一硏究" 中央文化財硏究院 (4) : 2008

      91 東西文物硏究院, "咸安 牛鳴里遺蹟"

      92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咸安 沙道里朝鮮時代 聚落"

      93 우리문화재연구원, "咸安 梧谷里 87番地遺蹟"

      94 우리문화재연구원, "咸安 梧谷里 28 番地遺蹟"

      95 김성태, "史料를 통한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의 검토" 서울경기고고학회 3 (3): 2004

      96 慶南文化財硏究院, "古村遺蹟(Ⅲ地區)"

      97 "世宗實錄地理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