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디자인을 위한 사전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Preliminary Direction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Promoting Stair Design - Focused on Stair Design Practices and User’s Behaviour and Design Preferenc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4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인은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과 신체활동 부족으로 비만과 이로 인한 각종 만성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

      현대인은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과 신체활동 부족으로 비만과 이로 인한 각종 만성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디자인이 중요하다. 지하철 및 공공 공간에 비치된 계단은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건강증진과 공중보건 제고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건강증진 계단디자인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국내외 유사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공공 공간 계단디자인의 요인별 고려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조성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및 관찰 분석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건강계단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색채, 그래픽, 조명과 청각적 요소인 음악 등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에서 걷는다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는 칼로리 표기나 걷기를 통해 연장되는 수명표기 등의 정보가 계단이용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단이용이 기부금 적립 등으로 연결되어 자긍심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사회 공헌적 적립 모듈 등과 연계될 때 계단이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건강계단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에서 공공 공간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액티브 디자인 운동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ies have been increasingly exposed to various diseases that are attributed to physical inactivity and an automobile-dependent lifestyle, such as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public spa...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ies have been increasingly exposed to various diseases that are attributed to physical inactivity and an automobile-dependent lifestyle, such as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public spaces that encourage sustainable and spontaneous physical activity and promote health in everyday life. Stairs in public spaces, such as within subway system and in public buildings, has great potentials not only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but also to enhance public health. This study consists of preliminary research on stair design that can promote healthy lifestyles. It analyzes existing cases and explores specific elements of stair design that can promote public health. These specific design elements identified in this study have been included in a preference survey and examined in observational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important design factors that can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visual stimulation such as graphics color, and lighting and music are effective elements that can encourage people to use stairs rather than escalator. In addition, inspirational and motivational signs addressing calorie expenditures and life longevity are positive design elements. Lastly, social activities, such as exercises that accumulate points for donation through stair use have the potential to motivate people to use stairs. By analyzing the stair design elements that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ctive design movement in public space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건강증진 계단디자인 국내외 사례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건강증진 계단디자인 국내외 사례
      • 4. 이용자 행태 및 디자인선호도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