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상가를 포함한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핵심이지만 외부의 다양한 이유로 현재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 지하상가의 서비스 디자인 조사와 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지하상가를 포함한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핵심이지만 외부의 다양한 이유로 현재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 지하상가의 서비스 디자인 조사와 분석...
지하상가를 포함한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핵심이지만 외부의 다양한 이유로 현재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 지하상가의 서비스 디자인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 도출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에서 수도권을 제외한 대규모 지하상가를 대상으로 관찰 중심의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지하상가는 서비스디자인 특성 중 ‘안전성’ 부문에서는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심미성’ 요소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중심으로 비교했을 때는 ‘시스템’요소 에서의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전 지하상가는 서비스 균형 배치와 공간 재조정이 필요하며,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설계를 통해 소비자 맞춤형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호 정보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상가 기반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심미성 개선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체험형 콘텐츠 도입을 통한 소비자 유입 확대 그리고 스마트 서비스 환경 구축을 통한 소비자 편의성 향상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국내 지하상가의 지속 가능한 상업 환경구축에 이바지 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 markets, shopping malls, are key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ut they are currently facing accelerated decline due to various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
Traditional markets, shopping malls, are key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ut they are currently facing accelerated decline due to various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s of service design in advanced underground market.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large underground retail malls in South Korea and Japan.
The key findings and insigh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countries' underground commercial malls were highly rated in terms of safety within service design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sthetic appeal. Additionally, when comparing based on the components of service design, the greatest disparity was observed in the “system” element.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Daejeon requires new strategic actions, including balanced service distribution, spatial reorganization, data-driven service design, and improved information-sharing systems.
The last, to revitalize underground shopping districts and stimulate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study proposes enhancing aesthetic appeal for stronger brand identity, introducing experiential content to attract more consumers, and establishing smart service environments to improve customer convenienc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not only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elf-sustaining commercial ecosystem and a sustainable business environment but also to have a long-term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특징과 기계 자수 기법을 융합한 패션디자인 연구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근세 서양 명화의 의복 문양 연구 -문양의 유형과 배치 구도를 중심으로-
경험 가치 향상을 위한 UX 디자인 기반의 스페이스 브랜딩 공간 특성 연구 -인테리어브랜드 쇼룸을 중심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을 위한 수면 공간 모듈 선행 디자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