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AI시대의 도래와 직업환경 변화 그리고 경력단절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재취업 등과 관련, 과거의 직업 경험을 했던 경력단절 여성이 새로운 직업을 갖고자 다양한 평생학습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5784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사회학및평생교육 , 2024. 8
2024
한국어
370 판사항(23)
경기도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a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v p. 88 p. ; : 삽화, 표 ; 26 cm.
지도교수: 한상길
참고논문 : 장.72-80
I804:11017-0000002006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AI시대의 도래와 직업환경 변화 그리고 경력단절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재취업 등과 관련, 과거의 직업 경험을 했던 경력단절 여성이 새로운 직업을 갖고자 다양한 평생학습 ...
이 연구는 AI시대의 도래와 직업환경 변화 그리고 경력단절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재취업 등과 관련, 과거의 직업 경험을 했던 경력단절 여성이 새로운 직업을 갖고자 다양한 평생학습 시설의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습경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경력단절여성의 학습경험 의미의 심층적 이해를 위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으로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경험을 한 40대 경력단절여성 6명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교육프로그램 참여 경력단절여성의 학습경험에 나타난 구성요소는 경력단절여성의 멍에를 벗고자, 새로운 나와의 조우를 위하여, 단절된 삶의 각피 때문에, 학습경험과 경험학습, 배움의 환희와 자기성찰, 의미 생성과 삶의 주체화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경력단절여성의 멍에를 벗고, 새로운 나와의 조우를 위하여, 단절된 삶의 각피를 벗어내려는 태동이었다. 직업교육프로그램 참여 경력단절여성의 학습경험 의미는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넘어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며 학습경험이 경험학습과 교차하여 배움의 환희로 진정한 자기성찰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경력단절여성의 학습경험은 단지 생산성과 실용성에 그치지 않고, 학습경험의 결과로 삶이 변화하고, 삶과 앎의 일치를 통해 공동체 문화를 생성할 수 있는 심원적 의미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들에게 학습경험 의미는 교육에 참여한 그 경험을 통해 새로운 나를 조우하고 내 세계가 변할 수 있는 의미를 스스로 생성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사회 재진출 논의는 생산인구 증가의 경제적 가치만의 문제의식을 넘어‘여성 개인의 삶’과 동시에‘그 삶과 관계된 모두의 문제’에서 그 인식론적 층위를 확장해야 한다. 결혼과 동시에 여성은 임신과 출산, 육아와 가족 돌봄 등의 과업을 수행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신의 삶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 직업, 문화 등 선택지의 장(長)에서 자·타의적인 배제를 경험한다. 따라서 경력단절여성 현상의 개인적·사회적 요인들은 간 학문적 이해의 통섭을 통해 여성 개인을 넘어 ‘여성 개인과 그 여성이 속한 가족의 삶과 관계된 모두의 생애’라는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접근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교육프로그램 참여 경력단절여성의 학습경험을 통하여, 익히고 배우는 과정 그 이상의 경험학습으로 돌봄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의미 생성과 삶의 주체화가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에서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인 학습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통한 학습공동체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도 확대되어야 함은 물론 모든 사회구성원의 책무와 의식 변화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By using a research method that derive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subject,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was derived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 career-interrupted women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in their 40s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experienc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escape from the bruis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encounter with new me, desolation of disconnected life, learn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learning, joy of learning and self-reflection, and meaning creation and subjectiv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lained as follows. The motivation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was to remove restraints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escape the isolation of a disconnected life in order to encounter a new self.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was restored to the essential function of education beyond the instrumental function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ntersected with experiential learning, resulting in true self-reflecti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was not just productivity and practicality, but it formed an profound meaning that life could change as a result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create a community culture through the unity of life and knowing. For them,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created a meaning for themselves to encounter a new self and change their world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The discuss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s re-entry into society should expand its epistemological layer in "everyone's problem related to that life" beyond the awareness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population. At the same time as marriage, women experience self-inflicted exclusion in the field of options such as education, occupation, and culture, as the time increases in which they perform tasks such as pregnancy and childbirth, childcare, and family care increases. Therefore, a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pproach to the "life of each woman and everyone related to the life of the woman's family" should be conducted beyond individual women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The awakening of the media, academia, policymakers, and artists who form a metaphor for explaining a phenomenon is required. Although language has the advantage of intensively spreading discourse to describe a phenomenon to the extreme, I would like to advocate the need for awareness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Through the experience learning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meaning creation and subjectivity of life should be realiz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and others to practice caring and sharing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beyond the process of learning and learning. Therefore, the interest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to enable the realiz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meaning and nature of individual learning experiences, as well as changes in responsibilities and consciousness of all members of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