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22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71834
2023
-
370
KCI등재
학술저널
21-4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22 ...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을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 설계를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각 차시별로 배움목표와 내용구성,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따른 디지털 도구 활용 계획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각 차시별 교수⋅학습 활동에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평가 단계에서 6명의 가정교육 전문가로부터 타당도 평가를 받았으며, 5점 리커트 척도 문항 평균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이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하는 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개방형 문항에 대한 전문가 의견들을 바탕으로 교수⋅학습과정안 수정 및 보완되어 총 7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이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폭력 예방’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이 수업 실행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 following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focus was o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specifically the ‘prev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 following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focus was o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specifically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to enhanc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analysis stag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xtracting elements from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a digital tool utilization plan was designed in the subsequent design stage, aligning with learning goals, content composition,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each class. The development stage involved creat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digital tools for six sessions, centered around the topic of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the evaluation stage, six content experts assessed the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open-ended questions. The validity evaluation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plans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Based on feedback from the experts, the plans for the six sessions were revised, with an additional session added, resulting in a total of seven sessions. It is envisioned that the home economics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in home economics classes to foster students'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 향상을 위한 가정과 여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 식생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교육 요구도 분석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청소년 식생활 행태 비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