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B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에 나타난 무설탕 컨셉의 시각적 상징 표현 연구 - 중국 무설탕 제품 중 과자, 젤리, 음료, 사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Sugar-Free Concept in the Package Design of F&B Brand - Focusing on the sugar-free market in Chin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4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China has become the number one country in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Influenced by health awareness, the wave of 'sugar reduction' prompted major companies to work to innovate, and the Food and Beverage (F&B) industry created a mortga...

      Background China has become the number one country in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Influenced by health awareness, the wave of 'sugar reduction' prompted major companies to work to innovate, and the Food and Beverage (F&B) industry created a mortgage/sugar-free consumption boom.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the sugar-free F&B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ugar-free concept by analyzing the case of expressing sugar-free as a visual element in the package design of sugar-free F&B products.
      Method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market status of sugar-free F&B and analyze the product characteristics of sugar-free F&B. Second, we establish a framework for visual expression analysis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on package design. Third, we analyze 20 product cases based on the analysis frame to analyze the role of visual elements in sugar-free F&B package design and the symbolic representations contained in the package design, and draw conclusions.
      Result Overall, visual symbols are used in all four types of sugar-free F&B packages, bu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roduct requirement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gar-free F&B, and the symbol method and object of symbols are also different.
      Conclusion First, raw material symbols allow consumers to accept sugar-free information.Symbols that show the raw materials of sugar-free food make you feel additive-free and healthy.Second, it visually symbolizes low calories so that consumers can accept sugar-free information. Third, consumers can accept information about sugar-free by creating a symbol of sugar-free.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rder of sugar-free product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오늘날 중국이 당뇨병 환자 수 1위 국가를 차지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에 많은 중국 기업들은 설탕을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F&B(Food and Beverage) 산업은 ...

      연구배경 오늘날 중국이 당뇨병 환자 수 1위 국가를 차지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에 많은 중국 기업들은 설탕을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F&B(Food and Beverage) 산업은 저당·무설탕 소비의 붐을 불러일으키면서 현재 무설탕 F&B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설탕 F&B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 중에서 무설탕을 시각적 요소로 표현한 사례를 분석하여 무설탕 컨셉의 시각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무설탕 F&B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무설탕 F&B의 제품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함으로써 시각적 표현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한다. 셋째, 분석틀을 바탕으로 20개의 제품 사례를 분석하고 무설탕 F&B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의 역할과 패키지 디자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4가지 유형의 무설탕 F&B의 패키지는 모두 시각적 상징을 사용하고 있지만, 무설탕 F&B의 종류에 따라 제품 특성과 제품 요구 사항이 다르며 상징 방법, 상징 대상도 다르다.
      결론 첫째, 원자재 상징물을 통해 소비자가 무설탕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설탕 음식의 원재료를 구현한 상징물은 무설탕과 건강함을 전달한다. 둘째, 저칼로리를 시각적으로 상징화하여 소비자가 무설탕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무설탕을 시각적, 언어적으로 상징화하여 소비자가 무설탕의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무설탕 제품 정보의 순서를 명확히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