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핵문제 해법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 A paradigm shift for a new approach to resolving North korea nuclear crisi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proposes what strateg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establish in order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exerted continuous effort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ut ultimately have failed to stop its acceleration. This is due to problems in their strategy. These problems may be summarized as the inefficienc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lack of South Korean state capacity.
      South Korea is unable to indu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ffectively apply pressure toward North Korea. Consequently, South Korea must find a way to increase its bargaining power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y strengthening its capacity. Also, the strengthening of bargaining power is aimed at drawing out the Chinese cooperation necessary to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However, regardless of their alliance, North Korea has value for Chinese national interests even if it possesses nuclear weapons. Therefore, South Korea must establish a strategy that China recognizes as more valuable than North Korea.
      North Korea is needed by China because it provides an en environment where China can concentrate on its core interests. However, what South Korea provides China with for empowering its bargaining power is a threatening factor. South Korea, while undergoing changes in its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gradually becomes a threatening factor to China. If China acquires such a perception, it will naturally take a more cooperative position i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proposes what strateg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establish in order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exerted continuous effort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

      The present study proposes what strateg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establish in order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exerted continuous effort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ut ultimately have failed to stop its acceleration. This is due to problems in their strategy. These problems may be summarized as the inefficienc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lack of South Korean state capacity.
      South Korea is unable to indu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ffectively apply pressure toward North Korea. Consequently, South Korea must find a way to increase its bargaining power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y strengthening its capacity. Also, the strengthening of bargaining power is aimed at drawing out the Chinese cooperation necessary to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However, regardless of their alliance, North Korea has value for Chinese national interests even if it possesses nuclear weapons. Therefore, South Korea must establish a strategy that China recognizes as more valuable than North Korea.
      North Korea is needed by China because it provides an en environment where China can concentrate on its core interests. However, what South Korea provides China with for empowering its bargaining power is a threatening factor. South Korea, while undergoing changes in its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gradually becomes a threatening factor to China. If China acquires such a perception, it will naturally take a more cooperative position i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 정부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대응정책을 수립해야 하는가에 대한 제안이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북핵문제를 해결하려고 지속적인 노력을했지만,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북핵의 고도화를 막지는 못했다. 이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기본 전략에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문제점은 대북제재의 비효율성과 한국의 국가역량부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국의 주도로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대북압박을 이끌어내기란 어렵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한국은 자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서 북핵문제 해결과정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협상력 강화의 최종 대상은 북핵문제 해결에 열쇠를 가지고 있는 중국이어야 한다. 그런데 미국을 견제하면서 지역 강대국으로 발전하려는 중국에게 북한은 핵개발 여부와 상관없이 당분간은 지정학적인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은 중국의 국가목표달성 과정에서 북한의 가치를 넘어서는 존재로 인식시킬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핵개발과 상관없이 북한이 중국에게 필요한 이유는 지역 강대국이 되려는 중국에게 핵심이익 확보에 집중할 수 있는 전략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이 역량강화를 통해서 중국의 핵심이익 확보를 견제할 수 있다면 한국은 중국에게 위협이라는 새로운 가치를제공하게 된다. 중요한 점은 한국의 역량강화는 북핵 대응과정과 연관해서 추진되어야 한다.
      중국이 한국의 변화에 대한 원인이 북핵에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면 당연히 북핵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 정부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대응정책을 수립해야 하는가에 대한 제안이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북핵문제를 해결하려고 지속적인 노력을했지만, ...

      본 논문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 정부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대응정책을 수립해야 하는가에 대한 제안이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북핵문제를 해결하려고 지속적인 노력을했지만,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북핵의 고도화를 막지는 못했다. 이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기본 전략에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문제점은 대북제재의 비효율성과 한국의 국가역량부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국의 주도로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대북압박을 이끌어내기란 어렵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한국은 자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서 북핵문제 해결과정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협상력 강화의 최종 대상은 북핵문제 해결에 열쇠를 가지고 있는 중국이어야 한다. 그런데 미국을 견제하면서 지역 강대국으로 발전하려는 중국에게 북한은 핵개발 여부와 상관없이 당분간은 지정학적인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은 중국의 국가목표달성 과정에서 북한의 가치를 넘어서는 존재로 인식시킬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핵개발과 상관없이 북한이 중국에게 필요한 이유는 지역 강대국이 되려는 중국에게 핵심이익 확보에 집중할 수 있는 전략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이 역량강화를 통해서 중국의 핵심이익 확보를 견제할 수 있다면 한국은 중국에게 위협이라는 새로운 가치를제공하게 된다. 중요한 점은 한국의 역량강화는 북핵 대응과정과 연관해서 추진되어야 한다.
      중국이 한국의 변화에 대한 원인이 북핵에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면 당연히 북핵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일보, "현인택 “北, 대선기간 핵-ICBM도발 가능성...사드는 장기전 대비해야"

      2 연합뉴스, "현인택 “TF 만들어 대북제재 시행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3 최지욱,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늘품플러스 2011

      4 news1, "한국형 우주발사체 내년 연기“...올해 우주개발 투자 8% 감소"

      5 통일연구원,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관련 주요 발언" 17 (17): 2017

      6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일지향 한·미 협력전략"

      7 중앙일보, "킬체인의 눈 정찰위성 사업 본격 착수…동북아 우주전쟁 뒤늦게 뛰어 들어"

      8 정재홍, "중국의 부상과 해양군사전략 재편" 253 : 2013

      9 연합뉴스, "중국에 미우 실망...북한에 말 말곤 아무것도 안해"

      10 한국경제, "중국, 8월 북한산 석탄 수입 재개...강력한 대북제재 발효 직전 거래"

      1 동아일보, "현인택 “北, 대선기간 핵-ICBM도발 가능성...사드는 장기전 대비해야"

      2 연합뉴스, "현인택 “TF 만들어 대북제재 시행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3 최지욱,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늘품플러스 2011

      4 news1, "한국형 우주발사체 내년 연기“...올해 우주개발 투자 8% 감소"

      5 통일연구원,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관련 주요 발언" 17 (17): 2017

      6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일지향 한·미 협력전략"

      7 중앙일보, "킬체인의 눈 정찰위성 사업 본격 착수…동북아 우주전쟁 뒤늦게 뛰어 들어"

      8 정재홍, "중국의 부상과 해양군사전략 재편" 253 : 2013

      9 연합뉴스, "중국에 미우 실망...북한에 말 말곤 아무것도 안해"

      10 한국경제, "중국, 8월 북한산 석탄 수입 재개...강력한 대북제재 발효 직전 거래"

      11 중앙일보, "중국 사드 보복...전통적 이이제이에 현대적 준법투쟁 혼용"

      12 선즈화, "중·북 불신의 역사적 뿌리" 5 (5): 2017

      13 연합뉴스, "조선신보“선제타격 비현실적...대안은 핵보유국가간 대화뿐”"

      14 디지털타임스, "일본 우주발사체 기술과 미사일"

      15 서울신문, "이란식 세컨더리 보이콧"

      16 연합뉴스, "유엔대북제재 결의..유류공급 30%차단·섬유수출 전면금지"

      17 한겨레, "왕이 부장이 북핵에 대해 말하려 한 것"

      18 매일경제, "오바마 신년연설 北경고 메시지 담을 듯"

      19 연합뉴스, "안보리 대북결의, 北수출 3분의1 봉쇄...美“5일 11시 표결하자”"

      20 경향신문,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후, 북·중 무역은…"

      21 한겨레, "시진핑‘걸끄러운 이웃’인도 끌어안기"

      22 국방일보, "북핵·미사일 억제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23 시사저널, "북한 핵도발로 촉발된 동북아 6國 군비경재 입체 비교"

      24 중앙일보, "미 해군, 항공모함 ‘세대교체’ 눈앞에...얼마나 강해졌나"

      25 국방일보, "대양해군 이끌 7기동전단 창설"

      26 중앙일보, "늦었지만 잰걸음 하는 한국의 우주개발 역사"

      27 연합뉴스, "국방부 "北, ICBM 능력확보 위한 최종단계 근접""

      28 구본학,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29 연합뉴스, "美국무부 ‘경제 압박으로 북핵 자금줄 차단...군사수단은 별개"

      30 중앙일보, "美“우리맘대로”, 北“한국 빠져” 남북미중, 제네바서 격돌"

      31 이데일리, "文대통령 사드 추가배치 결정에 국민 71% 찬성"

      32 연합뉴스, "文대통령 발사 참관 '현무-2C' 800㎞ 미사일…北전역 사정권"

      33 매일경제, "北외무성 관료, “힐러리의 ‘전략적 인내’, 핵개발 가능케해”"

      34 news1, "中,대북 석유 금수 조치에 반대하는 까닭은"

      35 세계일보, "[S스페셜-‘우주’이야기] (2)미래의 먹거리 항공우주산업"

      36 이왕휘, "WORLD POLITICS"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4

      37 권태영, "2016 동아시아 전략평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6

      38 대한민국 국방부, "2016 국방백서" 국방부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