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箕田 논의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the discussion on Well Fields of Kija(箕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33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양에는 箕子墓, 崇仁殿, 箕子井, 그리고 箕田 등 箕子와 관련한 유적이 많이 있다. 각각의 장소는 저마다 가진 장소로서의 특성 외에도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기...

      평양에는 箕子墓, 崇仁殿, 箕子井, 그리고 箕田 등 箕子와 관련한 유적이 많이 있다. 각각의 장소는 저마다 가진 장소로서의 특성 외에도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기자묘와 숭인전은 세종 때 倪謙 등의 명나라 사신이 참배하고 詩賦를 짓는 곳으로 사용한 이후로 조선과 명나라 간의 책봉 관계를 드러내 보이는 장소로서 기능하였다.
      箕田이 장소성을 부여받는 과정은 하나의 장소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그 시대의 중심 화두와 어떻게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암 한백겸이 기전이라는 장소에 처음으로 특정한 장소성을 부여한 이후로 기전 논의가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기전의 구획 주체를 기자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제부터 기전이 『맹자』의 井田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기전의 구획 형태가 현실의 井田制에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까지 광범위한 담론이 생성되었다.
      본고에서는 하나의 장소가 특정한 상징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고 부각되는 과정, 그리고 그 장소성에 대한 여러 異論의 대립, 그 異論의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각 학자의 논지 전개 방식에 주목하여 箕田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yongyang,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Kija, such as Tomb of Kija, Temple of Kija, Well of Kija, and Well Fields of Kija. Each of these places not only served the function assigned as a location but also acquired its own placeness. For example...

      In Pyongyang,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Kija, such as Tomb of Kija, Temple of Kija, Well of Kija, and Well Fields of Kija. Each of these places not only served the function assigned as a location but also acquired its own placeness. For example, Tomb of Kija and Temple of Kija, notably used by Ming envoys during the Sejong period for worship and writing poem and rhapsody, functioned as places revealing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Ming dynasty.
      The process by which Well Fields of Kija gained its own placeness clearly illustrates how recognizing a location anew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central issues of that era. Since Han Baek-kyum(韓百謙) first attributed specific placeness to Well Fields of Kija, discussions about Well Fields of Kija have evolved diversely among various scholars. These discussions range from issues like whether the designer of Well Fields of Kija is Kija or not to how Well Fields of Kija is connected to the Well Fields in the Mencius (孟子), and even to the broader discourse on whether the form of Well Fields of Kija could be extended to the well-field system in real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location is recognized and highlighted as having specific symbolism, the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at symbolism, and the argumentative approaches of scholars in the development of those opin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