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도장(道藏)』과 고소설에 나타나는 도가적(道家的) 상상력의 근원과 유형 연구 1 - 『진고(眞誥)』의 공간상상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s and Patterns of Taoistic Imagination in the "Daozang道藏" and Classic novels 1 -Focused on Spatial Imagination of 『Zhengao眞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4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가 경전을 집대성한 『도장』을 고대 동아시아인의 사유와 이야기를 담은 보고이자 거대한 상상의 문학적 구성체로 보고, 『도장』이 지닌 원형 문학으로서 의미와 가치의 탐...

      본 연구는 도가 경전을 집대성한 『도장』을 고대 동아시아인의 사유와 이야기를 담은 보고이자 거대한 상상의 문학적 구성체로 보고, 『도장』이 지닌 원형 문학으로서 의미와 가치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도장』 소재 도가서 중 특히 문학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텍스트『진고』이다. 『진고』는 남조(南朝)의 대표적 도사(道士)이자 문인학자인 도홍경(陶弘景)이 편집·정리한 상청파(上淸派) 도교의 핵심 경전이다. 상청파는 중국문학의 최고 절정기였던 당(唐) 왕조의 주류 도파로서, 그 중심 경전인 『진고』는 자연 도교사는 물론 문학사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다. 『진고』는 <구운몽>에 등장하는 남악 위부인의 출처가 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남악 위부인 즉 위화존(魏華存)은 상청파의 조사(祖師)로서, 『진고』는 그녀가 강림하여 제자 허밀과 양희에게 전수한 도결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이다. 『진고』는 기본적으로 포교를 지향한 텍스트이나, 그 안에는 매력적인 인물형상과 흡입력 있는 스토리 그리고 독특하고 빼어난 서술기법이 존재한다. 특히 『진고』의 공간상상력은 중국은 물론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문학적 공간의 원형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거점이 된다.『진고』의 공간적 특징은 지상의 천상공간인 ‘성악’과 현실의 비현실 공간인 ‘몽계’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선·속 간 소통의 공간이자 공간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지점이다.『진고』의 초월계는 현실계와 동떨어진 곳이 아니다. 이는 일상을 도외시하지 않으며 현실에서 결핍된 것을 반영하고 현실에 대한 보상 및 대안으로 만들어낸 상상계인 것이다. 이는 우리 고소설의 공간상상력과도 연계되는바, 이러한 공간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 소설의 초월공간은 현실을 번뇌나 말세적 공간으로 추락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인간계와 별도로 존재하는 신들만의 세계를 추구하지 않는다. 도가적 상상력은 유한한 인간계 안에 무한한 생명력을 부여하는 공간을 창조하고, 언젠가는 죽음 앞에 무너질 인간세계에 끝없는 생명력을 넣어줄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장』 소재 『진고』가 지닌 문학성, 특히 공간상상력을 중심으로『진고』의 문학적 원형성을 논하고 그것이 우리 고소설의 공간상상력과도 공유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함이 아니다. 본고의 목적은 우리 고전문학이 공유하는 문학적 원형의 성격에 한걸음 더 다가감으로써 우리 문학 특히 고소설의 상상력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점검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이 문학연구의 지평과 연구자의 시계(視界)를 넓히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 quest for value or meaning of 『Daozang道藏』, the repository of ancient east asians`` thoughts and stories, and also the literary structure of huge imaginations, as a original form of literature. In the light of literary ...

      This study is aimed at a quest for value or meaning of 『Daozang道藏』, the repository of ancient east asians`` thoughts and stories, and also the literary structure of huge imaginations, as a original form of literature. In the light of literary history, the most important Taoism text in 『Daozang』 is『Zhengao眞誥』. 『Zhengao眞誥』 is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ShangQingPai(上淸派) Taoism edited by Taohongjing(陶弘景), a representative ascetic and a literary scholar of southern dynasties. ShangQingPai is the mainstream faction of Taoism of Tan dynasty, the masterpiece of China literature, its major scripture 『Zhengao眞誥』 had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ature Taoism and also of literature. 『Zhengao』 is the quarry text of Nanyue Weifuren(魏夫人) in <Guwoon mong> as well. Nanyue Weifuren, that is Weihuacun(魏華存) as an old teacher of ShangQingPai, 『Zhengao』 is the record about the secret of cultivation to teach for her disciples, Xumi and Yangxi after her descen ding. 『Zhengao』 is basically the text for propagation, but it has attractive images of characters, a gripping story line, and unusual, eminent narrative technique in it. Especially, spatial imagination of 『Zhengao』becomes a major hotspot for understanding the prototype of literary space in all East Asia as well as China. Spatial feature of 『Zhengao』 can be divided a space of heaven, Sacred Peak, and unrealistic space in reality, Dream World. These are the places not only for communication between taoistic world and mundane world but also for communication among spaces. The transcendence world of 『Zhengao』 is not far from the reality, on the contrary to this, it doesn``t ignore real life, and is a compensative, alternative imaginary world for deficiency of actualities. This spatial imagination is connected with that of Korean old novels. Transcendental place made by spatial imagination does not drop a real place into a place of agony or a dying world.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make the world of immortals being apart from the world of mortals. Taoistic imagination creates infinite vital place in finite world of mortals, and finally suggests the place of infinite vitality in the world of mortals being destined to meet the death. The literary value of 『Zhengao』 in『Daozang』, especially with spatial imagination as the center, discussing the literary prototype of 『Zhengao』, and showing the commonness with Korean old novels is not just aimed at disclosing the simpl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closer to the property as a literary prototype of the commonness with Korean old literatures, and eventually, is to inspect the direct point of the imagin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Korean old novels.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 broad study of literature, and the visibility of literary resear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광, "지봉유설" 고전번역원

      2 성현, "용재총화" 고전번역원

      3 "오주연문장전산고" 고전번역원

      4 김수연, "애국계몽기 민족도교와 고소설: 신자료 <몽견제석(夢見帝釋)>의 소개를 더하여" 국학연구원 164 (164): 163-190, 2013

      5 안정복, "순암집" 고전번역원

      6 "숙향전"

      7 송시열, "송자대전" 고전번역원

      8 조재삼, "송남잡지, 1" 소명 3-392, 2008

      9 김수연,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한국고전연구학회 23 (23): 429-459, 2011

      10 허균, "성소부부고" 고전번역원

      1 이수광, "지봉유설" 고전번역원

      2 성현, "용재총화" 고전번역원

      3 "오주연문장전산고" 고전번역원

      4 김수연, "애국계몽기 민족도교와 고소설: 신자료 <몽견제석(夢見帝釋)>의 소개를 더하여" 국학연구원 164 (164): 163-190, 2013

      5 안정복, "순암집" 고전번역원

      6 "숙향전"

      7 송시열, "송자대전" 고전번역원

      8 조재삼, "송남잡지, 1" 소명 3-392, 2008

      9 김수연,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한국고전연구학회 23 (23): 429-459, 2011

      10 허균, "성소부부고" 고전번역원

      11 김만중, "서포만필, 하" 문학동네 15-703, 2010

      12 정재서, "산해경" 민음사 5-388, 1996

      13 정재서, "불사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5-374, 1994

      14 이색, "목은시고" 고전번역원

      15 김시습, "매월당집" 고전번역원

      16 김수연, "도연명을 그리다" 태학사 5-288, 2012

      17 詹石窗, "도교와여성" 창해 5-318, 2005

      18 안동준, "도교문화 15강" 알마 5-709, 2011

      19 김수연, "고소설의 원형적 텍스트로서의 『도장』(道藏) 연구 시론" 인문학연구원 69 (69): 447-476, 2013

      20 鍾國發, "陶弘景評傳, 상" 남경대학출판사 1-344, 2011

      21 張厚知, "陶弘景對文學的影響" 11 (11): 75-80, 2010

      22 張厚知, "神聖與世俗交織-<眞誥>小說解析" 32 (32): 67-70, 2011

      23 陶弘景, "眞誥" 中華書局 1-373, 2011

      24 "正統道藏"

      25 "夢見帝釋"

      26 "南嶽魏夫人傳"

      27 "南嶽總勝集"

      28 정재서, "『周氏冥通記』試論 -『道藏』의 문학 상상력 연구 1" 한국도교문화학회 39 : 245-270, 2013

      29 김수연, "<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50, 2009

      30 段祖靑, "<眞誥>的道敎史和文學史意義" 21 (21): 74-7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