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대립어의 유형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선호도와 대립어의 유형별 극성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498877
용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언어치료교육전공 , 2011. 5
2011
한국어
371.94 판사항(22)
경기도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Opposites in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iii, 39장: 삽도; 26cm.
단국대학교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은경
참고문헌 : 29-32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대립어의 유형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선호도와 대립어의 유형별 극성에 ...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대립어의 유형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선호도와 대립어의 유형별 극성에 대한 자폐성 장애 아동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어 유형별로 살펴본 이해 정도는 일반아동이 자폐성 장애 아동보다 모든 유형에서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대립어 유형별 이해 차이는 척도반의어와 정감반의어, 역동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역의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립어 극성별로 살펴본 이해 정도는, 일반아동이 정적(positive)인 극성의 어휘와 부적(negative)인 극성의 어휘 모두 자폐성 장애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대립어의 선호도를 대립어 극성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폐성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선호한다고 답하는 경우가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선호한다고 답하는 경우보다 많았다. 하지만 자폐성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선호도 차이를 비교하면, 일반아동은 자폐성 장애 아동에 비해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더 많이 선호한 반면, 자폐성 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더 많이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유형별 극성에 따른 선호도는, 정적 어휘에 대해서는 정감반의어, 역의어, 척도반의어, 역동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어휘에 대해서는 역동어, 척도반의어, 정감반의어, 역의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척도반의어와 정감반의어, 역의어에서는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역동어에서만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이해는 수용어휘연령을 맞춘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이고 대립어의 선호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이해 정도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지도 방법 연구와 언어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