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어느 지적장애인 바리스타의 하루 = A Story of Barista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orking in a School-Based Enterprise Caf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8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life of a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orks as a barista in a Special School’s School-Based Enterprise (SBE) café. . Here, an insider perspective and study on this person’s experience in the SBE will be conducted using the ethnograph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and interviews from a female participant who works as a café barista, as well as from other participants around her, research journals, non-observational data, and photographs. This data will then be repeatedly disbanded and categorized with accordance to “Spradley's developmental research procedure.” The results depict three cultural themes within the occupational life area of the female barista according to the working schedule and five cultural themes drawn by the members of the café.
      The members conveyed that the female barista used comprehensive vocational skills and had received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They also recognized this space as a venue for many different elements: alienation of the opinions of the disabled, cooperation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competition and protection, repeated job guidance,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for the disabil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le alternatives of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regarding the running of the SBE project. This data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life of a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orks as a barista in a Special School’s School-Based Enterprise (SBE) café. . Here, an insider perspective and study on this person’s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life of a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orks as a barista in a Special School’s School-Based Enterprise (SBE) café. . Here, an insider perspective and study on this person’s experience in the SBE will be conducted using the ethnograph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and interviews from a female participant who works as a café barista, as well as from other participants around her, research journals, non-observational data, and photographs. This data will then be repeatedly disbanded and categorized with accordance to “Spradley's developmental research procedure.” The results depict three cultural themes within the occupational life area of the female barista according to the working schedule and five cultural themes drawn by the members of the café.
      The members conveyed that the female barista used comprehensive vocational skills and had received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They also recognized this space as a venue for many different elements: alienation of the opinions of the disabled, cooperation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competition and protection, repeated job guidance,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for the disabil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le alternatives of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regarding the running of the SBE project. This data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어느 지적장애인의 직업 생활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라는 공간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인 바리스타와 그를 둘러싼 주변인을 중심으로 3E(면담, 참여관찰, 현지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프래들리의 발전식 연구절차에 따라 반복적인 자료 해체 및 범주화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바리스타의 직업생활 영역(3가지)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영역(5가지)에 대한 문화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리스타 직원은 직장에서 포괄적인 직업 관련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물리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을 함께 제공받고 있었다. 둘째, 카페 구성원 및 주변인은 이 공간에 대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이 소외’된 측면이 있지만, ‘분업을 통한 협력’, ‘경쟁과 보호’, ‘반복적인 직무지도’가 이루어지는 곳이자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의 장(場)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과 직업교육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어느 지적장애인의 직업 생활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라는 공간을 내부자...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어느 지적장애인의 직업 생활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라는 공간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인 바리스타와 그를 둘러싼 주변인을 중심으로 3E(면담, 참여관찰, 현지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프래들리의 발전식 연구절차에 따라 반복적인 자료 해체 및 범주화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바리스타의 직업생활 영역(3가지)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영역(5가지)에 대한 문화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리스타 직원은 직장에서 포괄적인 직업 관련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물리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을 함께 제공받고 있었다. 둘째, 카페 구성원 및 주변인은 이 공간에 대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이 소외’된 측면이 있지만, ‘분업을 통한 협력’, ‘경쟁과 보호’, ‘반복적인 직무지도’가 이루어지는 곳이자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의 장(場)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과 직업교육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윤의, "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운영 실태 및 모형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희만, "특수학교의 학교기업에 대한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0

      3 장미영, "특수학교의 학교기업 운영실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이영희, "특수학교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관한 연구: 바리스타 실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8

      5 백종남,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교육적 성과에 대한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31-48, 2016

      6 정진식,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에 참여한 교사의 인식분석"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7

      7 김선미,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에 대한 담당 교원의 인식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19-143, 2012

      8 송혜경,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현황과 고용 촉진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431-450, 2012

      9 이성하,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 및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27-48, 2014

      10 교육부,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 교육부 2017

      1 황윤의, "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운영 실태 및 모형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희만, "특수학교의 학교기업에 대한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0

      3 장미영, "특수학교의 학교기업 운영실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이영희, "특수학교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관한 연구: 바리스타 실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8

      5 백종남,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교육적 성과에 대한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31-48, 2016

      6 정진식,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에 참여한 교사의 인식분석"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7

      7 김선미,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에 대한 담당 교원의 인식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19-143, 2012

      8 송혜경,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현황과 고용 촉진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431-450, 2012

      9 이성하,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 및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27-48, 2014

      10 교육부,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 교육부 2017

      11 이석훈, "커피전문점의 인적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장애인 직원과 비장애인 직원의 고용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12 김상희, "취업한 지적장애인에게 들어본 여가활동 경험과 의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115-142, 2019

      13 국립특수교육원, "취업 job go 행복 up go : 제6회 장애학생 취업·창업교육 우수사례 발표대회"

      14 Geertz, C.,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15 Mills, D.,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16 김한별,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17 김태건, "직장인으로 살아가는 발달장애인의 삶: 포토보이스와 마인드맵으로 들어본 이야기"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67-96, 2018

      18 정동호, "지적장애학생에게 들어본 특수학교에서의 진로ㆍ직업교육 경험 :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289-322, 2019

      19 김미숙, "지적장애인 맞춤훈련을 통한 ‘바리스타’" 13 : 87-104, 2009

      20 송준만,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2013

      21 국립특수교육원, "장애학생(또는 특수교사)과 학부모를 위한 취업 창업 정보제공서: 잘될거야 1,2"

      22 박영근, "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교육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특수학교 학교기업 및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37-160, 2013

      23 채여진,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바리스타 재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2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일부개정 2018. 2. 21. 법률 제15367호)"

      25 임경원,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요인"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73-300, 2005

      26 석민, "스마트폰 앱(APP)기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커피 만들기 과제수행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27 오정은, "상급학생 또래교수가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바리스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28 이상진, "발달청소년 교외 카페 바리스타 직무경험과 직업성숙도 연구, 청소년분야의 발전과 미래를 위한 논의"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7-83, 2018

      29 신빛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지"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4

      30 한국장애인개발원, "발달장애인을 위한 쉬운 바리스타 업무 매뉴얼 나도 바리스타! (4)"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31 천지은, "발달장애 특수학교의 학교기업 운영 및 교육효과성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43-170, 2012

      32 최유리,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29 (29): 93-118, 2019

      33 Spradley, J. P.,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34 권애리, "도시 인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문화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35 최성욱, "교육연구방법으로서 문화기술지 활용의 조건과 한계" 한국교육원리학회 21 (21): 35-55, 2016

      36 박은수,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학회 52 (52): 111-134, 2017

      37 박선진,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진로와 직업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38 김귀연, "경도지적장애학생의 NCS 기반 바리스타 직무교육과정 수행이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65-183, 2015

      39 임경원, "개인중심계획철학과 사례회의를 핵심시스템으로" 한국직업재활시설협회 99-103, 2020

      40 김은하, "개인중심계획: 발달장애인의 개별화계획 개발을 위한 적용"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259-292, 2012

      41 복헌수, "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운영 실태와 업무담당자의 인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42 Trainor, A. A., "Review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Taylor & Francis 2013

      43 교육부, "2019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