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초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재 연구 - 제작 주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ina: Focused on the producers of AI teaching materi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중국 교육용 도서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인공지능 교육의 역사와 정책, 교재의 제작 주체를 살펴보았다. 먼저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 대상 전체 201권의 인공지능 교육용 도서를 출판 시기·지역·학령별 분포·도서 유형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은 2000년대 중국 교육부의 ‘정보기술’ 교과목을 보급하려는 시도에서부터 시작되었고, 2017년 중국 국무원의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규획」 발표 이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201권의 유치원부터 고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용 도서가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령별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초등학생이며, 도서의 유형 역시 학교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재 외에도 이야기책이나 만화책 등 다양한 양상을 띤다.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전체 38종 102권 가운데 16종 42권에 대해 제작 주체에 대해 살펴봤다. 전체 16종 가운데 지역 주도 교재는 8종, 기업 주도 교재는 6종, 교육기구 주도 교재는 2종이다. 지역 주도 교재는 지역 내 교수·연구원·교육연구사·교사·교육기관·기업 등의 다양한 주체들의 협업으로 제작하고, 이와 같은 교재는 지역 내 교육시스템 속에서 진입하는 데 유리하고, 실제로 출판 전 초등학교에서의 시범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기업 주도 교재 6종은 에듀테크 및 ICT 기업의 주도 아래 교수 등의 협업으로 제작되고, 로봇·키트·앱 등의 다양한 교구를 활용함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에듀테크 기업의 일부 교재는 「발전규획」의 발표 이전에 중국의 교육정책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2012년에 발표된 교육정보화 정책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중국 교육용 도서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인공지능 교육의 역사와 정책, 교재의 제작 주체를 살펴보았다. 먼저 2004년부터 202...

      본고는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중국 교육용 도서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인공지능 교육의 역사와 정책, 교재의 제작 주체를 살펴보았다. 먼저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 대상 전체 201권의 인공지능 교육용 도서를 출판 시기·지역·학령별 분포·도서 유형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은 2000년대 중국 교육부의 ‘정보기술’ 교과목을 보급하려는 시도에서부터 시작되었고, 2017년 중국 국무원의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규획」 발표 이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201권의 유치원부터 고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용 도서가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령별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초등학생이며, 도서의 유형 역시 학교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재 외에도 이야기책이나 만화책 등 다양한 양상을 띤다.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전체 38종 102권 가운데 16종 42권에 대해 제작 주체에 대해 살펴봤다. 전체 16종 가운데 지역 주도 교재는 8종, 기업 주도 교재는 6종, 교육기구 주도 교재는 2종이다. 지역 주도 교재는 지역 내 교수·연구원·교육연구사·교사·교육기관·기업 등의 다양한 주체들의 협업으로 제작하고, 이와 같은 교재는 지역 내 교육시스템 속에서 진입하는 데 유리하고, 실제로 출판 전 초등학교에서의 시범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기업 주도 교재 6종은 에듀테크 및 ICT 기업의 주도 아래 교수 등의 협업으로 제작되고, 로봇·키트·앱 등의 다양한 교구를 활용함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에듀테크 기업의 일부 교재는 「발전규획」의 발표 이전에 중국의 교육정책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2012년에 발표된 교육정보화 정책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의성 ; 임화경, "해외 SW·AI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필요성"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301-308, 2021

      2 "중국인공지능학회 웹페이지"

      3 손민정, "중국의 인공지능(AI)교육 동향 탐색"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4 양환근, "중국의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인공지능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20

      5 박지현, "중국의 교육 현대화와 인공지능" 한국중국어문학회 106 : 83-110, 2021

      6 "중국교육로봇대회(ERCC)웹페이지"

      7 "중국교육기술협회 웹페이지"

      8 중앙일보, "중국,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교과서 발간"

      9 남미주 ; 김정효 ; 황은경 ; JIN CHUNLAN, "중국 초등학교 인공지능(AI)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32 (32): 133-150, 2021

      10 한나 ; 백수은, "중국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정책 분석" 대한중국학회 (75) : 537-777, 2021

      1 송의성 ; 임화경, "해외 SW·AI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필요성"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301-308, 2021

      2 "중국인공지능학회 웹페이지"

      3 손민정, "중국의 인공지능(AI)교육 동향 탐색"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4 양환근, "중국의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인공지능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20

      5 박지현, "중국의 교육 현대화와 인공지능" 한국중국어문학회 106 : 83-110, 2021

      6 "중국교육로봇대회(ERCC)웹페이지"

      7 "중국교육기술협회 웹페이지"

      8 중앙일보, "중국,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교과서 발간"

      9 남미주 ; 김정효 ; 황은경 ; JIN CHUNLAN, "중국 초등학교 인공지능(AI)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32 (32): 133-150, 2021

      10 한나 ; 백수은, "중국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정책 분석" 대한중국학회 (75) : 537-777, 2021

      11 허윤정, "중국 인공지능의 국가적 수용과 그 의미: 2015-2017 국가 공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86) : 101-123, 2018

      12 백수은 ; 한나, "중국 에듀테크 산업 분석 및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31 (31): 31-54, 2021

      13 "중국 국가도서관 웹페이지"

      14 "중국 교육부 웹페이지 教育信息化十年发展规划(2011-2020年)"

      15 劉鳳義, "중국 AI를 활용한 교육 현황과 향후 전망" 성균중국연구소 7 (7): 2019

      16 "베이징쓰우톈과기주식회사 웹페이지"

      17 성균중국연구소, "구이저우: 중국 빅데이터 산업의 메카" 성균중국연구소 4 (4): 2016

      18 财联社快讯, "首部人工智能基础教材在沪发布 新教材试点全国百所学校普及AI教育"

      19 "百度 百科 웹페이지"

      20 "智能火花 웹페이지"

      21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普通高中技术课程标准(实验)" 人民教育出版社 2003

      22 "数据中国 웹페이지"

      23 张立新, "数字故事创作 : Scratch趣味编程" 科学出版社 2016

      24 "宁夏回族自治区教育厅 웹페이지"

      25 "好学智慧人人通平台 웹페이지"

      26 "北京大学创业训练营"

      27 张剑平, "关于人工智能教育的思考" 中国电化教育研究会 (1) : 2003

      28 "人工智能人人通云平台 웹페이지"

      29 王东丽, "中小学人工智能教材综述 : 基于45本已出版教材的分析" 清华大学 (02) : 2021

      30 김정수, "‘과학보급(科普)’으로서 중국 인공지능 교육―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76) : 270-302, 2021

      31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32 Tim Praill, "Global Edtech Ecosystems 1.0-Connecting the World of Education Technology"

      33 谢作如, "ARDUINO创意机器人入门基于MIXLY" 人民邮电出版社 2017

      34 한동균,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과학기술혁신 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아시아학회 22 (22): 33-70, 2019

      35 박동,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의 신기술 인재양성 정책 연구 : 초·중·고 인공지능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36 "2020上海书展"

      37 "2020~21AISpark인공지능창의코딩도전경기 웹페이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