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李贄의 兵家 사상 = A Study on LiZhih's Military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대의 왕학좌파 사상가 이지가 저술한 ⟪孫子參同⟫은 매우 특별한 병가서이다.
      이 책은 ⟪손자병법⟫ 원문에 조조의 주석을 부기하고 자신의 평론을 더한 뒤 ⟪武經七書⟫에서 ⟪손자병법⟫을 뺀 다른 6종 병가서에서 골라낸 관련 내용을 ‘參考’라는 명목으로 첨부한, 이지 특유의 편집으로 엮은 병법 해설서였다.
      ⟪손자참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본고는 이지의 병가 사상을 크게 세 부분으로 서술하였다.
      첫 번째는 전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론으로, 이지의 설명을 통해 전쟁의 정의를 밝혔다.
      전쟁의 발발은 충분한 군사력과 경제력이 갖춰져야 가능하다는 '兵食不二'론과 병가의 전략론에 유가의 명분론을 결합시킨 '仁義一原'론이 주된 내용이 다.
      두 번째는 전쟁의 방법론으로, 이지는 전통적인 전략전술에 유가와 불교의 요소를 더한 독창적 해석을 내놓았다.
      전쟁의 승리, 그것도 양측 모두 피해가 없는 완벽한 승리를 위해서는 仁義의 바탕에 궤도를 적절히 활용하는 '仁詭兼用'론을 주장하며, 그 한 수단인 간첩 역시 불가결한 요소라고 하였다.
      모든 인간적 요인을 초월한 장군의 담담한 심리상태가 승리의 비결임을 주장한 '談兵如禪'론은 통찰력의 중요성을 불교의 '禪定'을 활용해 설명한 것이다.
      세 번째는 전쟁의 주체인 장수와 군주에 관한 논단으로 장수의 품성과 리더십에 관해 설명했고, 아울러 전쟁과 정치의 관계를 논하면서 개인의 명철보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손자참동⟫은 ⟪손자병법⟫의 해설서로 출발한 책이지만 빼어난 문장과 ⟪무경칠서⟫를 아우르는 종합적 서술로, 병가의 진수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이상적인 병가서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명대의 왕학좌파 사상가 이지가 저술한 ⟪孫子參同⟫은 매우 특별한 병가서이다. 이 책은 ⟪손자병법⟫ 원문에 조조의 주석을 부기하고 자신의 평론을 더한 뒤 ⟪武經七書⟫에서 ⟪손자병...

      명대의 왕학좌파 사상가 이지가 저술한 ⟪孫子參同⟫은 매우 특별한 병가서이다.
      이 책은 ⟪손자병법⟫ 원문에 조조의 주석을 부기하고 자신의 평론을 더한 뒤 ⟪武經七書⟫에서 ⟪손자병법⟫을 뺀 다른 6종 병가서에서 골라낸 관련 내용을 ‘參考’라는 명목으로 첨부한, 이지 특유의 편집으로 엮은 병법 해설서였다.
      ⟪손자참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본고는 이지의 병가 사상을 크게 세 부분으로 서술하였다.
      첫 번째는 전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론으로, 이지의 설명을 통해 전쟁의 정의를 밝혔다.
      전쟁의 발발은 충분한 군사력과 경제력이 갖춰져야 가능하다는 '兵食不二'론과 병가의 전략론에 유가의 명분론을 결합시킨 '仁義一原'론이 주된 내용이 다.
      두 번째는 전쟁의 방법론으로, 이지는 전통적인 전략전술에 유가와 불교의 요소를 더한 독창적 해석을 내놓았다.
      전쟁의 승리, 그것도 양측 모두 피해가 없는 완벽한 승리를 위해서는 仁義의 바탕에 궤도를 적절히 활용하는 '仁詭兼用'론을 주장하며, 그 한 수단인 간첩 역시 불가결한 요소라고 하였다.
      모든 인간적 요인을 초월한 장군의 담담한 심리상태가 승리의 비결임을 주장한 '談兵如禪'론은 통찰력의 중요성을 불교의 '禪定'을 활용해 설명한 것이다.
      세 번째는 전쟁의 주체인 장수와 군주에 관한 논단으로 장수의 품성과 리더십에 관해 설명했고, 아울러 전쟁과 정치의 관계를 논하면서 개인의 명철보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손자참동⟫은 ⟪손자병법⟫의 해설서로 출발한 책이지만 빼어난 문장과 ⟪무경칠서⟫를 아우르는 종합적 서술로, 병가의 진수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이상적인 병가서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브라함 H.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4

      2 프랜시스 후쿠야마, "정치 질서의 기원" 웅진지식하우스 2012

      3 이언 모리스, "전쟁의 역설" 지식의 날개 2015

      4 버나드 로 몽고메리, "전쟁의 역사" 책세상 2006

      5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제1권" 갈무리 2006

      6 로렌스 프리드먼, "전략의 역사" 비즈니스 북스 2013

      7 김혜경, "이지의 여성교육" 중국어문학회 (67) : 92-115, 2019

      8 "네이버 지식백과"

      9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 까치글방 2012

      10 朱逢甲, "間書" 人民出版社 2007

      1 아브라함 H.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4

      2 프랜시스 후쿠야마, "정치 질서의 기원" 웅진지식하우스 2012

      3 이언 모리스, "전쟁의 역설" 지식의 날개 2015

      4 버나드 로 몽고메리, "전쟁의 역사" 책세상 2006

      5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제1권" 갈무리 2006

      6 로렌스 프리드먼, "전략의 역사" 비즈니스 북스 2013

      7 김혜경, "이지의 여성교육" 중국어문학회 (67) : 92-115, 2019

      8 "네이버 지식백과"

      9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 까치글방 2012

      10 朱逢甲, "間書" 人民出版社 2007

      11 "論語"

      12 "荀子"

      13 李贄, "續焚書" 한길사 2007

      14 "禮記"

      15 "百度百科"

      16 吳震, "王陽明著作述評" 古籍出版社 2004

      17 李贄, "焚書" 한길사 2004

      18 劉寅, "武經七書直解" 岳麓书社 1991

      19 駢宇騫, "武經七書" 中華書局 2014

      20 李桂生, "李贄的兵學思想體" 8 : 2013

      21 張建業, "李贄文集"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0

      22 張建業, "李贄全集注"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0

      23 김혜경, "李贄『孫子參同』著述考" 중국어문학회 (76) : 163-193, 2021

      24 李贄, "明燈道古錄" 한길사 2016

      25 張建業, "從『孫子參同』看李贄的軍事思" (2) : 1980

      26 "孟子"

      27 "孔子家语"

      28 "吕氏春秋"

      29 "史記"

      30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31 "三國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