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HP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평가 연구 : 목포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the Planned Indicator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AHP Method : Target of local residents in Mokp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1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modernization, the advance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flow of populations from rural to urban areas and, as a result, cities have dramatically expanded. However, after the dramatic industrialization, cities have lost its productivity and functions, lagging the infrastructure and consequently falling the quality of urban life. This has finally led to urban emptiness.
      In order to deal with this urban issue, a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which focuses on the discover of distinct cultural factors and history of each city since the late 1890s has been carried ou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everal methods have been tried to regenerate the cities after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ssibl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for urban regeneration and according to surveys of AHP and data analysis, it has been tried to find an interactive evaluation between data.
      To get data for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there have been several following steps.
      Firstly, information from previous researches on urban regeneration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has been comprehensively collected to standardiz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Secondly, based on data from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initial four main areas, physic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
      Physical area includes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Sociocultural area includes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Economic aspect include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Political aspect includes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There are 17 sub-structures in total.
      Finally, although the population in the city of Mokpo has remained stead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 city has lagged, according to a survey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 city residents in Mokpo response and prioritize ‘Physical aspect’, ‘Economic aspect’, ‘Sociocultural aspect’ and ‘Political aspect’.
      They mark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hysical aspect,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in order and for the economic aspect,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n order and for sociocultural aspect,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and for the political aspect,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in order.
      Through this study, although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and priorities of its indicators have been investigated, a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or an investigation on the level of city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regeneration.
      번역하기

      Since the modernization, the advance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flow of populations from rural to urban areas and, as a result, cities have dramatically expanded. However, after the dramatic industrialization, cities...

      Since the modernization, the advance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flow of populations from rural to urban areas and, as a result, cities have dramatically expanded. However, after the dramatic industrialization, cities have lost its productivity and functions, lagging the infrastructure and consequently falling the quality of urban life. This has finally led to urban emptiness.
      In order to deal with this urban issue, a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which focuses on the discover of distinct cultural factors and history of each city since the late 1890s has been carried ou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everal methods have been tried to regenerate the cities after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ssibl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for urban regeneration and according to surveys of AHP and data analysis, it has been tried to find an interactive evaluation between data.
      To get data for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there have been several following steps.
      Firstly, information from previous researches on urban regeneration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has been comprehensively collected to standardiz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Secondly, based on data from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initial four main areas, physic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
      Physical area includes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Sociocultural area includes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Economic aspect include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Political aspect includes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There are 17 sub-structures in total.
      Finally, although the population in the city of Mokpo has remained stead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 city has lagged, according to a survey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 city residents in Mokpo response and prioritize ‘Physical aspect’, ‘Economic aspect’, ‘Sociocultural aspect’ and ‘Political aspect’.
      They mark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hysical aspect,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in order and for the economic aspect,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n order and for sociocultural aspect,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and for the political aspect,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in order.
      Through this study, although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and priorities of its indicators have been investigated, a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or an investigation on the level of city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re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이후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은 도시 인구유입을 증가시켰고 그 결과 도시는 급격하게 팽창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 이후 생산동력을 잃고 기능이 쇠퇴한 도시는 공공서비스시설, 도시기반시설이 점차 낙후되며, 거주하고 있는 인간 삶의 질적 저하와 함께 도시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890년 후반부터 각 도시가 가진 고유한 역사 및 문화 요소와 경제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 도시를 활성화 시키려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1990년 이후부터는 도시재생을 위한 실제적인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계획과 설계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를 설정하고, AHP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각 지표 사이의 상대적 가치평가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문헌검토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관련 지표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종합화하여 지표화 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수집함으로서 주요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가 누락되지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 연구보고서들의 분류 기준을 토대로 수집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물리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 4개의 1차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물리적측면』하부구조로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사회문화적측면』하부구조로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산업경제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제도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총 17개의 2차 계층구조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20년간 인구가 정체되고 낙후되어 있으나, 도시내 많은 역사 문화요소를 가지고 2014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선도지역’으로 선정된 목포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각 항목별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들은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1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2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에서는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산업경제적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상권 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사회문화적측면』에서는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정책제도적측면』에서는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새재생사업시 필요한 계획지표와 지표별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 도시재생이 이루어진 거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여겨진다.
      번역하기

      근대이후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은 도시 인구유입을 증가시켰고 그 결과 도시는 급격하게 팽창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 이후 생산동력을 잃고 기능이 쇠퇴한 도시는 공공서비스시설, ...

      근대이후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은 도시 인구유입을 증가시켰고 그 결과 도시는 급격하게 팽창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 이후 생산동력을 잃고 기능이 쇠퇴한 도시는 공공서비스시설, 도시기반시설이 점차 낙후되며, 거주하고 있는 인간 삶의 질적 저하와 함께 도시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890년 후반부터 각 도시가 가진 고유한 역사 및 문화 요소와 경제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 도시를 활성화 시키려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1990년 이후부터는 도시재생을 위한 실제적인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계획과 설계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를 설정하고, AHP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각 지표 사이의 상대적 가치평가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문헌검토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관련 지표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종합화하여 지표화 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수집함으로서 주요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가 누락되지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 연구보고서들의 분류 기준을 토대로 수집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물리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 4개의 1차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물리적측면』하부구조로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사회문화적측면』하부구조로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산업경제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제도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총 17개의 2차 계층구조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20년간 인구가 정체되고 낙후되어 있으나, 도시내 많은 역사 문화요소를 가지고 2014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선도지역’으로 선정된 목포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각 항목별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들은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1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2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에서는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산업경제적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상권 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사회문화적측면』에서는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정책제도적측면』에서는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새재생사업시 필요한 계획지표와 지표별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 도시재생이 이루어진 거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여겨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 제 2 장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 제 2 장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 제 1 절 도시 재생 이론 4
      • 1. 도시재생의 개념 4
      • 2. 도시재생사업의 분류 16
      • 3. 도시재생의 범위 25
      • 제 2 절 국내·외 사례 30
      • 1. 국내 사례-지역자력형의 도시재생 테스트 베드 : 전주, 창원 30
      • 2. 해외 사례 34
      • 제 3 절 법제도적 현황 46
      • 1. 도시재생법(안) 이전의 법제도 46
      • 2. 도시재생법(안) 52
      • 제 4 절 도시재생사업의 계획 지표 54
      • 1. 도시쇠퇴 지표 54
      • 2. 도시재생사업 관련 지표 56
      • 제 5 절 국내 도시재생선도지역 66
      • 제 3 장 조사대상지역의 현황 69
      • 제 1 절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역 현황 69
      • 1. 목포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와 원도심의 쇠퇴 원인 69
      • 2. 목포시 원도심의 쇠퇴 실태 71
      • 3. 목포시 원도심의 기능과 잠재적 가치 76
      • 제 2 절 목포시 원도심 정비사업 78
      • 1. 원도심 발전을 위한 선행 연구 및 현황 78
      • 2. 주요 지표의 설정 82
      • 3. 도시정비사업 93
      • 4. 목포시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 96
      • 제 4 장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평가 구조 103
      • 제 1 절 설문 개요 103
      • 제 2 절 연구방법 및 가치평가 속성의 도출 103
      • 제 3 절 설문결과 106
      •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6
      • 2. AHP 분석결과 107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11
      • 참고문헌 114
      • 국문초록 118
      • 부록 1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