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Open-Structur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광장이 단순히 공동주택 거주자들만을 위한 내적이고 자기 완결형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 활성화된 열린 공간으로써 그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이 갖는 심리적 접근성,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에 각각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개방성과 접근성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거리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중앙광장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린 정도에 따라 이를 열린 구조와 닫힌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 지역 안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신림 푸르지오와 방학 대상타운 현대, 그리고 관악 푸르지오와 방학 삼성 래미안 1단지를 대상지로 선정, 각각 공동주택 거주자들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두 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총 여덟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의 측정 등을 실시한 결과 위의 연구 가설들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에서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개방성과 접근성이 높은 경우 지역 공동체의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성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지역 공동체의식이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구체적인 대상지를 통해 분석,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향후 실천적인 중앙광장의 계획과 조성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een broken up due to urban residence re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Central squa...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een broken up due to urban residence re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Central squares do not simply function as inner-aiming and self-completed spaces for the residents, but their role can be expanded to a core location which encourages neighbo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upposi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hysical locations of th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affect apartment residents' openness toward their neighbors and non-residents' accessibility to the square. At the same time, it influences the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represented as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form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study, we first categorized central squares as either open-structure or closed-structure based on how accessible it is from outside the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se types of central squares, Sillim Prugio, Banghak Deasang Town Hyundai, Gwanak Prugio and Banghak Samsung Raemian 1 which have similar conditions and different structures were selected as sites of the study. Then each apartment complex was classified by apartment residents and non-residents so that eight groups were prepar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especially regarding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indicated that the suppositions were right. Hence,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are high in a central square with an open-structure while high standards of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guarantee a positive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at the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s reciprocally related to psychological openness, accessibil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may serve as theoretical grounds for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practical central squa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친인간적 환경설계연구" 보문당 2007

      2 이규목, "해방 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26 (26): 1-14, 1998

      3 남용훈,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5-18, 2005

      4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5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6 신중진,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기법 연구 - 공동주택개발방식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상설계 당선안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61-68, 2008

      7 이규인, "주거단지 공동체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기법연구"

      8 안건용, "우리나라 아파트 단지의 문제점 분석 및 조경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5 (5): 253-273, 1980

      9 박경옥,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 및 프로그램 고찰." 10 (10): 113-129, 2007

      10 이혁준, "아파트 단지의 공동생활공간 시설 개선을 위한 모형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인천 연수지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19 (19): 51-56, 1999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친인간적 환경설계연구" 보문당 2007

      2 이규목, "해방 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26 (26): 1-14, 1998

      3 남용훈,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5-18, 2005

      4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5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6 신중진,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기법 연구 - 공동주택개발방식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상설계 당선안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61-68, 2008

      7 이규인, "주거단지 공동체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기법연구"

      8 안건용, "우리나라 아파트 단지의 문제점 분석 및 조경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5 (5): 253-273, 1980

      9 박경옥,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 및 프로그램 고찰." 10 (10): 113-129, 2007

      10 이혁준, "아파트 단지의 공동생활공간 시설 개선을 위한 모형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인천 연수지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19 (19): 51-56, 1999

      11 박태동,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5

      12 배성지, "아파트 공동생활공간 구성과 근린교제수준에 관한 연구:공용시설과 주동출입방식의 차이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17 (17): 83-88, 1997

      13 정수복, "시민의식과 시민참여:문명전환을 꿈꾸는 새로운 시민운동" 도서출판 아르케 2002

      14 정재헌, "불량주택 재개발아파트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5 김진숙, "리더 팔로워간 심리적 거리와 리더십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5

      16 최두호,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강일2지구 공동주택 현상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7 (17): 149-157, 2006

      17 고은정,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시흥3동 담장허물기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7 (7): 77-86, 2006

      18 정수복, "공동체의식과 시민운동" 공보처 1995

      19 민병호, "공동주택 외부공간 중 커뮤니티 행위 장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39-47, 2006

      20 최열, "공동주택 단지설계요소 및 거주자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 23 (23): 83-90, 2007

      21 "http://www.raemian.co.kr"

      22 "http://www.r114.co.kr"

      23 "http://www.dshdapt.com"

      24 "http://earth.google.com"

      25 Sarason,S.B,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Perspectives for a Community Psychology" Jossey- Bass 1974

      26 Mcmillan,D.W., "Sense of community:Adefinition of theory" 14 : 6-23, 1986

      27 채서일, "SPSS/PC+를 이용한 통계분석" 법문사 1998

      28 Glynn,T.J,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Measurement and application." 34 : 780-818, 1981

      29 김대현, "IMF 기간 일간신문 분양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의 차별화 내용 및 요소" 한국조경학회 32 (32): 71-82, 2004

      30 Bell,P.A.,J.D.Fisher, "Environmental Psychology" W.B. Saunder Company.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