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음악 중에 대중에게 가장 많이 사랑 받고 있는 음악은 아마도 판소리와 그 판소리의 기본 가락을 바탕으로 100여 년 전에 김창조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가야금산조 일 것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48859
서울 :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2010. 8
2010
한국어
서울
vi, 63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전통음악 중에 대중에게 가장 많이 사랑 받고 있는 음악은 아마도 판소리와 그 판소리의 기본 가락을 바탕으로 100여 년 전에 김창조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가야금산조 일 것이다...
한국의 전통음악 중에 대중에게 가장 많이 사랑 받고 있는 음악은 아마도 판소리와 그 판소리의 기본 가락을 바탕으로 100여 년 전에 김창조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가야금산조 일 것이다. 가야금산조는 주로 열린 공간에서 장구와 함께 연주 되어 왔다. 우리 전통음악의 특성상 장단은 음악 전체의 흐름을 이끌어 가고 조절하는 기능에 있어서 서양음악의 리듬악기들과 비슷하지만 서양음악이 정확한 박자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의 장단은 정확한 박자의 중요성 보다는 ‘호흡’의 기능이 더욱 크다. 그렇기 때문에 이 호흡은 가야금산조와 같은 이중주 음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야금산조는 가야금의 독주가 아닌 장구와 함께 이중주의 음악으로 분류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가야금산조는 레코딩 되어 다양한 미디어 매체로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가야금산조 또는 다른 악기의 산조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연주형태에서 오는 음향과 ‘이중주’의 구조가 레코딩 과정에서부터 왜곡되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가야금과 장구가 한 공간에서 녹음 할 수밖에 없는 음악적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음향적으로 생겨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야금과 장구를 각기 다른 공간에서 분리하여 녹음하거나, 장구의 역할을 축소시켜 산조 특유의 이중주의 구조가 무너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가야금산조의 전통적인 청취 형태를 왜곡 없이 표현하기 위한 레코딩 기법을 연구하기 위해 가야금과 장구의 음악적 특성과 물리적, 구조적 음향 특성을 분석하여 연구하고, 가야금산조를 스테레오 이미지로 보았을 때 가장 적합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제시하여 한 공간에서 연주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음향적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또한 마이크로폰 변환 방식과 위치에 따른 가야금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와 주파수 스펙트럼(Frequency spectrum) 고찰 및 근접마이크로폰방식(Closing Microphone system)으로 녹음하여 믹싱 했을 때와 원거리 마이크로폰 방식(Distance Microphone system)으로 녹음하여 믹싱 했을 때 두 가지 마이크로폰기법(Microphone system)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녹음과 믹싱(Mixing) 기법을 연구하여 가야금산조의 음악적 특성과 구조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