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앙부처 물관리 구조에 관한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 중앙부처-물 정책기능 간 연계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 A Two-mode Network Analysis of National Water Policy in South Korea: Government Departments, Water Policy Functions, and Integrated Manage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system in South Korea in terms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s a two-mode network analysis, which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the relational properties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of entities, actors and event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five ministries and thirty water policy functions in the laws using two-mode network analysis. The network levels are divided into a whole network and three sectoral networks: water-use, water-quality, and water-disast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network and the water-use network are more similar and the central ministries and the water policy functions are much more connected in the water-use network than the other sectoral networks. Degree centrality analysis of the two node sets shows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the highest in terms of government departments. Meanwhile,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s the highest in the water-disaster sector. In terms of water policy function, research & investigation, information systems, and safety management of dams & reservoirs have high scores of degree centrality. Finally, this study describes the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water policy functions as complex and overlapping in the law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water management system of governmental departments systematically through the two-mode network approach and manage the complexity and overlap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in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improve integrated national water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system in South Korea in terms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s a two-mode network analysis, which is a useful tool for analyz...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system in South Korea in terms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s a two-mode network analysis, which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the relational properties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of entities, actors and event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five ministries and thirty water policy functions in the laws using two-mode network analysis. The network levels are divided into a whole network and three sectoral networks: water-use, water-quality, and water-disast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network and the water-use network are more similar and the central ministries and the water policy functions are much more connected in the water-use network than the other sectoral networks. Degree centrality analysis of the two node sets shows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the highest in terms of government departments. Meanwhile,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s the highest in the water-disaster sector. In terms of water policy function, research & investigation, information systems, and safety management of dams & reservoirs have high scores of degree centrality. Finally, this study describes the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water policy functions as complex and overlapping in the law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water management system of governmental departments systematically through the two-mode network approach and manage the complexity and overlap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in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improve integrated national water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two-mode network analysis)을 통해 중앙부처 물관리 행정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국가적 차원의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중앙부처 간 관계를 분석한 기존의 양적 연구들은 주로 행위자 일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왔으나,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경우 행위자(actor)와 더불어 사건(event)을 포함한 2개 노드 집합의 연결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5개의 관련 법률상 주요 정책행위자인 5개 중앙부처와 30개 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를 전체 및 이수・물환경・치수 부문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고 소시오그램(sociogram)으로 구현한다. 분석결과, 구조적 특징은 전체 부문과 이수 부문이 가장 유사한 형태로 세 개 부문 중 이수 부문 법률에 중앙부처들의 물관리 역할과 다양한 물 정책기능이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연결 중심성 분석결과, 중앙부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환경부의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았으나 치수 부문의 경우 행정안전부의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 정책기능의 측면에서는 조사연구, 정보체계구축, 저수지 및 댐 안전관리 등이 5개 부처와의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의 양적지표와 소시오그램을 통해 전체 및 이수・물환경・치수 부문 법률상 중앙부처-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에 내재된 복잡성과 중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원화된 국가 물 정책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부문별 중앙부처별 물 정책기능을 정책 대상 및 목표를 중심으로 체계화하여 복잡성을 해소하고, 부문 및 부처 간 유사・중복 정책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 비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네트워크 접근을 통해 중앙부처-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복잡성과 중첩성을 관리하는 것은 통합 물관리와 같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국가 물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일관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two-mode network analysis)을 통해 중앙부처 물관리 행정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국가적 차원의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중앙부...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two-mode network analysis)을 통해 중앙부처 물관리 행정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국가적 차원의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중앙부처 간 관계를 분석한 기존의 양적 연구들은 주로 행위자 일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왔으나,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경우 행위자(actor)와 더불어 사건(event)을 포함한 2개 노드 집합의 연결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5개의 관련 법률상 주요 정책행위자인 5개 중앙부처와 30개 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를 전체 및 이수・물환경・치수 부문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고 소시오그램(sociogram)으로 구현한다. 분석결과, 구조적 특징은 전체 부문과 이수 부문이 가장 유사한 형태로 세 개 부문 중 이수 부문 법률에 중앙부처들의 물관리 역할과 다양한 물 정책기능이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연결 중심성 분석결과, 중앙부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환경부의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았으나 치수 부문의 경우 행정안전부의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 정책기능의 측면에서는 조사연구, 정보체계구축, 저수지 및 댐 안전관리 등이 5개 부처와의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의 양적지표와 소시오그램을 통해 전체 및 이수・물환경・치수 부문 법률상 중앙부처-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에 내재된 복잡성과 중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원화된 국가 물 정책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부문별 중앙부처별 물 정책기능을 정책 대상 및 목표를 중심으로 체계화하여 복잡성을 해소하고, 부문 및 부처 간 유사・중복 정책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 비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네트워크 접근을 통해 중앙부처-물 정책기능 간 연계구조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복잡성과 중첩성을 관리하는 것은 통합 물관리와 같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국가 물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일관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길곤, "행정학과 타학문분야의 네트워크 이론 연구 및 활용 경향에 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9 (19): 37-72, 2013

      2 오재록, "한국 중앙부처의 네트워크: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수평/수직 네트워크의 통합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5 (15): 1-30, 2018

      3 김보람, "한국 물관리 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1948년~2018년 국가 물관리 제도의 형성과 지속, 층화" 한국정책학회 28 (28): 33-74, 2019

      4 배재현, "지방정부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부산시 하천환경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95-221, 2010

      5 김보람,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 제주특별자치도의 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53 (53): 671-680, 2020

      6 이창길, "중앙부처의 수평적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협력과 경쟁 그리고 권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1-47, 2007

      7 박순애, "중앙부처간 협력・갈등관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국가표준업무 관련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07-234, 2008

      8 박용성, "정책네트워크의 동태적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한강 및 낙동강 유역정책 수립 및입법화과정의 비교ㆍ분석을 중심으로" 15 (15): 99-128, 2004

      9 오재록, "정부조직의 네트워크 실증연구 : 43개 중앙행정기관의 수평적.수직적 네트워크 측정" 한국행정연구원 15 (15): 27-54, 2007

      10 박치성, "정부조직개편의 효과 실증분석: 노무현・이명박 정부의 중앙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9 (49): 51-82, 2011

      1 고길곤, "행정학과 타학문분야의 네트워크 이론 연구 및 활용 경향에 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9 (19): 37-72, 2013

      2 오재록, "한국 중앙부처의 네트워크: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수평/수직 네트워크의 통합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5 (15): 1-30, 2018

      3 김보람, "한국 물관리 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1948년~2018년 국가 물관리 제도의 형성과 지속, 층화" 한국정책학회 28 (28): 33-74, 2019

      4 배재현, "지방정부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부산시 하천환경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95-221, 2010

      5 김보람,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 제주특별자치도의 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53 (53): 671-680, 2020

      6 이창길, "중앙부처의 수평적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협력과 경쟁 그리고 권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1-47, 2007

      7 박순애, "중앙부처간 협력・갈등관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국가표준업무 관련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07-234, 2008

      8 박용성, "정책네트워크의 동태적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한강 및 낙동강 유역정책 수립 및입법화과정의 비교ㆍ분석을 중심으로" 15 (15): 99-128, 2004

      9 오재록, "정부조직의 네트워크 실증연구 : 43개 중앙행정기관의 수평적.수직적 네트워크 측정" 한국행정연구원 15 (15): 27-54, 2007

      10 박치성, "정부조직개편의 효과 실증분석: 노무현・이명박 정부의 중앙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9 (49): 51-82, 2011

      11 황창호, "정부의 정책사업과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분석 -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31-62, 2011

      12 오재록, "정부부처의 네트워크: 이명박 정부 41개 중앙행정기관 실증연구" 한국조직학회 8 (8): 31-58, 2011

      13 이희철, "정부 부처 간 협업 연결망 분석과 정책적 함의: 국정과제 협업 계획 연결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2 (22): 83-112, 2016

      14 안경섭, "정부 물관리 정책 기능 중복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3 (23): 183-208, 2012

      15 이덕로, "수자원에 관한 학제적 연구와 여론주도자의 정책적 관심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21 (21): 95-130, 2017

      16 최흥석, "수자원공급의 거버넌스 변화 분석- 정책공동체에서 이슈네트워크로 -" 한국정부학회 16 (16): 49-80, 2004

      17 김미선,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새만금유역 이해관계자 네트워크구조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사회학회 17 (17): 227-274, 2013

      18 윤기찬,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259-283, 2014

      19 정원식, "물관리 정책 산출과정과 갈등 조정에 관한 연구 :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의 수자원관리법을 중심으로" 335-356, 2016

      20 김철회, "물 관리 행정체계, 왜 변하지 않는가?: Mahoney의 자기강화모형 관점에서" 한국행정연구소 51 (51): 167-194, 2013

      21 김철회, "물 관리 행정체계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66-277, 2013

      22 이인원,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 나타난 정부협업 네트워크 분석" 한국국정관리학회 28 (28): 109-154, 2018

      23 배귀희, "공공갈등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 한탄강댐 사례에서의 네트워크 특성과 주요 행위자들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07-144, 2010

      24 최충익, "공간계획법과 환경관련법의 연계성에 관한 연결망 분석과 함의" 한국환경연구원 13 (13): 39-63, 2014

      25 김창수, "경로의존성과 딜레마 그리고 입법실패: 물기본법 제정지연 사례의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135-159, 2016

      26 Bressers, H., "as Models of Analysis: Water Policy in Comparative Perspective" 3 (3): 1-23, 1994

      27 OECD, "Water Governance in OECD Countries: A Multi-level Approach"

      28 Jasny, L., "Two-mode Brokerage in Policy Networks" 41 : 36-47, 2015

      29 Borgatti, S. P.,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Publications 417-433, 2011

      30 Wasserman, S., "Structur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1994

      31 Lienert, J., "Stakeholder Analysis Combined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Provides Fine-grained Insights into Water Infrastructure Planning Processes" 125 : 134-148, 2013

      32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33 Lubell, M., "Network Structure and Institutional Complexity in an Ecology of Water Management Games" 19 (19): 23-, 2014

      34 Borgatti, S. P., "Network Analysis of 2-mode Data" 19 (19): 243-270, 1997

      35 Metz, F., "Interdependent Policy Instrument Preferences: A Two-mode Network Approach" 39 (39): 609-636, 2019

      36 Boschet, C., "Collaborative Environmental Governance and Transaction Costs in Partnerships: Evidence from a Social Network Approach to Water Management in France" 61 (61): 105-123, 2018

      37 Faust, K., "Centrality in Affiliation Networks" 19 (19): 157-191, 1997

      38 Berardo, R., "Bridging and Bonding Capital in Two‐mode Collaboration Networks" 42 (42): 197-225, 2014

      39 Borgatti, S. P.,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Publications 2018

      40 Fliervoet, J. M., "Analyzing Collaborative Governanc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 Case Study of River Management along the Waal River in the Netherlands" 57 (57): 355-36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