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유치 실패로 본 남북 공동 올림픽의 추진의 방향성 = The Review of failure for 2032 Seoul-Pyeongyang Olympic bid and Policy Sugges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3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ailure of preparation for 2032 Olympic bid, which is the first official attempt of two Koreas’ co-host. The review of trial and error of bid for mega event gives insightful in terms of sport law, regulations and policy. The two Koreas’ case is more meaningful since Korean peninsular is one the unique places as such co-hosting process.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policy report analysis and interviews of stakeholder. This research can get various aspect of views and discourse due to this diversity of participants from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and Seoul City.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ar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 of issues. Internal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not ready for the protocol of this co-hosting, so the administrative frustration caused lack of communication, then there was no mutual empathy to this event of co-hosting. Moreover the financial worry became the huge burden for both. Lastly there was no strong legal foundation which can be the impetus of this policy decision. Externally, the North and South Political and Sport relations were not appropriate for this event, and also COVID-19 became a huge obstacle.
      Considering the history of communications between two Koreas, national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is only available based on the greatly stable and consistent pursue of the will which achieve this dreamy goal of co-host. The support of peaceful North and South Korean relation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s bases, strategic approach of bid process is necessary.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omestic needs to be more objective, so the ‘Appropriateness’, ‘feasi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must be considered and more specific strategy for each stage of bid process is essenti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ailure of preparation for 2032 Olympic bid, which is the first official attempt of two Koreas’ co-host. The review of trial and error of bid for mega event gives insightful in terms of sport law, regul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ailure of preparation for 2032 Olympic bid, which is the first official attempt of two Koreas’ co-host. The review of trial and error of bid for mega event gives insightful in terms of sport law, regulations and policy. The two Koreas’ case is more meaningful since Korean peninsular is one the unique places as such co-hosting process.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policy report analysis and interviews of stakeholder. This research can get various aspect of views and discourse due to this diversity of participants from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and Seoul City.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ar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 of issues. Internal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not ready for the protocol of this co-hosting, so the administrative frustration caused lack of communication, then there was no mutual empathy to this event of co-hosting. Moreover the financial worry became the huge burden for both. Lastly there was no strong legal foundation which can be the impetus of this policy decision. Externally, the North and South Political and Sport relations were not appropriate for this event, and also COVID-19 became a huge obstacle.
      Considering the history of communications between two Koreas, national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is only available based on the greatly stable and consistent pursue of the will which achieve this dreamy goal of co-host. The support of peaceful North and South Korean relation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s bases, strategic approach of bid process is necessary.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omestic needs to be more objective, so the ‘Appropriateness’, ‘feasi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must be considered and more specific strategy for each stage of bid process is essent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분단이래. 최초로 국가차원의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공식 준비였던 2032 하계올림픽 대회의 유치 실패를 고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제대회의 유치를 위한 도전과 시행착오는 스포츠법과 제도, 그리고 정책적 차원의 함의를 가지며, 남한과 북한의 공동 올림픽 유치는 그런 부분에서 단일국가의 메가 스포츠 이벤트 유치와는 차이가 있기에 향후 국제스포츠정책, 남북스포츠관계의 정책적 결정에서 유의미한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북한 공동올림픽 유치 및 개최의 주무부처인 문체부를 위시하여 협력 부처인 통일부, 외교부, 서울시, 대한체육회의 정책 논의과정에서 방법론으로서 선행연구 검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추진되었다. 전문가 자문회의는 토의식이었으나, 개별 전문가들에 대한 반구조적 인터뷰가 있었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 남북한 공동올림픽 유치 실패에 대한 다각도의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2032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실패 원인을 내외부적 요인으로 구별하였는데,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는 1) 남북 스포츠 협력 타임라인 및 경향성, 2) 남북 정치교류의 타임라인과 경향성, 3) 코로나 19 펜데믹이 주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1)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추진 체계의 미비, 2) 남북 공동 올림픽 유치 및 개최 공감대 부족, 3) 남북 대회 환경 조성의 경제적 부담, 4) 남북 교류협력의 법적 근거 부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향후 남북 공동올림픽 추진 방향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1) 유치 방향 설정의 토대로 (1) 남북평화 분위기와 국제관계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IOC의 올림픽 개최지 선정 기준의 변경에 대한 전략적 이해가 필요하며, (3) 국내 정책결정 과정 역시 합리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정책적으로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를 위한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1) 적합성, 실현가능성, 경제성 등의 상대적 비교우위를 고려해야하며, (2) 유치 과정 각 단계에서의 짜임새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북한 분단이래. 최초로 국가차원의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공식 준비였던 2032 하계올림픽 대회의 유치 실패를 고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제대회의 유치를 위한 도전과 시행착오...

      본 연구는 남북한 분단이래. 최초로 국가차원의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공식 준비였던 2032 하계올림픽 대회의 유치 실패를 고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국제대회의 유치를 위한 도전과 시행착오는 스포츠법과 제도, 그리고 정책적 차원의 함의를 가지며, 남한과 북한의 공동 올림픽 유치는 그런 부분에서 단일국가의 메가 스포츠 이벤트 유치와는 차이가 있기에 향후 국제스포츠정책, 남북스포츠관계의 정책적 결정에서 유의미한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북한 공동올림픽 유치 및 개최의 주무부처인 문체부를 위시하여 협력 부처인 통일부, 외교부, 서울시, 대한체육회의 정책 논의과정에서 방법론으로서 선행연구 검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추진되었다. 전문가 자문회의는 토의식이었으나, 개별 전문가들에 대한 반구조적 인터뷰가 있었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 남북한 공동올림픽 유치 실패에 대한 다각도의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2032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실패 원인을 내외부적 요인으로 구별하였는데,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는 1) 남북 스포츠 협력 타임라인 및 경향성, 2) 남북 정치교류의 타임라인과 경향성, 3) 코로나 19 펜데믹이 주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1)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 추진 체계의 미비, 2) 남북 공동 올림픽 유치 및 개최 공감대 부족, 3) 남북 대회 환경 조성의 경제적 부담, 4) 남북 교류협력의 법적 근거 부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향후 남북 공동올림픽 추진 방향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1) 유치 방향 설정의 토대로 (1) 남북평화 분위기와 국제관계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IOC의 올림픽 개최지 선정 기준의 변경에 대한 전략적 이해가 필요하며, (3) 국내 정책결정 과정 역시 합리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정책적으로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를 위한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1) 적합성, 실현가능성, 경제성 등의 상대적 비교우위를 고려해야하며, (2) 유치 과정 각 단계에서의 짜임새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우찬, "한반도 평화와 스포츠: 평창 동계올림픽과 남북 스포츠 교류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7 (27): 87-105, 2018

      2 하숙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북교류수단으로서 남북단일팀의 활용가치, 지속가능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8 (18): 1007-1019, 2020

      3 정한범,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359-382, 2019

      4 최성환,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현행 법률의 개정방안 - 이른바 남북교류협력 ‘3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20 (20): 437-466, 2020

      5 이준한,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대한 법제도적 이해" 인천학연구원 1 (1): 187-219, 2021

      6 유상건, "인식과 전략 : 한국의 스포츠 저널리즘과 2032 남북 공동올림픽" 19-20, 2019

      7 김재한 ; 정기웅,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신화와 현실" 한국정치정보학회 22 (22): 211-242, 2019

      8 조지현 ; 유상건 ; 김동학, "서울·평양 공동 올림픽과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 한국체육학회 60 (60): 427-437, 2021

      9 민경태, "서울-평양 스마트시티와 DMZ 국제평화지대 구상의 실현 가능성 모색" 3 : 155-187, 2019

      10 정병찬, "남북공동 개최를 위한 메가스포츠이벤트의 정책적 활용 방안" 한국체육학회 60 (60): 199-208, 2021

      1 조우찬, "한반도 평화와 스포츠: 평창 동계올림픽과 남북 스포츠 교류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7 (27): 87-105, 2018

      2 하숙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북교류수단으로서 남북단일팀의 활용가치, 지속가능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8 (18): 1007-1019, 2020

      3 정한범,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359-382, 2019

      4 최성환,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현행 법률의 개정방안 - 이른바 남북교류협력 ‘3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20 (20): 437-466, 2020

      5 이준한,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대한 법제도적 이해" 인천학연구원 1 (1): 187-219, 2021

      6 유상건, "인식과 전략 : 한국의 스포츠 저널리즘과 2032 남북 공동올림픽" 19-20, 2019

      7 김재한 ; 정기웅,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신화와 현실" 한국정치정보학회 22 (22): 211-242, 2019

      8 조지현 ; 유상건 ; 김동학, "서울·평양 공동 올림픽과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 한국체육학회 60 (60): 427-437, 2021

      9 민경태, "서울-평양 스마트시티와 DMZ 국제평화지대 구상의 실현 가능성 모색" 3 : 155-187, 2019

      10 정병찬, "남북공동 개최를 위한 메가스포츠이벤트의 정책적 활용 방안" 한국체육학회 60 (60): 199-208, 2021

      11 이우태, "남북 체육교류 활성화와 2032년 올림픽 공동개최" 4 (4): 211-236, 2020

      12 조현주 ; 최준규, "국민체육진흥공단 올림픽 가치 확산 방안 탐색" 한국체육정책학회 19 (19): 67-86, 2021

      13 서울연구원, "‘하계올림픽’ 서울-평양 공동 개최 방안" 서울연구원 2020

      14 "The Korea Herald"

      15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Repoert of the Future Host Commission for the games of the Olympiad to the IOC Ececutive Board - Targeted Dialogue Brisbane 2032" IOC 2021

      16 Cho, Hyunjoo,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Nationalism and Sport Diplomacy: The evolving relationship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rom 1978 to 2007" 2007

      17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Feasibility Assessment - Olympic Games Brisbane" IOC 2021

      18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Future Host Elections: Rules of Conduct for Targeted Dialogue" IOC 2020

      19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Future Host Elections : Rules of Conduct for Continuous Dialogue with Interested Parties" IOC 2019

      20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Future Host Commissions: Terms of Reference" IOC 2019

      21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Evolution of the Revolution: IOC transforms Future Olympic Games Elections"

      22 최진환, "88 서울올림픽 남북 공동주최 논쟁에 관한 연구" 심연북한연구소 24 (24): 41-87, 2021

      23 이상근, "2032년 올림픽 남북한 공동개최 추진의 의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3 : 18-53, 2018

      24 이동희 ; 김흥태, "2032 남북공동올림픽 추진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52-379, 2020

      25 서울시, "2020년 서울시민 남북현안 의식조사" 서울시 2020

      26 송치만 ; 김진휘, "2018 평창동계올림픽남북단일팀 구성에 대한 기호-서사학적 연구 : 다큐멘터리 <우리는 하나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8 : 31-59, 2019

      27 조현주,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레거시 지속가능발전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28 조현주,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레거시 발전 모델 수립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29 김동선, "2010 동계올림픽 남북한 공동개최를 위한 전략 탐색" 40 (40): 341-350, 2001

      30 Cho, Hyunjoo, ".‘Peace’ in OIympic Mov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