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리스도교 인간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김수환 추기경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0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수환 추기경의 전체 사상을 살펴볼 때, “인간”과 관련된 주제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추기경께서는 이미 “하느님의 가장 큰 관심사는 인간”이며, “내 생각을 지배하는 가장 큰 주제는 예나 지금이나 ‘인간’이다”라고 말씀하실 정도로 “인간”에 대해서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계셨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분의 견해 안에서,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는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문제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인간”이라는 주제는 그의 사상 안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 안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내용은 한국 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정치적 인권(人權) 문제 안에서 특별하게 강조 되었던 내용이기도 하다.
      추기경께서 생각하는 인간 존엄성의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이고, 두 번째로는 인간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로는 인간이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할 거룩한 소명(召命)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 가지 이유는 추기경의 인간관 안에서 인간 존엄성의 중요한 근거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이 세 주제는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내용으로 종합되어진다. 하느님의 인간 창조와 그리스도의 강생 그리고 파스카 사건 더 나아가서 인간에게 부여된 그리스도를 닮음이라는 거룩한 소명은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와 긴밀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추기경의 인간관 안에서 인간 존엄성은 “그리스도 중심적인(Cristocentrico)” 성격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은 현대 가톨릭 교회의 인간관의 바탕이 된 「사목 헌장」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인간 이해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면서, 한국의 특수한 상황 안에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강조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이론으로만 흐를 수 있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을 현실 안에서 실현하려고 노력하셨고, 더 나아가서는 그분이 직접 삶으로써 보여주셨기에, 한국 가톨릭 교회 더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사회 전체에 큰 공헌을 하셨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김수환 추기경의 전체 사상을 살펴볼 때, “인간”과 관련된 주제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추기경께서는 이미 “하느님의 가장 큰 관심사는 인간”이며, “내 생각을 지...

      김수환 추기경의 전체 사상을 살펴볼 때, “인간”과 관련된 주제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추기경께서는 이미 “하느님의 가장 큰 관심사는 인간”이며, “내 생각을 지배하는 가장 큰 주제는 예나 지금이나 ‘인간’이다”라고 말씀하실 정도로 “인간”에 대해서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계셨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분의 견해 안에서,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는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문제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인간”이라는 주제는 그의 사상 안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 안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내용은 한국 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정치적 인권(人權) 문제 안에서 특별하게 강조 되었던 내용이기도 하다.
      추기경께서 생각하는 인간 존엄성의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이고, 두 번째로는 인간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로는 인간이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할 거룩한 소명(召命)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 가지 이유는 추기경의 인간관 안에서 인간 존엄성의 중요한 근거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이 세 주제는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내용으로 종합되어진다. 하느님의 인간 창조와 그리스도의 강생 그리고 파스카 사건 더 나아가서 인간에게 부여된 그리스도를 닮음이라는 거룩한 소명은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와 긴밀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추기경의 인간관 안에서 인간 존엄성은 “그리스도 중심적인(Cristocentrico)” 성격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은 현대 가톨릭 교회의 인간관의 바탕이 된 「사목 헌장」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인간 이해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면서, 한국의 특수한 상황 안에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강조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기경의 인간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이론으로만 흐를 수 있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을 현실 안에서 실현하려고 노력하셨고, 더 나아가서는 그분이 직접 삶으로써 보여주셨기에, 한국 가톨릭 교회 더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사회 전체에 큰 공헌을 하셨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crucial theme in the thought of the Cardinal Kim Sou-hwan seems to be related to human being. The cardinal used to say that “God’s biggest interest is human being” and “my all time theme in my thought is human”, demonstrating his deep interests in human being. In his view, as every problem in the society is the problem of human being, “human” takes a central place in his thought. Such interests in human and human dignity is specially stressed in the circumstance of mammonism and political human right problems in Korean society.
      The reason of human dignity by the Cardina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human as God’s image(Imago Dei), second, human has an absolute love from God through Christ. Lastly, human has a holy calling to participate in the life of God. Such three reasons play an important basis of his view of human dignity, which can converge into “God’s love toward human being.” God’s creation of human, incarnation of Christ, Passover and calling to follow Christ cannot be achieved without God’s love. Such God’s love is closely related to Christ and such human dignity in the view of the Cardinal has Christocentric character.
      The cardinal’s interest in human being is deeply rooted in the human understanding of 「Pastoral Constitution of the Church in the Modern World(Gaudium et Spes)」, the basis of anthropology of contemporary Catholic Church and that of Pope John Paul and expanded to unique situation in Korea. Such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human is an embodiment of Christian anthropology into the reality beyond simple theoretical approach. And as he actually practiced what he thought, he may contribute to the whole Korean society as well as Catholic church in Korea.
      번역하기

      The most crucial theme in the thought of the Cardinal Kim Sou-hwan seems to be related to human being. The cardinal used to say that “God’s biggest interest is human being” and “my all time theme in my thought is human”, demonstrating his de...

      The most crucial theme in the thought of the Cardinal Kim Sou-hwan seems to be related to human being. The cardinal used to say that “God’s biggest interest is human being” and “my all time theme in my thought is human”, demonstrating his deep interests in human being. In his view, as every problem in the society is the problem of human being, “human” takes a central place in his thought. Such interests in human and human dignity is specially stressed in the circumstance of mammonism and political human right problems in Korean society.
      The reason of human dignity by the Cardina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human as God’s image(Imago Dei), second, human has an absolute love from God through Christ. Lastly, human has a holy calling to participate in the life of God. Such three reasons play an important basis of his view of human dignity, which can converge into “God’s love toward human being.” God’s creation of human, incarnation of Christ, Passover and calling to follow Christ cannot be achieved without God’s love. Such God’s love is closely related to Christ and such human dignity in the view of the Cardinal has Christocentric character.
      The cardinal’s interest in human being is deeply rooted in the human understanding of 「Pastoral Constitution of the Church in the Modern World(Gaudium et Spes)」, the basis of anthropology of contemporary Catholic Church and that of Pope John Paul and expanded to unique situation in Korea. Such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human is an embodiment of Christian anthropology into the reality beyond simple theoretical approach. And as he actually practiced what he thought, he may contribute to the whole Korean society as well as Catholic church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들어가는 말
      • Ⅰ. 추기경께서 바라본 현대 사회의 인간문제
      • Ⅱ. 추기경의 인간 이해
      • Ⅲ.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 창조된 인간
      • Ⅳ.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인간
      • 들어가는 말
      • Ⅰ. 추기경께서 바라본 현대 사회의 인간문제
      • Ⅱ. 추기경의 인간 이해
      • Ⅲ.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 창조된 인간
      • Ⅳ.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인간
      • Ⅴ.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할 거룩한 소명(召命)을 받은 인간
      •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