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이한 환경특성을 가지고 있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동한 한국영화 제작사를 대상으로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대표적인 적응행동이라 할 수 있는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894484
서울 :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學位論文(碩士) -- 中央大學校 大學院 , 經營學科 人事.組織.戰略 專攻 , 2003.6
2003
한국어
서울
63장 ; 26 cm.
참고문헌 포함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이한 환경특성을 가지고 있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동한 한국영화 제작사를 대상으로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대표적인 적응행동이라 할 수 있는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
본 연구는 상이한 환경특성을 가지고 있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동한 한국영화 제작사를 대상으로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대표적인 적응행동이라 할 수 있는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이 두 기간 동안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실증하였다.
환경 구분은 한국영화제작산업의 근본적인 환경변화를 유발한 사건들을 조사하여, 1980년대를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T1 시기, 1990년대를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T2 시기로 구분하였다.
환경은 조직의 전략 선택에 영향을 주고, 조직은 처해있는 환경에 전략을 적합 시켜야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략적 상황이론 관점의 연구들과 영화제작산업 내에서 환경의 특성에 따른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T2)에는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T1)보다 영화제작사의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이 더 클 것이며, 환경의 불확실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영화제작사의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은 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와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인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인 1980년대에 장르의 다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 활용패턴에 있어서는 두 기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환경의 불확실성 정도가 높을수록 장르의 다양성이 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조직은 환경과 적합한 전략 실행을 통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경쟁우위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시도하는 것은 환경과의 적합을 통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 직면한 국내영화산업 내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장르의 다양화를 통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