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첫째,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재발견 과정을 탐색하여 어떻게 이미지화된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었는지는 밝히는 것, 둘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해 국제화 추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258575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05-43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첫째,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재발견 과정을 탐색하여 어떻게 이미지화된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었는지는 밝히는 것, 둘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해 국제화 추구...
이 글의 목적은 첫째,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재발견 과정을 탐색하여 어떻게 이미지화된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었는지는 밝히는 것, 둘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해 국제화 추구의 경향이 어떻게 우리 현실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 셋째, 지역성과 국제화 추구가 어떻게 공존하면서 ‘재맥락화의 길들이기’를 실현하고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그 양면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하회별신굿의 원형적 지역성은 끊임없이 탈맥락화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의 ‘로컬리티’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보편성의 기준이 되는 현대도시문화와 대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하회별신굿의 한 부분인 하회탈과 탈놀이는 끊임없이 다른 지역 탈과 탈놀이와 견주어지는 가운데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안동시를 비롯한 지역의 주체들은 끊임없는 강조와 이미지 창출을 통해 다른 지역보다 우위의 지역성을 획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국제화 추구는 탈놀이 자체의 본래 문법이나 지역성을 깨뜨리고 보편화된 재미와 웃음, 스펙터클, 퍼레이드 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특히 외국 공연단의 무대화된 민속무용은 국제화 추구의 알맹이는 사라지고 형식적인 요건으로 활용되는 측면이 강하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나타나는 지역성 강조와 국제화 추구의 양면은 서로 심한 갈등을 드러내거나 상생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니다. 도구적 개념으로 지역성을 적극 활용하지만 탈맥락화, 재맥락화된 현실을 부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막상 국제화 추구를 실현한다고 하지만 그 역시 내용 없는 빈껍데기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지역성이라는 자원을 도구적으로 사용했으면서도 국제화 추구에도 역시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의 타개를 위해서는 지역성에 대한 진지한 조사연구 및 실험이 다양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국제화 추구 역시 내실을 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렇게 각각 성숙된 기반을 마련했을 때 비로소 지역성과 국제화 추구의 상생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lose how Hahoe Mask and Hahoe Byulshingut Mask Play could secure imagined locality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m, to grasp how an tendency of globalism entered into our reality through Andong In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lose how Hahoe Mask and Hahoe Byulshingut Mask Play could secure imagined locality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m, to grasp how an tendency of globalism entered into our reality through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and to disclose duality in loca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by examining how locality and globalism realized ‘Taming of re-contextualization’ through co-existence.
The original locality of Hahoe Byulshingut continues to be developed by ex-contextualization. ‘Locality’ of a peculiar area is faced with modern urban culture in the standard of universality as a relative concept. Therefore, Hahoe Mask and Mask Play which are parts of Hahoe Byulshingut are securing its locality on its way of being compared with masks in other areas continuously. Subjects of local communities including Andong city are striving to acquire locality superior to other areas through continuous emphasis and creation of images. On the other hand, globalism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s pursuing universal fun and gag, spectacle and parade by breaking off the original principle or locality of mask play itself. Especially, folk dance on the stage of foreign performance groups is losing substance of globalism and is being utilized in a formal way.
Duality which is locality and globalism i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s not disclosing severe conflicts or is not realizing ‘Win-win’. Although it is positively utilizing locality as an instrumental concept, it is not denying reality of ex-contextu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And although it wants to realize globalism, we can see that it does not have substantial contents. Roughly expressing, it is regarded as ‘It failed to realized globalism although it used locality in an instrumental way’. Therefore, to settle such a realistic problem, diverse studies and tests on locality shall make progress and it is necessary to have wisdom to pursue substantial globalism. When a matured foundation as above is made, it is judged that locality and globalism will be win-wi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