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해시대 남한산성의 순교자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24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해 시대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것으로 기록에 나타나는 천주교 신자는 모두 38명에 달한다. 남한산성에서는 신유박해부터 기해박해, 병인박해를 거쳐 1871년까지 지속되었다. 이곳은 서울의...

      박해 시대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것으로 기록에 나타나는 천주교 신자는 모두 38명에 달한다. 남한산성에서는 신유박해부터 기해박해, 병인박해를 거쳐 1871년까지 지속되었다. 이곳은 서울의 서소문 밖, 충청도의 해미 순교 터, 전라도의 전주 등과 함께 가장 오랫동안 순교자들의 피가 흘렀던 곳이다. 남한산성의 순교자들 중에는 구산 김씨 집안의 순교자가 무려 6명에 달하며, 그것도 하나의 박해가 아니라 기해박해와 병인박해 등 두 시기에 걸쳐 탄생한 순교자들이라는 특징이 있다. 단내 출신의 정은(바오로)의 거룩한 생애와 덕목은 입교 당시의 내용과 김대건 신부로부터 성사를 받았다는 사실과 가족을 입교시킨 사실에서 드러난다. 정은의 경우는 구산 출신 순교자들과 마찬가지로 무덤이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은 아주 의미가 크다. 병인박해 이후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신자들 중에는 죽산 출신의 이 요한과 양성 사람 오 안드레아, 양지 사람 서 아우구스티노 등의 순교 행적이 비교적 자세하다. 1801년에 순교한 한덕운(토마스)이 ‘천주교 신앙을 올바른 도리로 여기고, 형벌을 받아 죽을지라도 배교할 수 없다’고 단언한 것은 그의 순교 용덕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amounts to 38 persons in aspect of available documents, and here the persecution against catholics lasted to the year of 1871. This is the place of the longest persecution, along with the outer Seosomoon(...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amounts to 38 persons in aspect of available documents, and here the persecution against catholics lasted to the year of 1871. This is the place of the longest persecution, along with the outer Seosomoon(西小門) the small west Gate in Seoul, Haemi(海美) the place of martyrdom in Choongcheongdo(忠淸道), Jeonjoo(全州) the place of martyrdom in Jeonrado(全羅道). It is the special feature that there are 6 martyrs at Gusan(龜山) from the Geehae persecution(己亥迫害) to the Byeongin persecution(丙寅迫害). The saint life and the virtue of Palus Jeong-Eun(鄭溵) appears well in the aspect of entering to the catholicism, as well as of receiving Sacrament from St. Rev. Kim Dae-geon(聖金大建神父) Andreas and of making his families enter the catholic church.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grave of Jeong-Eun has been observed as well as the ones of Gusan martyrs. The acts of the martyrs such as Lee John at Joogsan(竹山), Oh Andreas at Yangseong(陽城) and Seo Augustinus at Yangjee(陽智) is more familiar to us as compared with the other martyrs. It appears the martyr's bravery very well that Thomas, Han Deog-oon(韓德運) said that I think the catholicism is right and I will never betray even if I were kill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관련 자료의 이해
      • 3. 시기별 남한산성 순교자들
      • 1) 신유박해와 순교자 한덕운
      • 2) 기해박해와 순교자 김덕심
      • 1. 머리말
      • 2. 관련 자료의 이해
      • 3. 시기별 남한산성 순교자들
      • 1) 신유박해와 순교자 한덕운
      • 2) 기해박해와 순교자 김덕심
      • 3) 병인박해와 출신 지역별 순교자
      • 4. 맺음말 - 순교자들의 신앙과 현양 문제
      • [부록] 남한산성 순교자들의 행적
      • 1. 한덕운(토마스)의 순교 행적
      • 2. 구산 출신 순교자들의 행적
      • 3. 단내 출신 순교자들의 행적
      • 4. 기타 순교자들의 행적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