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데이터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3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된 국제 평가에서 연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산업적 영향은 미흡하다.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미흡한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데이터 품질은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요 이슈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 평가를 위한 지표를 검토하고,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정량적 품질 평가를 수행한다. 특히,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을 기준으로 구축 및 개방된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여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적합한지 검토한다. 데이터 품질평가는 개방표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값을 포함하고, 완전성과 정확성 지표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 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된 국제 평가에서 연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산업적 영향은 미흡하다.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미흡한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데이터 품질은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요 이슈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 평가를 위한 지표를 검토하고,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정량적 품질 평가를 수행한다. 특히,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을 기준으로 구축 및 개방된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여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적합한지 검토한다. 데이터 품질평가는 개방표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값을 포함하고, 완전성과 정확성 지표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 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blic data refers to all data or information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information that leads to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all people. Public data is an important metho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of new industr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mart cities, Korea is continuously ranked high in the international evaluation related to public data. However, despite the continuous efforts, the use of public data or industrial influence is insufficient. Quality issues are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use of public data, but the criteria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data are insufficient. This paper reviews indicators for public data quality evaluation and performs quantitative evaluation on selected public data.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open standard data constructed and opened based on public data management guidelines is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government guidelines are appropriate. The data quality assessment includes the metadata and data values of open standard data, and is reviewed based on completeness and accuracy indicators. Based on the data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s policy and technical measures for quality improvement.
      번역하기

      Public data refers to all data or information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information that leads to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all people. Public data is an important metho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of new industries such as...

      Public data refers to all data or information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information that leads to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all people. Public data is an important metho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of new industr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mart cities, Korea is continuously ranked high in the international evaluation related to public data. However, despite the continuous efforts, the use of public data or industrial influence is insufficient. Quality issues are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use of public data, but the criteria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data are insufficient. This paper reviews indicators for public data quality evaluation and performs quantitative evaluation on selected public data.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open standard data constructed and opened based on public data management guidelines is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government guidelines are appropriate. The data quality assessment includes the metadata and data values of open standard data, and is reviewed based on completeness and accuracy indicators. Based on the data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s policy and technical measures for quality impr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 연구
      • III.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 연구
      • III.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 IV. 개방표준 공공데이터의 품질평가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종,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STEPI 1-30, 2014

      2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약칭:공공데이터법) 법률 제11956호"

      3 김학래,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10, 2017

      4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 가이드"

      5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매뉴얼v.2.0"

      6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7 서형준,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48-78, 2017

      8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행정안전부고시제 2019-1호"

      9 Open Knowledge Foundation, "The Open Dat a Handbook"

      10 A. Vetrò, "Open data quality measurement framework : Definition and application to Open Government Data" 33 (33): 325-337, 2016

      1 강희종,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STEPI 1-30, 2014

      2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약칭:공공데이터법) 법률 제11956호"

      3 김학래,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10, 2017

      4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 가이드"

      5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매뉴얼v.2.0"

      6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7 서형준,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48-78, 2017

      8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행정안전부고시제 2019-1호"

      9 Open Knowledge Foundation, "The Open Dat a Handbook"

      10 A. Vetrò, "Open data quality measurement framework : Definition and application to Open Government Data" 33 (33): 325-337, 2016

      11 S. W. Sadiq, "Open data : Quality over quantity" 37 (37): 150-154, 2017

      12 Joshua Tauberer, "Open Government Data"

      13 "Open Data Barometer"

      14 C. Batini, "Methodologies for data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41 (41): 16-, 2009

      15 OECD, "Government at a Glance 2017" OECD Publishing 2017

      16 Máchová, Renáta, "Evaluating the Quality of Open Data Portals on the National Level" 12 : 21-41, 2017

      17 Viscusi Gianluigi, "Compliance with open government data policies: An empirical assessment of Italian local public administrations" 19 : 2014

      18 D. Corsar, "Challenges of Open Data Quality : More Than Just License, Format, and Customer Support" 9 (9): 1-3, 2017

      19 H. Kim, "Analysis of standard vocabulary use of the open government data : the case of the public data portal of Korea" 53 : 1611-1622, 2019

      20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2017년도 품질관리 수준평가 결과"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