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기관의 홍보대사 이용에 관한 수용자 인식연구 = The perception of audience about use of PR ambassador in public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7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공공기관들이 홍보대사를 위촉하여 PR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홍보대사를 무분별하게 채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많은 공공기관들이 홍보대사를 위촉하여 PR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홍보대사를 무분별하게 채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들은 막대한 자금을 들여 여러 유형의 옹호인을 홍보대사로 임명하여 효과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홍보대사의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확인된 바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홍보대사 효과를 좀 더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또한 홍보대사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홍보대사에 대한 인지효과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특히 수용자들은 홍보대사를 선임한 공공기관 보다 선임된 홍보대사를 더 잘 회상하였다. 홍보대사 효과에 대한 인식 또한 보통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ublic institutions use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However, they use the PR ambassador indiscreetly. In particular, public institutions are investing huge amounts of money to appoint various types of celebrity advocates as PR ambassadors. Howe...

      Many public institutions use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However, they use the PR ambassador indiscreetly. In particular, public institutions are investing huge amounts of money to appoint various types of celebrity advocates as PR ambassadors. However, the actual effect of the PR ambassadors has not yet been clarifi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PR ambassadors and the perceptions of the audience about the effects in an empirical way. As a result, the cognitive effect on PR ambassador was very low, In addition, audience better recalled the PR ambassadors than public institutions that have appointed the PR ambassadors.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was also at a moderate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천, "홍보대사와 캠페인 간 적합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홍보대사 공신력과 메시지 신뢰도, 조직에 대한 태도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9) : 105-129, 2013

      2 김정기,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擬似)인간관계" 한국방송학회 19 (19): 255-285, 2005

      3 이현선, "캠페인 관여도에 따른 홍보대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9 (19): 7-34, 2009

      4 이명천, "정부 부처의 홍보대사 이용 실태 및 홍보담당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PR학회 14 (14): 124-152, 2010

      5 차배근, "설득커뮤니케이션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6 김정현, "설득 지식 모델의 소비자 행동 연구에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한국PR학회 10 (10): 61-88, 2006

      7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35 (35): 37-70, 1995

      8 Hall, S., "Writing and advertisement: Analysis of the methods and mental process that play a role in the writing of successful advertising" Houghton Mifflin 1915

      9 Friestad, M.,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21 : 1-31, 1994

      10 Sheldon, A., "The art of selling" The Sheldon School 1911

      1 이명천, "홍보대사와 캠페인 간 적합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홍보대사 공신력과 메시지 신뢰도, 조직에 대한 태도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9) : 105-129, 2013

      2 김정기,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擬似)인간관계" 한국방송학회 19 (19): 255-285, 2005

      3 이현선, "캠페인 관여도에 따른 홍보대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9 (19): 7-34, 2009

      4 이명천, "정부 부처의 홍보대사 이용 실태 및 홍보담당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PR학회 14 (14): 124-152, 2010

      5 차배근, "설득커뮤니케이션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6 김정현, "설득 지식 모델의 소비자 행동 연구에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한국PR학회 10 (10): 61-88, 2006

      7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35 (35): 37-70, 1995

      8 Hall, S., "Writing and advertisement: Analysis of the methods and mental process that play a role in the writing of successful advertising" Houghton Mifflin 1915

      9 Friestad, M.,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21 : 1-31, 1994

      10 Sheldon, A., "The art of selling" The Sheldon School 1911

      11 Pornpitakpan, C., "The Persuasiveness of Source Credibility : A Critical Review of Five Decades' Evidence" 34 (34): 243-281, 2004

      12 Harmon, R. R., "The Persuasiv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in Buy and Lease Situations" 19 : 255-260, 1982

      13 Sternthal, B., "The Persuasive Effect of Source Credibility: A Situational Analysis" 42 (42): 285-314, 1978

      14 Baker, J.,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14 : 538-555, 1977

      15 Ohanian, R.,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31 : 46-54, 1991

      16 최양호, "TV 광고에서의 유명인 모델과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광고홍보학회 8 (8): 7-28, 2006

      17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Aldine-Atherton 1976

      18 Erdogan, B. Z., "Selecting Celebrity Endorsers : The Practitioner's Perspective" 41 (41): 39-48, 2001

      19 Starch, D., "Principles of avertising" McGraw-Hill 1923

      20 Levy, S., "Phases in Changing Interpersonal Relations" 8 (8): 121-128, 1962

      21 이명천, "PR기제로써 홍보대사에 관한 개념적 고찰" 한국광고홍보학회 11 (11): 7-36, 2009

      22 Levy, M. R., "Media Gratifications Research: Current Perspectives" Sage 109-122, 1985

      23 Horton, D.,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19 (19): 215-229, 1956

      24 Tan, A. S., "Mass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John Wiley & Sons 1985

      25 Choi, S. M., "It is a Match: The Impact of Congruence between Celebrity Image and Consumer Ideal Self on Endorsement Effectiveness" 29 (29): 639-650, 2012

      26 Amos, C.,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Celebrity Endorser Effect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A Quantitative Synthesis of Effect Size" 27 (27): 209-234, 2008

      27 Friedman, H.,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19 : 63-71, 1979

      28 Blackwell, R. D., "Consumer Behavior" Harcourt 2001

      29 Ohanian, 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19 (19): 39-52, 1990

      30 McGinnies, E., "Better Liked Than Right :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as Factors in Credibility" 6 (6): 467-472, 1980

      31 Craig, C. S., "Assessing Communication Effects of Energy Conservation" 5 : 82-88,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