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문학, 국민문학, 세계문학 - 식민지 후반기 조선문학의 존재 형식 = Local Literature, National Literature, World Literature -The From of Existence of Joseon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2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 후반 전시 총동원 체제기 전세계적인 파시즘 체제의 강화, 자본주의 체제의 몰락 징후 속에서 세계사적으로나 동양사적으로 팽배해진 근대성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조선문학=근대문학(서양문학)’이라는 등식에는 균열이 발생하였고, 조선문학은 ‘현대=동양’이라는 새로운 세계사적 질서에 조응해 그 위상을 재구축해야 했다. 당시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들은 제국의 문화적 권역 내에서 조선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들을 전개해나갔다. 제국 일본문학의 한 ‘지방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을 위치 지으려고 하거나, 조선문학이 특수한 위치에서 ‘국민문학’을 변혁시킬 수 있다는 논의, 그리고 제국문학의 지방문학으로 한정하지 않고 세계문학의 지방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을 위치 짓는 등 조선문학의 위상 재정립과 관련된 논의에는 단순히 ‘중앙-제국-일본’과 ‘지방-식민지-조선’으로 수렴되지 않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균열의 지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모두 동아시아 지역 질서 재편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재정립하기 위한 사상적 모색이면서 동시에 제국-식민지 체제 내 문화적 헤게모니를 획득하기 위한 분투의 과정이었다.
      번역하기

      식민지 후반 전시 총동원 체제기 전세계적인 파시즘 체제의 강화, 자본주의 체제의 몰락 징후 속에서 세계사적으로나 동양사적으로 팽배해진 근대성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조선문학...

      식민지 후반 전시 총동원 체제기 전세계적인 파시즘 체제의 강화, 자본주의 체제의 몰락 징후 속에서 세계사적으로나 동양사적으로 팽배해진 근대성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조선문학=근대문학(서양문학)’이라는 등식에는 균열이 발생하였고, 조선문학은 ‘현대=동양’이라는 새로운 세계사적 질서에 조응해 그 위상을 재구축해야 했다. 당시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들은 제국의 문화적 권역 내에서 조선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들을 전개해나갔다. 제국 일본문학의 한 ‘지방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을 위치 지으려고 하거나, 조선문학이 특수한 위치에서 ‘국민문학’을 변혁시킬 수 있다는 논의, 그리고 제국문학의 지방문학으로 한정하지 않고 세계문학의 지방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을 위치 짓는 등 조선문학의 위상 재정립과 관련된 논의에는 단순히 ‘중앙-제국-일본’과 ‘지방-식민지-조선’으로 수렴되지 않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균열의 지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모두 동아시아 지역 질서 재편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재정립하기 위한 사상적 모색이면서 동시에 제국-식민지 체제 내 문화적 헤게모니를 획득하기 위한 분투의 과정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as a crack occurred on the formula that Joseon Literature equals to Modern Literature(Western Literature) and Joseon Literature had to re-build its status in the order of new world history represented with the ‘modern=oriental’ idea in the symptom of strengthening global fascism system and falling of capitalism system during the term of all-out mobilization for wartime in the lat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e to the distrust of modernity itself which has been on a rise in terms of both world and oriental history. At that time, the litterateur of colonial Joseon developed various discussions for newly establishing Joseon Literature within the cultural boundary of the Empire of Japan. There were different and various points of crack which is not simply applied as ‘center-empire-Japan’ and ‘local-colony-Joseon’ existed, e.g. settling Joseon Literature as a local component of Japanese Literature, discussing on that Joseon Literature may change of ‘national literature’, and positioning Joseon Literature as a local component of world literature by not limiting it within a local component of Japanese Literature. The discussions were the measures for newly establishing the status of Joseon Literatur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course of reorganization of regional order in East Asia as well as the course of a struggle for securing cultural hegemony in the empire-colony system.
      번역하기

      There was a crack occurred on the formula that Joseon Literature equals to Modern Literature(Western Literature) and Joseon Literature had to re-build its status in the order of new world history represented with the ‘modern=oriental’ idea in the ...

      There was a crack occurred on the formula that Joseon Literature equals to Modern Literature(Western Literature) and Joseon Literature had to re-build its status in the order of new world history represented with the ‘modern=oriental’ idea in the symptom of strengthening global fascism system and falling of capitalism system during the term of all-out mobilization for wartime in the lat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e to the distrust of modernity itself which has been on a rise in terms of both world and oriental history. At that time, the litterateur of colonial Joseon developed various discussions for newly establishing Joseon Literature within the cultural boundary of the Empire of Japan. There were different and various points of crack which is not simply applied as ‘center-empire-Japan’ and ‘local-colony-Joseon’ existed, e.g. settling Joseon Literature as a local component of Japanese Literature, discussing on that Joseon Literature may change of ‘national literature’, and positioning Joseon Literature as a local component of world literature by not limiting it within a local component of Japanese Literature. The discussions were the measures for newly establishing the status of Joseon Literatur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course of reorganization of regional order in East Asia as well as the course of a struggle for securing cultural hegemony in the empire-colony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綠旗"

      2 송태욱, "태평양전쟁의 사상" 이매진 2007

      3 서승희, "최재서 비평의 문화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양숙, "최재서 문학비평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수연, "신지방주의와 향토 —金鍾漢에 기대어—" 한국근대문학회 (25) : 95-117, 2012

      6 김양선, "세계성, 민족성, 지방성 —일제 말기 로컬 상상력의 층위—" 한국근대문학회 (25) : 7-34, 2012

      7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푸른역사 2009

      8 오태영,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조선 로컬리티 : 식민지 후반기 여행 텍스트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9 河西英通, "近代日本の地域思想" 窓社 1996

      10 崔載瑞, "轉換期の朝鮮文學" 人文社 1943

      1 "綠旗"

      2 송태욱, "태평양전쟁의 사상" 이매진 2007

      3 서승희, "최재서 비평의 문화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양숙, "최재서 문학비평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수연, "신지방주의와 향토 —金鍾漢에 기대어—" 한국근대문학회 (25) : 95-117, 2012

      6 김양선, "세계성, 민족성, 지방성 —일제 말기 로컬 상상력의 층위—" 한국근대문학회 (25) : 7-34, 2012

      7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푸른역사 2009

      8 오태영,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조선 로컬리티 : 식민지 후반기 여행 텍스트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9 河西英通, "近代日本の地域思想" 窓社 1996

      10 崔載瑞, "轉換期の朝鮮文學" 人文社 1943

      11 "每日新報"

      12 "朝光"

      13 "新時代"

      14 "文藝"

      15 林和, "文學의 論理" 學藝社 1940

      16 淺見淵, "文學と大陸" 圖書硏究社 1942

      17 上泉秀信, "地方と文化" 高山書院 1942

      18 "國民文學"

      19 "人文評論"

      20 高山岩男, "世界史の哲學" 岩波書店 1942

      21 차승기, "‘비상시(非常時)’의 문/법-식민지 전시(戰時) 레짐과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2) : 9-41, 2012

      22 David Williams, "Defending Japan’s Pacific War :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and post-White power" Routledge Curzon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