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이 IT기업 개발자의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3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on the meaning of work,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in this relationship,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anted to provide.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s (coaching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inclusive leadership), meaning of work, job crafting,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play a mediating role i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job crafting,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workers at domestic IT companies, and 311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 total of 80 questions were used in the survey, consisting of coaching leadership (13 questions), empowering leadership (20 questions), inclusive leadership (9 questions), work meaning (10 questions), job crafting (15 question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7 questions). Statistical programs SPSS 25.0 and AMOS 25.0 were used for survey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meaning of work,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job crafting,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ll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the meaning of work, job craft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reinforcing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 sinc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pays attention to the growth of members, it is thought that the leader will act as a lubricant in forming trust with members. It mean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o check various leadership styles and strengthen leadership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the meaning of work to increase the meaning of members' work, leaders should actively lead members' job crafting and establish a culture of communi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various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s in order to increas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to diversify the communication channel method so that members can recognize the organization's suppor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and supplementary points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on the meaning of work,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in th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on the meaning of work,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in this relationship,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anted to provide.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s (coaching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inclusive leadership), meaning of work, job crafting,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play a mediating role i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job crafting,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workers at domestic IT companies, and 311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 total of 80 questions were used in the survey, consisting of coaching leadership (13 questions), empowering leadership (20 questions), inclusive leadership (9 questions), work meaning (10 questions), job crafting (15 question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7 questions). Statistical programs SPSS 25.0 and AMOS 25.0 were used for survey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meaning of work,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job crafting,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ll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the meaning of work, job craft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reinforcing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 sinc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pays attention to the growth of members, it is thought that the leader will act as a lubricant in forming trust with members. It mean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o check various leadership styles and strengthen leadership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etween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ype and the meaning of work to increase the meaning of members' work, leaders should actively lead members' job crafting and establish a culture of communi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various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s in order to increas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to diversify the communication channel method so that members can recognize the organization's suppor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and supplementary points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인적자원개발의 측면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코칭 리더십, 임파워링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일의 의미, 잡 크래프팅, 조직지원인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잡 크래프팅은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유형과 일의 의미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유형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조절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IT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11건의 유효 응답을 수집하였다. 조사에 활용한 설문은 총 80문항으로, 코칭 리더십 13문항, 임파워링리더십 20문항, 포용적 리더십 9문항, 일의 의미 10문항, 잡 크래프팅 15문항, 조직지원인식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잡 크래프팅, 리더십 유형과 조직지원인식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잡 크래프팅 사이에서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강화시키는 강화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계지향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리더가 구성원과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윤활유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관계지향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다양한 리더십 스타일을 점검하고 리더십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구성원의 일의 의미를 높이기 위해 리더는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을 적극적으로 리딩하며 소통하는 문화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조직지원제도를 점검하고 구성원들이 조직의 지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 방식을 다양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한점 및 보완점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인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인적자원개발의 측면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코칭 리더십, 임파워링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일의 의미, 잡 크래프팅, 조직지원인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잡 크래프팅은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유형과 일의 의미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유형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조절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IT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11건의 유효 응답을 수집하였다. 조사에 활용한 설문은 총 80문항으로, 코칭 리더십 13문항, 임파워링리더십 20문항, 포용적 리더십 9문항, 일의 의미 10문항, 잡 크래프팅 15문항, 조직지원인식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잡 크래프팅, 리더십 유형과 조직지원인식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잡 크래프팅 사이에서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강화시키는 강화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계지향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리더가 구성원과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윤활유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관계지향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다양한 리더십 스타일을 점검하고 리더십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과 일의 의미 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구성원의 일의 의미를 높이기 위해 리더는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을 적극적으로 리딩하며 소통하는 문화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조직지원제도를 점검하고 구성원들이 조직의 지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 방식을 다양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한점 및 보완점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관계지향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9
      • 2.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 18
      • 3.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 24
      • 4. 조직지원인식에 관한 연구 29
      • 5. 변인 간 상관관계 34
      • Ⅲ. 연구방법 42
      • 1. 연구모형 42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2
      • 3. 측정도구 44
      • 4.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47
      • 5. 자료 분석 방법 49
      • Ⅳ. 연구결과 52
      • 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52
      • 2. 변인 간 영향관계 53
      • Ⅴ. 결론 65
      • 1. 요약 65
      • 2. 논의 및 시사점 66
      • 3. 제언 71
      • 참고문헌 73
      • 부 록 103
      • 국문초록 111
      • ABSTRACT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