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Kim, Ok-hwa This paper aims searching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Garambon Chunhyangga is one of the hand-written versions of Shin, Jae-hyo Pansori tex...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26710
2007
-
810.5
KCI등재
학술저널
109-134(2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Kim, Ok-hwa This paper aims searching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Garambon Chunhyangga is one of the hand-written versions of Shin, Jae-hyo Pansori tex...
A Study on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Kim, Ok-hwa
This paper aims searching the feature of Garambon Chunhyangga as a dialect text. Garambon Chunhyangga is one of the hand-written versions of Shin, Jae-hyo Pansori text. We are going to reveal the feature of this version by considering writing system, phonological phenomena, the items and usages of grammatical morphemes which the version has.
Garambon Chunhyangga is sharing the characteristics in writing system with other late 19th century texts. But it represents the real utterance more positively than other versions. Especially it shows the continuity with the synchronic Jeonbuk dialect in the tensification, vowel fronting, alternation of adverbal-ending initial ‘eo(어)’ which are reflected in writing system. And it reveals relationship with southern subdialects of Jeonbuk in some items and usages of grammatical morphemes: final endings ‘jye(졔), syo~yo(쇼~요)’, prefinal ending ‘gyeo(겨)’, prefinal ending ‘neu(느)’ deletion.
We expect Jeonbuk dialect feature of late 19th century to be inquired out more exhaustively by investigating into many other different versions of Shin, Jae-hyo Pansori text. Such an inquiry will contribute to more precise explanation of Jeonbuk dialect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국문 초록 (Abstract)
本稿는 申在孝 판소리 辭說의 異本 중 가람本 春香歌를 대상으로 表記音韻形態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 文獻이 가진 方言 資料的 性格을 밝히고자 한다. 이 문헌은 표기면에서 19世紀 後...
本稿는 申在孝 판소리 辭說의 異本 중 가람本 春香歌를 대상으로 表記音韻形態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 文獻이 가진 方言 資料的 性格을 밝히고자 한다. 이 문헌은 표기면에서 19世紀 後期의 餘他 문헌에 비해 現實發話를 더욱 적극적으로 反映하여 당시 言語特徵을 잘 보여준다. 특히 표기에 반영된 硬音化, 前舌母音化, 副詞形語尾 頭音 ‘어’ 交替 등의 음운현상은 현재 全北方言과의 連續性을 잘 보여준다. 文法形態素에 있어서는 處格助詞 ‘으’, 對格助詞 ‘을/얼’, 特殊助詞 ‘은/언, 들/덜’, 終結語尾 ‘을란다’, 連結語尾 ‘드락, 음셔, 은듸, 득기, 을슈락’ 등이 특징적이며, 終結語尾 ‘졔, 쇼~요’, 先語末語尾 ‘겨, 느’ 공백현상 등은 전북 남부지역어와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앞으로 異本에 대한 追加的 檢討를 통해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언어 특징이 정확하게 糾明될 뿐만 아니라, 현대 전북방언에 대한 共通時的 說明이 精密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期待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 방언 문법의 이해 호남의 언어와 문화" 백산서당 11-174, 1998
2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亦樂 2004
3 "판소리사설에 반영된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1990
4 "판소리(唱)에 나타난 남원지역어의 구개모음화" 국어문학회 30 : 45-81, 1995
5 "춘향전 전집1" 박이정 1997
6 "옥구지역어의 음운과정과 음운론적 특징" 배달말학회 4 : 99-126, 2007
7 "서남방언,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811-932, 1998
8 "부안지역어의 특수조사" 서울大學校 國語國文學科 28 : 183-205, 2003183~205
9 "부안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2001
10 "과 19세기말 全北 華山 地域語" 1993
1 "호남 방언 문법의 이해 호남의 언어와 문화" 백산서당 11-174, 1998
2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亦樂 2004
3 "판소리사설에 반영된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1990
4 "판소리(唱)에 나타난 남원지역어의 구개모음화" 국어문학회 30 : 45-81, 1995
5 "춘향전 전집1" 박이정 1997
6 "옥구지역어의 음운과정과 음운론적 특징" 배달말학회 4 : 99-126, 2007
7 "서남방언,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811-932, 1998
8 "부안지역어의 특수조사" 서울大學校 國語國文學科 28 : 183-205, 2003183~205
9 "부안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2001
10 "과 19세기말 全北 華山 地域語" 1993
11 "高敞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한 通時的 硏究" 1994
12 "近代國語 한글文獻의 重綴表記에 대하여 정신문화연구" 16 (16): 1993
13 "近代國語 表記法의 性格과 特徵 정신문화연구" 16 (16): 1993
14 "蘊各書錄과 井邑地域語" 1983
15 "石南歷史의 표기와 음운론적 특성" 1994
16 "申在孝 판소리사설集" 1971
17 "申在孝 撰著姜漢永 解說 申在孝 판소리 全集" 延世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69
18 "初學要選과 19세기말의 忠南 舒川地域語 國語學의 새로운 認識과 展開" 1991197~221
19 "全北 地域의 母音調和 現象에 대하여" 太學社 635-659, 1997
20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처소격조사 부류의 특질과 변화의 방향" 우리말글학회 20 : 101-152, 2000
21 "19세기 후기 全羅方言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 1986
22 "19世紀 後期 國語의 硏究 을 중심으로 國語音韻論과 資料" 서울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19921998
近代 女性文學의 형성 원리 연구-정전의 形成과 ‘女性性’의 制度化 過程을 중심으로-
金剛山 紀行詩歌의 山水 형상화 양상-栗谷의 「遊楓嶽」과 松江의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