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00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re we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con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self esteem? Thir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grant women who were taking Korean language program and Korean culture program designed specially for married migrant women in M city, 14 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even wome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took place from July to October in 2009, consisting of eighteen week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y treatment was not given to the control group.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compar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ed depression of married migrant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in post-test than pre-test.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lso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Fourth,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y felt happier in spite of no changes in their lives during the program. Also, they became more positive and confident to deal with any possible problems in current and future marriage.
      Thus, it was found out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Also,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xpected to help married migrant women learn and adap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번역하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re we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group art 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re we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con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self esteem? Thir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grant women who were taking Korean language program and Korean culture program designed specially for married migrant women in M city, 14 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even wome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took place from July to October in 2009, consisting of eighteen week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y treatment was not given to the control group.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compar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ed depression of married migrant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in post-test than pre-test.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lso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Fourth,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y felt happier in spite of no changes in their lives during the program. Also, they became more positive and confident to deal with any possible problems in current and future marriage.
      Thus, it was found out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Also,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xpected to help married migrant women learn and adap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교육청 평생학습과에서 실시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글교육과 문화적응 프로그램학습자 1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7명으로 무작위배치하여 실험집단 7명에게 2009년 6월부터 10월까지 주1회 18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실시하지 않았으며, 자료분석은 미술치료 실시 전, 후의 우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18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회기별 활동에서도 중기부터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은 그대로 인데 지금 예전과 다른 행복감을 느끼는 것에 대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피드백 하였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 지라도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자신이 마음먹기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수 있다고 현재와 미래의 결혼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문화적응과 부부 및 부모자녀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한글교육에서의 표현, 어휘, 말하기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교육청 평생학습과에서 실시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글교육과 문화적응 프로그램학습자 1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7명으로 무작위배치하여 실험집단 7명에게 2009년 6월부터 10월까지 주1회 18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실시하지 않았으며, 자료분석은 미술치료 실시 전, 후의 우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18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회기별 활동에서도 중기부터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은 그대로 인데 지금 예전과 다른 행복감을 느끼는 것에 대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피드백 하였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 지라도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자신이 마음먹기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수 있다고 현재와 미래의 결혼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문화적응과 부부 및 부모자녀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한글교육에서의 표현, 어휘, 말하기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문제 4
      • 제 3 절 용어 정의 5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문제 4
      • 제 3 절 용어 정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집단미술치료 6
      • 제 2 절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11
      • 제 3 절 선행연구 고찰 20
      • 제 3 장 연구방법 27
      • 제 1 절 연구대상 및 연구 설계 27
      • 제 2 절 측정도구 31
      • 제 3 절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구성 33
      • 제 4 절 연구절차 57
      • 제 5 절 자료처리 및 분석 58
      • 제 4 장 연구결과 및 해석 59
      • 제 1 절 연구 대상 집단의 동질성 검증 59
      • 제 2 절 우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의 효과검증 60
      • 제5장 결론 및 제언 65
      • 참고문헌 68
      • 국문초록 75
      • 부 록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