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군정기의 성인교육 정책 분석 -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 Analyzing the Policy of Adult Educatio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 Focusing on Adult Literacy Campaig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9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 policy of adult literacy campaig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focusing on adult literacy campaign were in use. The policy of U.S. government policy had meaning because the government had tried to install concept and system from urgent needs. But it is notable that the government couldn't take full charge of adult education, and it made private sector took charge of adult educ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e of social education leaded by U.S. military government has remarkable meaning, because it affect social education law that came right after government founding.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output. Adult Education received attention caused by high illiteracy rate, government lead institutionalized actions. These action started as adult education program plan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in the end of 1945 and followed as guidelines and rules. These institutionalized a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definition of adult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committee, initialization and management of adult education installation, training of adult educator. After all, it is known that the program desig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affected instruction of adult education and installation of citizenship training school, guideline of high citizenship training school.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 policy of adult literacy campaig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focusing on adult literacy campaign were in use. The policy of U.S. government policy had meaning because the government had tried to install concept and syste...

      This study analyze policy of adult literacy campaig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focusing on adult literacy campaign were in use. The policy of U.S. government policy had meaning because the government had tried to install concept and system from urgent needs. But it is notable that the government couldn't take full charge of adult education, and it made private sector took charge of adult educ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e of social education leaded by U.S. military government has remarkable meaning, because it affect social education law that came right after government founding.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output. Adult Education received attention caused by high illiteracy rate, government lead institutionalized actions. These action started as adult education program plan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in the end of 1945 and followed as guidelines and rules. These institutionalized a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definition of adult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committee, initialization and management of adult education installation, training of adult educator. After all, it is known that the program desig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affected instruction of adult education and installation of citizenship training school, guideline of high citizenship training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미군정기 성인교육 정책을 분석하였다. 광복 직후 시작된 미군정은 현상유지와 당면과제 해결에 국한된 정책을 추진했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당시 추진되었던 정책 대부분이 정부수립이후 제도화․법제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당시 구상된 정책이 갖는 의의는 크다. 미군정이 추진한 정책은 성인교육에 관한 개념과 영역의 정립과 이를 구현하는 조건을 정비하려 한 점에서 현재 평생교육법을 통해 구축하려는 체제와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군정 당시 마련된 성인교육 규정들은 단계적 진화를 가지고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시 군정이 정립한 성인교육의 의미와 영역은 처음에는 문맹퇴치에 한정되어 있다가 이후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당시의 규정들은 성인교육에 대한 개념의 정립뿐만 아니라, 실제로 구현하는 사회교육의 조건 정비도 함께 구상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성인교육 정책을 실현하는데 있어 공민학교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운영 체계는 군정의 각 부처와 민간 등에서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기본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다섯째, 공민학교는 문맹퇴치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기능과 운영 방식이 이후 학교교육으로의 이행(전환)이라는 방향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미군정기 성인교육 정책을 분석하였다. 광복 직후 시작된 미군정은 현상유지와 당면과제 해결에 국한된 정책을 추진했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당시 ...

      본 연구는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미군정기 성인교육 정책을 분석하였다. 광복 직후 시작된 미군정은 현상유지와 당면과제 해결에 국한된 정책을 추진했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당시 추진되었던 정책 대부분이 정부수립이후 제도화․법제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당시 구상된 정책이 갖는 의의는 크다. 미군정이 추진한 정책은 성인교육에 관한 개념과 영역의 정립과 이를 구현하는 조건을 정비하려 한 점에서 현재 평생교육법을 통해 구축하려는 체제와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군정 당시 마련된 성인교육 규정들은 단계적 진화를 가지고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시 군정이 정립한 성인교육의 의미와 영역은 처음에는 문맹퇴치에 한정되어 있다가 이후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당시의 규정들은 성인교육에 대한 개념의 정립뿐만 아니라, 실제로 구현하는 사회교육의 조건 정비도 함께 구상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성인교육 정책을 실현하는데 있어 공민학교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운영 체계는 군정의 각 부처와 민간 등에서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기본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다섯째, 공민학교는 문맹퇴치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기능과 운영 방식이 이후 학교교육으로의 이행(전환)이라는 방향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해훈, "해방 후 한국의 성인교육(그 조직과 활동). 한국의 민주적 발전과 성인교육의 과제" 중앙교육연구소 1966

      2 阿部洋, "해방 후 한국의 교육개혁 : 미군정기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한국연구원 1987

      3 이길상, "해방 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985

      4 신재흡, "한국중앙행정 교육조직 직제 변천에 연구 : 미군정기와 제1공화국기를 중심으로" 2 (2): 83-109, 2004

      5 한국중등교육협의회, "한국중등교육 35년사" 한국중등교육협의회 1980

      6 황종건, "한국의 사회교육 : 우리나라 성인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황" 배영사 1966

      7 중앙교육연구소, "한국의 민주적 발전과 성인교육의 과제" 중앙교육연구소 1966

      8 천성호, "한국야학운동사 : 자유를 향한 여정" 학이시습 2009

      9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 총서 출판사 1964

      10 황종건, "한국사회교육 총람" 정민사 1994

      1 오해훈, "해방 후 한국의 성인교육(그 조직과 활동). 한국의 민주적 발전과 성인교육의 과제" 중앙교육연구소 1966

      2 阿部洋, "해방 후 한국의 교육개혁 : 미군정기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한국연구원 1987

      3 이길상, "해방 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985

      4 신재흡, "한국중앙행정 교육조직 직제 변천에 연구 : 미군정기와 제1공화국기를 중심으로" 2 (2): 83-109, 2004

      5 한국중등교육협의회, "한국중등교육 35년사" 한국중등교육협의회 1980

      6 황종건, "한국의 사회교육 : 우리나라 성인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황" 배영사 1966

      7 중앙교육연구소, "한국의 민주적 발전과 성인교육의 과제" 중앙교육연구소 1966

      8 천성호, "한국야학운동사 : 자유를 향한 여정" 학이시습 2009

      9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 총서 출판사 1964

      10 황종건, "한국사회교육 총람" 정민사 1994

      11 김학준, "한국문제와 국제정치" 박영사 1980

      12 대한교육연합회, "한국교육연감" 대한교육연합회 1974

      13 한국교육십년사간행회, "한국교육십년사" 풍문사 1959

      14 이길상, "한국교육사료집성 : 미군정기편 Ⅰ․Ⅱ․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5 이진석,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초기 교육정책과 사회과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5-118, 2003

      16 김기연, "한국 평생교육정책의 변화과정 및 변화형성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7 최창열, "한국 사회교육정책의 변천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8 權健一, "한국 사회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19 최운실, "한국 사회교육의 실상과 미래 전망 연구(Ⅰ): 한국 사회교육의 발전과정 및 특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20 권두승, "한국 사회교육의 변천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1 전광수, "한국 사회교육법 성립의 역사적 변천 과정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22 윤효석, "한국 문화행정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3 정태수, "한국 교육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쭈쿠바대학교 1982

      24 정태수, "한국 교육기본법제 성립사" 예지각 1996

      25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26 양병찬,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 분석" 10 (10): 207-229, 2004

      27 유네스코위원회 한국평생교육기구, "평생교육의 기초와 체제" 법문사 1983

      28 교육부, "평생교육백서" 교육부 1997

      29 김종서, "평생교육론의 발전방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86

      30 이종만, "평생교육 제도 확립을 위한 사회교육 관련법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31 박동홍, "지방교육행정조직 변천에 관한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의 조직 변천이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조직 변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32 전광수, "정부 수립기의 사회교육 법제화 과정 분석 - 1949년 사회교육법안 입법을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31-141, 2012

      33 심융택, "자립에의 의지 : 박정희 대통령 어록" 한림출판사 1972

      34 임송자, "이승만 정권기 문해교육 정책과 문맹퇴치 5개년 사업" 수선사학회 (50) : 35-66, 2014

      35 이미령, "우리나라의 사회교육 행정기구 변천과 사회교육 관계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36 문교부, "성인학교 지도요령" 문교부 1952

      37 남정걸, "사회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1998

      38 김도수, "사회교육학 서설" 교육과학사 1991

      39 김종서, "사회교육체제 확립방안" 한국사회교육협회 1980

      40 안진이, "미군정의 문화정책과 미술, 1945~1948" 한국미술이론학회 0 (0): 7-32, 2006

      41 김경만, "미군정의 교육정책과 보통교육체제의 수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2 玄恩柱, "미군정기 한국교육주도세력과 교육재건에 대한 일연구 : 1945-1948년 교육주도세력을 중심으로"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5

      43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 상․하" 도서출판 홍지원 1992

      44 김태미, "미군정기 한국고등교육 개혁에 관한 고찰: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45 이혜숙, "미군정기 지배구조와 한국사회" 선인 2008

      46 李嬉受, "미군정기 성인 교육의 정치사회화 기능"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6

      47 안진, "미군정기 교육 정책에 관한 교육 사회학적 연구 : 교육 주도 세력의 형성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8 이광호, "미 군정기 한국교육의 체제형성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49 문교부, "문교행정개황" 문교부 1947

      50 문교부, "문교통계연보" 문교부 1979

      51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문교사 : 1945~1973" 중앙대학교 출판부 1974

      52 문교부, "문교 40년사" 문교부 1988

      53 이오갑, "남북한 지역 주민의 정치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 1945~48년 문맹퇴치운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54 민의원사무처 법제조사국, "국회10년지" 민의원사무처 법제조사국 1958

      55 박희병, "교육법해의" 교육주보사 1950

      56 이완정, "교육법의 이론과 실상" 문음사 1986

      57 교육부, "교육 50년사" 교육부 1998

      58 정태수, "광복 3년 한국교육법제사" 예지각 1995

      59 陳道恩, "韓國社會敎育制度의 實態와 그 改善에 관한 연구 : 文敎部 所管의 社會敎育制度를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89

      60 崔榮鎭, "韓國 社會敎育行政의 變遷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61 金允燮, "韓國 敎育法의 基本原理에 관한 分析的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62 정무정, "美 軍政期의 문화정책과 미술계" 미술사연구회 (18) : 147-166, 2004

      63 金重元, "平生敎育의 法制에 관한 硏究"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64 Brookfield, S., "Lifelong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ESCO 1995

      65 Adult Education Council of Finland, "Adult education policy in the first years of the 21st century" Adult Education Council of Finland 1999

      66 European Commission, "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 EC 2000

      67 오혁진, "1990년대 말 평생교육법 제정 과정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 개념 혼란의 기원과 논리 검토"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19-142, 2011

      68 정연숙, "1950년대 해병대 공민교육의 전개과정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55-79, 2014

      69 오혁진,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65-291, 2011

      70 김수일, "(평생교육발전을 위한)학원교육과 사회교육: 관인학원의 사회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학원총연합회 1982

      71 Hake, B. J., ""Lifelong learning and the European Union : A critique from a ‘risk society’ perspective"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Kogan Page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