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가 양육미혼모의 소외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a Home Parenting Unmarried Mot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2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a singlemother at home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with one unmarried mother at home. The meaning ofexperience was grasped by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Before becoming a single mother, the participant experienced continuous abandonment throughfamily of origin, school, work, society, and lover relationship. After becoming a single mother,she experienced another abandonment from the community. The alienation of the unmarriedmother at home was expanded and solidly structured by repeated abandonment, negativeself-image, and social prejudice and exclusion, but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became animportant motivation for unmarried mother to experience intense maternal love. Despitepoverty, social prejudice, and repeated abandonment, the connection that an unmarried motherexperiences through her child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heal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a singlemother at home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with one unmarried mother at h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a singlemother at home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with one unmarried mother at home. The meaning ofexperience was grasped by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Before becoming a single mother, the participant experienced continuous abandonment throughfamily of origin, school, work, society, and lover relationship. After becoming a single mother,she experienced another abandonment from the community. The alienation of the unmarriedmother at home was expanded and solidly structured by repeated abandonment, negativeself-image, and social prejudice and exclusion, but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became animportant motivation for unmarried mother to experience intense maternal love. Despitepoverty, social prejudice, and repeated abandonment, the connection that an unmarried motherexperiences through her child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hea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2 강라현, "지역사회 거주 양육미혼모의 삶의 경험에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3 임명남 ; 이명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내담자의 자살사고 변화과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187-206, 2021

      4 이명희, "자녀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경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미정, "임신기 및 출산 후 미혼모 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6 김희주 ; 권종희 ; 최형숙,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121-155, 2012

      7 임해영 ; 이혁구,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69, 2014

      8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 :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회 26 (26): 101-131, 2010

      9 손승영, "신자유주의시대 커리어우먼의 경제력과 그 의미" 16 : 19-38, 2011

      10 조성희 ; 김희주, "사회적 지지가 미혼모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5 (25): 471-490, 2020

      1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2 강라현, "지역사회 거주 양육미혼모의 삶의 경험에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3 임명남 ; 이명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내담자의 자살사고 변화과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187-206, 2021

      4 이명희, "자녀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경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미정, "임신기 및 출산 후 미혼모 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6 김희주 ; 권종희 ; 최형숙,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121-155, 2012

      7 임해영 ; 이혁구,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69, 2014

      8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 :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회 26 (26): 101-131, 2010

      9 손승영, "신자유주의시대 커리어우먼의 경제력과 그 의미" 16 : 19-38, 2011

      10 조성희 ; 김희주, "사회적 지지가 미혼모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5 (25): 471-490, 2020

      11 문정숙 ; 김영희,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32 (32): 109-123, 2014

      12 박동진 ; 김혜성 ; 김희숙 ; 이설아 ; 엄주희 ; 권오용,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323-372, 2017

      13 전정화 ; 엄태완, "미혼모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인문사회 21 10 (10): 1469-1484, 2019

      14 김지혜 ; 조성희,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78-490, 2020

      15 이미정, "미혼모의 자녀양육 의지와 현황" 2 (2): 79-107, 2011

      16 고은애 ; 김혜정, "미혼모의 임신 기간 중 심리사회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89-404, 2021

      17 김희주, "미혼모의 의료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0) : 181-214, 2015

      18 박영혜, "미혼모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5

      19 김혜영,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차별의 기제와 특징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6 (6): 7-41, 2013

      20 강라현, "미혼모들의 출산과 양육 경험에 대한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8 (68): 387-425, 2021

      21 성정현 ; 김희주, "미혼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한 소고" 한국가족학회 28 (28): 33-58, 2016

      22 김혜선 ; 김은하, "미혼 양육모의 양육 결정 체험 :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73-393, 2006

      23 이현주 ; 엄명용, "미혼 양육모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0) : 157-187, 2013

      24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25 양유성, "내러티브 탐구" 학지사 2022

      26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 119-140, 2002

      27 이현주 ; 송진아, "10대 미혼모가 경험한 학업 중단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57-8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