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도흡연성인을 대상으로 전문형 금연프로그램이 금연효과지각,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017년 8월~9월까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15921
대구 :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학위논문 (석사) --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 2018. 8
2018
한국어
금연 ; 금연프로그램 ; 전문형 금연프로그램
362.29613.85 판사항(23)
대구
ⅱ, 40 p. ; 26 cm
지도교수: 김건엽
참고문헌 수록
I804:22001-0000000934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도흡연성인을 대상으로 전문형 금연프로그램이 금연효과지각,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017년 8월~9월까지 ...
이 연구는 고도흡연성인을 대상으로 전문형 금연프로그램이 금연효과지각,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017년 8월~9월까지 경북금연지원센터 전문형 금연캠프에 참가한 중증𐩐고도 흡연자를 대상으로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경북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은 후 회상요법을 이용하여 설문하였다.
고도흡연 대상자들이 일반적 특성들에 대한 차이가 있음에도 사전에 비해 사후 금연에 대한 요소(금연효과지각, 금연 자기효능감)들이 전체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금연효과지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금연동기였다. 성공자에서 금연동기가 낮을수록 프로그램 시행 후 긍정적, 부정적 효과지각이 11.37점 높아졌다. 금연효능감에서 직업, 학력, 니코닌의존도가 낮은 ‘하’인 경우 영향을 미쳤다. 비육체적 직업이 육체적 직업과 비교해 14.11점, 대졸이상 고학력이 11.59점, 니코틴 의존도가 ‘하’인 대상자가 13.67점으로 평균차가 높았다. 즉, 비육체적 직업을 가진 고학력의 니코틴의존도가 낮은 대상자가 금연자기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6개월간 금연을 성공한 군을 중심으로만 연구하여 보다 확실한 효과와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금연실패군과 금연성공군으로 나누어 전문형 금연프로그램의 효과를 반복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인고도흡연여성의 금연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고도여성 흡연성인의 전문형 프로그램의 금연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금연성공의 기준이 6개월로 제한되어 보다 장기간의 금연성공률을 비교하고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 변수(호기 일산화탄소, 소변 코티닌, 스트레스, 우울, 질병력등)를 다양화하여 금연 유지 현황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is is a study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moking cessa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of smoking cessation effects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in the subject...
(Abstract)
This is a study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moking cessa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of smoking cessation effects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in the subjects with heavy smoking adults. It was conducted in the subjects who succeeded in the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among severe heavy smok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pecialized smoking cessation camp by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of North Kyungsang Province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reminiscence therapy after the approval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yungbook University for the sake of ethical protection of the subjects. Alth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heavy smokers, they showed the overall increase on the elements of smoking cessation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smoking cessation effects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rogram. The greatest influential factor on the recognition of smoking cessation effects was the motive of smoking cessation. As the motive level of smoking cessation was lower in the successful subjects, the recogni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was higher by 11.37 points after the program. Those of ‘low’ in the occupation, education level, and dependency on nicotine affected the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Differences of mean values were higher by 14.11 points in the group with non-physical occupation compared to that with physical one, 11. 59 points in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level over university graduates, and 13.67 points in the group of ‘low’ nicotine dependency. That means the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was higher in the groups with non-physical occupation, higher education level, and low nicotine dependency. However, this was conducted only for the successful group of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To evaluate the further efficacy and influences, it is required to repeat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specialized smoking cession program by separating the failure group of smoking cessation from the success group and to compare the status of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upon diversifying the study variables including exhaled CO, urine cotinine, stress, depression, disease history, and so 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