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NFT 기반 티켓 양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Node.js와 Bun 두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의 성능을 트랜잭션 처리와 데이터베이스 질의 처리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2703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1-240(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NFT 기반 티켓 양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Node.js와 Bun 두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의 성능을 트랜잭션 처리와 데이터베이스 질의 처리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
이 논문에서는 NFT 기반 티켓 양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Node.js와 Bun 두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의 성능을 트랜잭션 처리와 데이터베이스 질의 처리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단일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서는 Bun이 Node.js에 비해 2.41배 높은 성능을 보였고 부하 테스트의 경우 모든 부분에서 Bun이 Node.js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데이터베이스 질의 처리 성능에서는 Node.js가 Bun에 비해 1.19배 차이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고부하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NFT 기반 티켓 양도 시스템을 설계할 때 Bun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지만, 데이터베이스 질의 처리 성능은 한계점으로 존재하며, 이후 Bun의 업데이트를 통해 최적화된 라이브러리나 드라이버를 도입한다면 충분히 보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NFT 기반 티켓 양도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Node.js보다 Bun의 활용이 적절함으로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NFT-based ticket transfer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two JavaScript runtime environments, Node.js and Bun,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ransaction processing and database qu...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NFT-based ticket transfer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two JavaScript runtime environments, Node.js and Bun,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ransaction processing and database query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un showed 2.41 times higher performance than Node.js in single transaction processing performance, and Bun showed better results than Node.js in all parts of the load test. In database query processing performance, Node.js shows superior results by 1.19 times compared to Bun. Considering the transaction processing speed and stability in a high-load environment,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use Bun when designing an NFT-based ticket transfer system, but the database query processing performance exists as a limitation, and it can be sufficiently supplemented if an optimized library or driver is introduced through Bun's update. As a result, in this paper, it seemed that the use of Bun was more appropriate than Node.j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FT-based ticket transfer system.
무전기 통신에서 사용자 수와 시간대에 따른 동적 트래픽 모델링
ASM 솔루션을 활용한 공개 홈페이지 보안 취약점 분석 및 효율적인 대응방안 연구
원통형 포스트를 갖는 정사각 도파관-동축 커넥터 변환부 설계
검색 증강 생성 기법과 소규모 대형 언어 모델을 활용한 문서 요약 기반 챗봇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