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녹화하고 편집하고 퍼뜨리기 = Recording, Editing, and Distributing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70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과대학 학생은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강의 자료를 보거나, 필기한 공책을 보거나, 강의를 녹음해서 듣는다. 그런데 이런 방법보다는 해부학 강의를 녹화해서 보는 것이 낫다. 이 ...

      의과대학 학생은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강의 자료를 보거나, 필기한 공책을 보거나, 강의를 녹음해서 듣는다. 그런데 이런 방법보다는 해부학 강의를 녹화해서 보는 것이 낫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학생한테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컴퓨터에서 편하게 되풀이해서 보게 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해부학 교수가 해부학 단원 차례(소개, 등, 팔, 목, 머리, 가슴, 배, 골반, 샅, 다리)대로 칠판 강의하는 것(14시간쯤)을 녹화해서 동영상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컴퓨터로 옮긴 다음에 Adobe Premiere에서 알맞게 편집하였다. 동영상 파일을 압축해서 MPEG 파일(크기 28.0 GBytes)과 WMV 파일(크기 1.4 GBytes)로 만들었다. 슬라이드 강의(1시간)인 경우에는 동영상과 슬라이드를 함께 편하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퍼뜨렸으며, 학생은 동영상을 보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을 쓰면 다른 해부학 교수도 자기 강의의 동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review anatomy lectures, medical students use the lecture materials, lecture notebooks, or recorded voices of lectures. These learning materials are not so effective as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

      In order to review anatomy lectures, medical students use the lecture materials, lecture notebooks, or recorded voices of lectures. These learning materials are not so effective as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anatomy lectures by giving them the chance to repla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conveniently on the computer. For the purpose, an anatomy professor presented board lectures (about 14 hours) according to the anatomy units (introduction, back, upper limb, neck, head, thorax, abdomen, pelvis, perineum, and lower limb), which were recorded by camcorders to make movies. The movies were transferred to the computer; subsequently, edited suitably on the Adobe Premiere. The movies were compressed to make MPEG files (size 28.0 GBytes) and WMV files (size 1.4 GBytes). In case of the slide lecture, we made a program, on which lecture movies and slides could be watched concomitantly and convenientl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were distributed off-line or on-line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the anatomy lectures. This report about techniques of making movies will promote other anatomy professors to make movies of their own anatomy lect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부학 교육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실습프로그램의 학습효과" 11 : 77-81, 1999

      2 "일반인을 위한 해부학 만화" 38 : 433-441, 2005

      3 "인터넷을 이용한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1 : 83-98, 1999

      4 "인터넷을 이용한 대학원 강의" 12 : 35-43, 2000

      5 "인터넷 시험 풀그림 (software)을 활용한 의학교육평가연구" 15 : 27-34, 2002

      6 "의학교육에서 가상강의의 효과" 14 : 61-71, 2002

      7 "멀티미디어 기법을 이용한 의학교육자료의 제작 및 재생시스템" 6 : 29-38, 1994

      8 "The Internet and medicine: past, present, and future" 69 : 429-437, 1996

      9 "The Internet and medical education" 68 : 602-605, 1996

      10 "Instructional Intrane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73 : 1072-1075, 1998

      1 "해부학 교육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실습프로그램의 학습효과" 11 : 77-81, 1999

      2 "일반인을 위한 해부학 만화" 38 : 433-441, 2005

      3 "인터넷을 이용한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1 : 83-98, 1999

      4 "인터넷을 이용한 대학원 강의" 12 : 35-43, 2000

      5 "인터넷 시험 풀그림 (software)을 활용한 의학교육평가연구" 15 : 27-34, 2002

      6 "의학교육에서 가상강의의 효과" 14 : 61-71, 2002

      7 "멀티미디어 기법을 이용한 의학교육자료의 제작 및 재생시스템" 6 : 29-38, 1994

      8 "The Internet and medicine: past, present, and future" 69 : 429-437, 1996

      9 "The Internet and medical education" 68 : 602-605, 1996

      10 "Instructional Intrane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73 : 1072-1075, 1998

      11 "Educators must take the electronic revolution seriously" 71 : 221-226,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해부학회지 -> Anatomy and Cell Biolog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natomy -> Anatomy and Cell Bi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5 0.15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 0.09 0.22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