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89771
춘천 : 강원대학교, 2016
2016
한국어
685 판사항(6)
강원특별자치도
The Effect of the Bachlor's Degree Dance Major's Mentoring Experience on Career Attitude about Dance Activity's and Dance Achievement
ⅳ, 47 L. : 삽도 ; 26 cm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조성희
참고문헌 : L 40-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둘째, 멘토링과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강원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무용전공 학생 중 설문에 동의한 309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응답자 개인이 자기평가 기입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멘토링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의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에서의 성별 분석 결과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와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 독립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결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출신고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사회적 지원에서 인문계 졸업학생이 예술계 졸업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지도,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용경력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를 보면, 멘토링에서는 모든 항목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가 무용경력이 10년이상 집단이 1-5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연횟수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역할모델에서 30회이상 집단이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에서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20-30회 집단과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과 독립성에서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정성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멘토링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멘토링의 수행지도와 사회적지원에서는 정의성취, 심동성취, 인지성취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은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과 진로태도와의 상관에서는 수행지도, 역할모델, 사회적지원은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적지원은 결정성,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의 4가지 하위요인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 멘토링의 하위요인 중 정신적지원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가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태도에서는 독립성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멘토링의 하위요인들이 무용성취에서 정의적 성취와 인지적 성취에 높은 영향이 있었고 진로태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독립성에 높은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멘토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