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 The Actual State and Cultural Meaning of Gisaeng Album in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4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妓生 詩帖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생문화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생 시첩은, 비록 사대부 남성의 문자를 빌리고 있지만, 기생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일부분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녀의 딸과 손녀들에 의해 전승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기생 시첩은 기생 자신의 역사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 개인을 넘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이 점은 사대부 남성들이 자기 가문의 명성과 위상을 높이기 위해 문집을 간행하고, 아들들에 의해 가업과 함께 문집이 전승되는 것과 대비된다. 우리는 기생 시첩 자료를 통해 특정 기생의 구체적 삶의 모습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모계 혈통에 의해 세습되었던 기생 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또한 기생 시첩은 특정한 기생을 위해 다수의 남성 문인들이 글을 써 주는 것인만큼,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상호 소통과 교감을 전제하고 있다. 기생 시첩에서 기생과 남성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다채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인간적 교감을 바탕으로 한 애정과 우정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고, 樂歌舞의 뛰어난 예술적 재능에 공감하는 양상을 띠기도 하며, 의로움과 과단성, 용기 등을 중심으로 한 변치않는 정신에 대한 공감을 보여주기도 한다. 기생 시첩은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다양한 상호 교감의 방식을 반영하고 있는 바, 조선시대 기생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妓生 詩帖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생문화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생 시첩은, 비록 사대부 남성의 문자를 빌리고 있지만, 기생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일부분...

      이 논문은 妓生 詩帖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생문화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생 시첩은, 비록 사대부 남성의 문자를 빌리고 있지만, 기생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일부분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녀의 딸과 손녀들에 의해 전승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기생 시첩은 기생 자신의 역사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 개인을 넘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이 점은 사대부 남성들이 자기 가문의 명성과 위상을 높이기 위해 문집을 간행하고, 아들들에 의해 가업과 함께 문집이 전승되는 것과 대비된다. 우리는 기생 시첩 자료를 통해 특정 기생의 구체적 삶의 모습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모계 혈통에 의해 세습되었던 기생 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또한 기생 시첩은 특정한 기생을 위해 다수의 남성 문인들이 글을 써 주는 것인만큼,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상호 소통과 교감을 전제하고 있다. 기생 시첩에서 기생과 남성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다채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인간적 교감을 바탕으로 한 애정과 우정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고, 樂歌舞의 뛰어난 예술적 재능에 공감하는 양상을 띠기도 하며, 의로움과 과단성, 용기 등을 중심으로 한 변치않는 정신에 대한 공감을 보여주기도 한다. 기생 시첩은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다양한 상호 교감의 방식을 반영하고 있는 바, 조선시대 기생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d on the widening our understanding of Gisaeng cul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work is basically based on the Gisaeng album(妓生詩帖) which many literary men wrote for a gisaeng.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was Gisaeng's special way of the writing. And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made the hisory of Gisaeng's family. Gisaeng album not only included her own history but also showed her family hisory.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actual state and cultural meaning of Gisaeng album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y of Gisaeng in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which shows how to make a record Gisaeng album and how to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Gisaeng's daughters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Gisaeng culture.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d on the widening our understanding of Gisaeng cul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work is basically based on the Gisaeng album(妓生詩帖) which many literary men wrote for a gisaeng.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

      This paper focused on the widening our understanding of Gisaeng cul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work is basically based on the Gisaeng album(妓生詩帖) which many literary men wrote for a gisaeng.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was Gisaeng's special way of the writing. And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made the hisory of Gisaeng's family. Gisaeng album not only included her own history but also showed her family hisory.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actual state and cultural meaning of Gisaeng album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y of Gisaeng in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which shows how to make a record Gisaeng album and how to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Gisaeng's daughters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Gisaeng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

      2 이태진, "조선시대 사찬읍지 42" 한국인문과학원 1998

      3 이태진, "조선시대 사찬읍지 38" 한국인문과학원 1998

      4 서지영, "조선시대 기녀 섹슈얼리티와 사랑의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291-322, 2002

      5 박영민, "운초, 관기와 기생첩의 경계에 선 하위주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237-278, 2005

      6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한국여성문학학회 2 : 15-42, 1999

      7 박영민, "시화의 기생한시 담론과 심미의식"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29-360, 2003

      8 장효현, "서유영 문학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8

      9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2007

      10 박애경, "기획논문: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妓女文學 /논평:서지영" 한국고전문학회 (29) : 177-209, 2006

      1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

      2 이태진, "조선시대 사찬읍지 42" 한국인문과학원 1998

      3 이태진, "조선시대 사찬읍지 38" 한국인문과학원 1998

      4 서지영, "조선시대 기녀 섹슈얼리티와 사랑의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291-322, 2002

      5 박영민, "운초, 관기와 기생첩의 경계에 선 하위주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237-278, 2005

      6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한국여성문학학회 2 : 15-42, 1999

      7 박영민, "시화의 기생한시 담론과 심미의식"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29-360, 2003

      8 장효현, "서유영 문학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8

      9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2007

      10 박애경, "기획논문: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妓女文學 /논평:서지영" 한국고전문학회 (29) : 177-209, 2006

      11 박혜숙, "기생의 자기서사 - ?기생 명선 자술가?와 ?내 사랑 백석?" 민족문학사학회 25 : 214-242, 2004

      12 朴茂瑛, "기녀한시의 ‘비틀림’과 ‘비틀기’" 한국한시학회 10 : 373-402, 2002

      13 성기옥, "기녀시조의 감성 특성과 시조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 : 27-54, 2000

      14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월인 2000

      15 신경숙, "고전시가와 여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 : 305-325, 2000

      16 趙絅, "龍洲遺稿" 한국문집총간

      17 洪彦弼, "默齋文集" 한국문집총간

      18 洪瑞鳳, "鶴谷集" 한국문집총간

      19 黃胤錫, "頤齋遺藁" 한국문집총간

      20 宋寅, "頤庵遺稿" 한국문집총간

      21 梁慶遇, "霽湖集" 한국문집총간

      22 徐有英, "雲皐詩選, 장서각 소장본"

      23 姜栢年, "雪峯遺稿" 한국문집총간

      24 李福源, "雙溪遺稿" 한국문집총간

      25 鄭太和, "陽坡遺稿" 한국문집총간

      26 李克誠, "閒中記聞, 규장각 소장본"

      27 沈守慶, "遣閑雜錄"

      28 朴齊家, "貞甤閣集" 한국문집총간

      29 申欽, "象村稿" 한국문집총간

      30 張維, "谿谷集" 한국문집총간

      31 吳道一, "西坡集" 한국문집총간

      32 李克成, "螢雪記聞, 규장각소장본"

      33 李玄逸, "葛庵集" 한국문집총간

      34 閔仁伯, "苔泉集" 한국문집총간

      35 李喜朝, "芝村集" 한국문집총간

      36 李睟光, "芝峯類說"

      37 李獻慶, "艮翁集" 한국문집총간

      38 "續修咸山志通紀, 국립도서관 소장본"

      39 崔岦, "簡易集" 한국문집총간

      40 李沃, "筆帖, 장서각 소장본"

      41 徐榮輔, "竹石館遺集" 한국문집총간

      42 魚叔權, "稗官雜記"

      43 權韠, "石洲集" 한국문집총간

      44 李慶全, "石樓遺稿" 한국문집총간

      45 李明漢, "白洲集" 한국문집총간

      46 李恒福, "白沙集" 한국문집총간

      47 李敬輿, "白江集" 한국문집총간

      48 權燮, "玉所稿, 개인소장본"

      49 趙緯韓, "玄谷集" 한국문집총간

      50 趙纘韓, "玄洲集" 한국문집총간

      51 鄭士龍, "湖陰雜稿" 한국문집총간

      52 李玄錫, "游齋集" 한국문집총간

      53 洪翰周, "海翁藁" 한국문집총간

      54 "海南尹氏文獻, 규장각 소장본"

      55 趙顯命, "歸鹿集" 한국문집총간

      56 蔡濟恭, "樊巖集" 한국문집총간

      57 李宗城, "梧川集" 한국문집총간

      58 朴永元, "梧墅集" 한국문집총간

      59 柳廣善, "梅墩遺稿, 국립도서관 소장본"

      60 李珥, "栗谷全書" 한국문집총간

      61 李珥, "柳枝詞, 이화여대 박물관 소장"

      62 李安訥, "東岳集" 한국문집총간

      63 朴世旭, "朝鮮中期 僧侶들의 求詩風習에 대한 一考 ―― 三勒의 詩軸을 中心으로" 동아인문학회 (12) : 231-253, 2007

      64 李廷龜, "月沙集" 한국문집총간

      65 李玄祚, "景淵堂集" 한국문집총간

      66 金安國, "慕齋集" 한국문집총간

      67 許筠, "惺所覆瓿稿" 한국문집총간

      68 沈樂洙, "恩波散稿, 규장각 소장본"

      69 金正國, "思齋集" 한국문집총간

      70 洪暹, "忍齋文集" 한국문집총간

      71 任珽, "巵齋遺稿, 개인 소장본"

      72 洪祐健, "居士詩文集, 규장각 소장본"

      73 尹善道, "孤山遺稿" 한국문집총간

      74 李徽逸, "存齋集" 한국문집총간

      75 박영민, "姜澹雲, 名妓의 내적 성찰과 悲憤의 서사" 우리어문학회 20 : 225-261, 2003

      76 沈義, "大觀齋亂稿" 한국문집총간

      77 李沃, "博泉集" 한국문집총간 속

      78 朴世采, "南溪集" 한국문집총간

      79 趙宗, "南岳集" 한국문집총간 속

      80 任應準, "北關事蹟,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81 李匡德, "冠陽詩集" 한국문집총간

      82 徐命膺, "保晩齋集" 한국문집총간

      83 李好閔, "五峯集" 한국문집총간

      84 車天輅, "五山集" 한국문집총간

      85 朴長遠, "久堂集" 한국문집총간

      86 姜浚欽, "三溟詩話" 소명출판 2006

      87 장정수, "「飜老婆歌曲十五章」을 통해 본 기녀 可憐의 내면 의식" 우리어문학회 30 (30): 207-233, 2008

      88 신경숙, "19세기 일급 예기(藝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醫女) 옥소선(玉簫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5) : 41-75, 2004

      89 고순희, "18세기 가사에 나타난 기생 삶의 모습과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0 : 241-271, 1995

      90 李成妊, "16세기 양반관료의 外情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3 : 21-5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