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6934
2021
-
360
KCI등재
학술저널
113-141(29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레저산업으로 변형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낚시어선에서 발생한 사고는 모두 1,215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 낚시어선에서 발생한 사망 실종자 수는 24명, 부상자는 120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낚시어선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는 충돌, 좌초, 전복, 침몰, 화재, 기관손상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에 발생한 낚시어선 전복사고 의 경우 낚시어선이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출항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총 21명중 낚시승객 3명만 구조되고 선장을 포함한 18명은 사망 또는 실종되었다. 또한 2019년에 발생한 낚시어선의 충돌사고에서는 낚시어선이 다른 선박과 충돌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14명 모두가 물에 빠져 한겨울 바닷물에 노출되어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선장들은 영업구역 위반 등을 숨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꺼서 조난시 수색구조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했다. 낚시어선은 여객선, 유선 및 도선 등과 함께 다중이용선박으로서 일반인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매년 발행하는 재결사례집 에 실린 지난 5년간의 낚시어선 관련 사고들을 분석하여 각 원인별로 관련 사고를 방지 혹은 저감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낚시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낚시어선 선장들에 대한 “낚시어선 전문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낚시어선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나 일부 관련 법규정의 개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was legalized in 1995 to revitalize fishing trip and to increase income of fishing village. However, contrary to its original purpose, the number of fishing boats engaged only in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was legalized in 1995 to revitalize fishing trip and to increase income of fishing village. However, contrary to its original purpose, the number of fishing boats engaged only in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has increased, and is now transforming into a kind of leisur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rom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a total of 1,215 accidents occurred in charter fishing boats over the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during which the number of deaths and missing people in charter fishing boats’ accident was 24, and 120 were injured. Currently, marine accidents occurring in charter fishing boats are appearing in various aspects such as collision, stranded, capsizing, sinking, fire, and engine damage. In the case of a capsizing accident of charter fishing boat in 2015, the fishing boat departed the port despite the heavy weather, and the boat was capsized after leaving the port, saving only 3 of the 21 fishing passengers, and 18 including the captain, were dead or missing. In 2019, a charter fishing boat collided with another ship and was capsized, causing all 14 people to fall into the water and were exposed to cold seawater in the winter, killing five people. And it wss found that some captains intentionally turned off the “Ship Location Transmitters Equipmen”(V-Pass) to hide violations of business areas, causing difficulties in searching and rescue in case of distress. Charter fishing boats, along with passenger ships, excursion ship and ferry boats, are public-use ship and need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safety of fishing passengers. In this study, the accidents related to charter fishing boats over the past five years includeded in the “Annual Judgement Casebook” published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were analyzed to research measures to prevent or reduce accidents. And it was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annual professional education for charter fishing boat’s proprietors and crew” i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system or to revise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safety of charter fishing boa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세현, "낚시어선원의 안전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657-1669, 2017
2 노호래, "낚시어선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해양경찰학회 9 (9): 103-128, 2019
3 박성용, "낚시어선 해양사고와 제도적 함의"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77-104, 2018
4 손영태, "낚시어선 운영의 법체계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8 (8): 17-48, 2018
5 김범진, "낚시어선 안전사고, 오염 및 예방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12 (12): 2017
6 김두석, "낚시어선 안전관리 제도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13 (13): 21-44, 2016
7 박경순, "낚시어선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6 (6): 109-135, 2016
8 중앙해양안전심판원, "2020 해양사고통계"
9 해양경찰청, "2020 해양경찰 백서" 아미고디자인 2020
10 한국해운조합, "2020 연안해운통계연보"
1 한세현, "낚시어선원의 안전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657-1669, 2017
2 노호래, "낚시어선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해양경찰학회 9 (9): 103-128, 2019
3 박성용, "낚시어선 해양사고와 제도적 함의"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77-104, 2018
4 손영태, "낚시어선 운영의 법체계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8 (8): 17-48, 2018
5 김범진, "낚시어선 안전사고, 오염 및 예방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12 (12): 2017
6 김두석, "낚시어선 안전관리 제도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13 (13): 21-44, 2016
7 박경순, "낚시어선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6 (6): 109-135, 2016
8 중앙해양안전심판원, "2020 해양사고통계"
9 해양경찰청, "2020 해양경찰 백서" 아미고디자인 2020
10 한국해운조합, "2020 연안해운통계연보"
유엔해양법협약 제298조 군사활동의 해석에 관한 국제판례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586 | 0.29 |